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박달나무의 반형매 가계간 Cd Phytoremediation과 축적 특성

        오창영,이재천,한심희,김판기 한국농림기상학회 2004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6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 B. schmidtii population which has high cadmium tolerance and remediation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cadmium uptake patterns among populations. One-year-old B. schmidtii seedlings were treated with 0, 0.4, 0.8mM CdSO₄ *3/8H₂O for two months. Cadmium concentrations in different positions of stem and cadmium concentrations and contents of leaves, stems and roots were analyzed. Also soil cadmium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 schmidtii was highest in root and lowest in shoot tip, showing a gradual decrease from root to shoot tip. The shoot to root Cd concentration ratios were over 1.26. It is concluded that B. schmidtii has good potential for phytoextraction as a shoot accumulator, which can be used for remediation of cadmium-contaminated areas. But tolerance differs between populations. Therefore B. schmidtii should be used as a means of phytoremediation after selection for Cd tolerance is performed.

      • KCI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결정에 따른 제3자의 보호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제3조 제1항 단서를 중심으로-

        김판기 ( Pan Gi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1 법과 정책연구 Vol.11 No.2

        2005년 12월 29일 제정된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설치된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가 지난 2010년 7월 4년간의 업무를 마무리 하였다. 위원회는 4년간의 활동 동안 친일재산의 환수, 일본인 명의 토지에 대한 조사 및 정리 등 그간 유례가 없는 과거사 청산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적인 의미에도 불구하고 위원회의 친일재산 국가귀속과정에서 추가적인 검토와 해결이 필요한 여러 가지 법적인 쟁점들이 발생하였다. 그 중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친일재산환수특별법에 근거하여 친일재산의 귀속결정이 내려지면 이러한 친일재산은 그 취득·증여 등 원인행위시에 국가의 소유로 한다는 점이다(친일재산환수특별법 제3조 제1항). 즉, 친일반민족행위자가 친일재산을 취득한 뒤 짧게는 60여년, 길게는 100여년 이상이 지나면서 수차례의 매매, 상속, 증여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 친일재산은 제3자에게 처분이 된 경우가 상당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친일재산환수특별법 제3조 제1항 단서에서는 "제3자가 선의로 취득하거나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고 취득한 권리를 해하지 못한다"는 규정을 두어 해결을 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위원회에서는 제3조 제1항 단서규정의 해석과 관련하여 이 규정의 적용대상을 친일재산환수특별법이 제정되기 이전의 제3자로 한정함에 따라 일부 제3자가 불측의 손해를 보는 일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제3조 제1항 단서에서 말하는 제3자의 범위에 대한 다툼이 발생하여 각급 법원에서 여러 대립되는 결론이 나오게 되었고, 학자들 사이에서도 그 범위에 대한 논의가 있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친일재산환수특별법 제3조 제1항 단서에서 말하는 제3자의 범위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하여 학설과 판결 등을 중심으로 분석·검토하고, 제3자의 보호를 위한 해석론 정립을 위한 논거들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있을 수 있는 추가적인 입법에 대한 법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On December 29. 2005 the "Special Act on Asset Confiscation for Pro-Japanese and Anti-National Collaborators to the State" was promulgated and enforced. The purpose of the Special Act on Asset Confiscation for Pro-Japanese and Anti-National Collaborators to the State is to achieve the historic agenda of settlement of pro-Japanese collaboration by reverting back to the state properties that had been offered as rewards for collabor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The investigation into the property of pro-Japanese collaborator was complex by the Special Act on Asset Confiscation for Pro-Japanese and Anti-National Collaborators to the State. Because the investigation involved tracing the transfer of title and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pro-Japanese collaborator acquired the property for as far back as 60 t0 100 years ago to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only possible to identify subject property through a complex investigation process. Also in these complex investigation process, many legal problems was happened. Especially, Article 3 Clause 1 proviso, Special Act on Asset Confiscation for Pro-Japanese and Anti-National Collaborators to the State, has some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of this Special Act. Article 3 Clause 1 proviso provides that the property interests acquired by a third party with good faith and fair consideration shall not be compromised. However, interpretation of this article differs in opinion among the investigative Commission on Pro-Japanese Collaborators` Property, the academic world and judicial precedents. In this study, I would review and analyze some problems of Article 3 Clause 1 proviso, Special Act on Asset Confiscation for Pro-Japanese and Anti-National Collaborators to the State. And then, I would attempt legal interpretation of the scope of a third party with good faith prescribed in Article 3 Clause 1 proviso. And I would present the additory reasons for an argument.

      • KCI등재

        부동산거래에 있어서의 설명의무

        김판기(Kim Pan-Gi) 한양법학회 2013 漢陽法學 Vol.24 No.1

        Today, many real estate transactions made between general person and real estate agent(owener of the real estate), or general person and real estate agent(invested with authority to act by the seller). But we need to protect the unprofessional purchaser in relation to many of these contracts. In this study, I considered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consumers from consumer protection of view. First, I reviewed problems of liability for explanation in conclusion of a contract phase, to resolve of gap in knowledge information between professional seller and unprofessional purchaser. In the second place, I reviewed problems of the purchaser’s remedies in violation of liability for explanation. The so-called liability for explanation in real estate transaction is an obligation that must be carried through on conclusion of a contract phase between seller and purchaser. This obligation is incident duty based on principle of good faith. But it can be hard that presents standard about the substance of liability for explanation, the limit of liability for explanation because type of export transaction and object are various in real estate transaction. So, we have no choice but to present standard about the substance of liability for explanation on a case by case basis. If the seller or the real estate agent violate liability for explanation, they have civil responsibility-responsibility to cover damages(price reduction of real estate, additional cost depending on violation of liability for explanation, return of broker’s commission) and responsibility owing to cancellation of contract(recovery, compensation for damages). Also, the purchaser have the right to cancel the contract about real estate transaction on the basis of mistake or fraud. In our country, there is focus on liability for explanation in the medical treatment contract or the insurance contract. However, from now on we must take a interest in the liability for explanation in real estate transaction because of many importance about real estate transaction.

      • KCI등재

        동물의 비물건화를 위한 민법개정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판기 ( Pan-gi Kim ),홍진희 ( Jin-hee Hong ) 한국법정책학회 2021 법과 정책연구 Vol.21 No.3

        반려동물을 사육하는 인구의 증가, 반려동물 관련 산업의 급속한 성장, 반려동물의 복지 및 보호와 관련된 관심의 증가 등은 사회 내에 여러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런데 다른 한편에서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법률문제들이 이미 발생하고 있고, 향후에도 우리가 예측하고 있거나 또는 예측하고 있지 못한 여러 법률문제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최근 입법예고된 법무부의 민법 개정법률안에서는 반려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정책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민법에 동물의 비물건화를 명시적으로 규정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현재 동물에 대한 인간의 복합적인 생각과 태도에 따라 매매계약에서 반려동물은 사람이 소유하는 특수한 물건으로서의 지위와 함께, 생명체라는 관념에서 동물복지와 애호의 대상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함께 갖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현 시점의 우리나리에서 동물, 특히 반려동물의 법적 지위를 어디까지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각종 통계 등에서 보여주는 바에 의하면 과거에 비해 동물에 대한 국민인식이 변화된 것은 확실하고, 이러한 변화된 인식이 반영되어 생명존중 사상을 제고하는 형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은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동물의 법적 지위의 변화를 ① 민법에 명시적인 형태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한지, ② 우리나라의 현실이 민법에 이러한 규정을 두기위해 필요한 몇 가지 전제조건을 충족하고 있는지, ③ 법무부에서 제시한 민법 개정법률안의 내용이 과연 적합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문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민법에 동물의 비물건화를 명시할 정도로 충분한 논의 및 사회적 합의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법무부가 입법예고한 민법 개정법률안의 핵심인 동물의 비물건화 논의의 타당성에 대해 비판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외국과 달리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해 아직까지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일반법인 민법에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라는 선언적인 규정만을 두는 것은 반려동물을 둘러싼 여러 문제들은 해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과 관련된 새로운 분쟁을 야기할 수도 있다. 동물의 복지ㆍ보호 관점에서 반려동물의 생산, 매매, 사육과정에서 동물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민법에 동물의 비물건화를 명시적으로 규정하는 것보다는 동물관련 특별법의 제ㆍ개정을 논의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Various changes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companion animals, rapid growth in pet-related industries, increased interest in the welfare and protection of companion animals, etc.) are creating many positive effects in society. However, behind that, various legal problem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are currently occurring. And it is likely that there will be a number of legal issues that we are predicting or not predicting in the future. The starting point for solving various legal problems surrounding companion animals(protection, transaction, use, illegal activities, inheritance, parenting, etc.) begins with the legal view of companion animals. The Ministry of Justice decided to revise the Civil Code on the dematerialization of animals as the starting point for solving these various legal problems. The Ministry of Justice has explicitly stipulated that ‘animal is not an object’ in its proposed legislative revision of civil law. However, there is a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sufficient discussion and social consensus on the provision of ‘animal is not an object’ in civil law.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whether the Ministry of Justice's amendments to civil law were appropriate. It cannot be denied that companion animals have two legal statuses as follows - ① special objects owned by humans, ② life as objects of animal welfare and affection. However,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on how far the legal status of animals, especially companion animals, can be recognized in our country at this point. According to various statistics, it is certain that the public's perception of animals has changed compared to the past, and it can be fully agreed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orm of raising life-preservation ideas by reflecting this changed perception. However, the following questions arise regarding changes in the legal status of animals - ① Is it reasonable to stipulate in an explicit form in civil law? ② Does the reality of our country meet some of the prerequisites necessary to place these regulations in civil law? ③ Is the content of the revised civil law bill propos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appropriate? We oppose only the declarative regulation that ‘animal is not an object’ in the civil law when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discussion about the legal status of animals. The Ministry of Justice's revision does not resolve legal issues surrounding companion animals, but rather threatens to cause disputes. We think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discuss the enactment or revision of special animal laws in terms of animal welfare and protection.

      • KCI등재

        주택임차인의 임차보증금 보호를 위한 법정책적 고찰

        김판기 ( Pan Gi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1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보호라는 기본 목적을 달성하고 임차인 보호에 충실을 기하기 위하여 여러 제도들을 보완하는 작업이 이루어졌고(확정일자를 받은 임차인의 경우 우선변제권을 인정, 임대차의 존속을 2년간 보장, 임차권등기명령제도의 도입, 주택임대차위원회의 신설 등), 이러한 보완 작업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에 있다. 주택임차인의 보호와 관련하여 이른바 채권적 전세의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에 임차인 보호의 핵심은 임대차 존속기간 보장을 통한 주거의 안정과 임대차 종료 후 임차보증금의 안전한 회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는 그 간의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개정을 보더라도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법 개정을 통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호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남아있어 한 해에도 많은 사들이 임대차 보증금을 받지 못하고 임차주택에서 쫓겨나는 일이 발생하고 있으며, 임대차 보증금과 관련된 수많은 소송들이 제기되고 있다. 국민의 주거생활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1981년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제정된 이래 다양한 형태로 주택임차인의 보호수단이 마련되어 운용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제정 자체는 법논리적 접근 보다는 임차인 보호라는 법정책적 접근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임대차보증금 보호제도의 개선도 외국의 입법례나 법논리적 접근 보다는 임차인 보호라는 법정책적 관점에서 임대인과 임차인의 이익이 공평하게 보장될 수 있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2년 현재 우리나라의 주택임대차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여전히 주택임차인의 보호가 문제되고 있는 점을 인식하고, 외국의 입법례 및 기존 제도의 반성을 통해 주택임차인의 보호라는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기본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히 주택임대차 보증금 보호를 위한 여러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s to secure stability in the residential life of national citizens, by providing for special cases to the Civil Act with respect to the lease of building for residenc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as amended several times for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As a result, new systems were introduced in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as follows: introduction of right to preferential payment, the securing of period of existence, introduction of order of lease registration, introduction of housing lease committee and so on. However,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in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s continued as ever. The heart of protection for lessee is the stabilization of residence by the securing of period of existence and safe recovery of deposit after completion of lease. However, blind spot where lessee is not under the protection of the law is existing as ever in spite of efforts. So lessee being thrown out of the house come into being and is facing a lawsuit about deposit. Our country introduced the protecting systems after the 1981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However, these protecting systems was approached in terms of legal policy rather than terms of legal logic. So new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legal policy rather then comparative study of foreign laws. New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should be in any way fair to the law-abiding citizens(lessor and lessee). In this study, I would review and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our housing lease and some problems of our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And then, I would offer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n the first chapter, there would be presented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In the second chapter, I would grasp the present status of our housing lease through various statistical data. And also, I would deduce character in the housing lease system, expressly the lease system of a house on a deposit basis. In the third chapter, I would grasp the present status of our various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In the fourth chapter, I would address and analyze foreign systems(Germany) for introduction of new systems. On the basis of review and analysis, I would make implications for our systems about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In the fifth chapter, I would offer new systems for protection of lessee as follows: introduction of system puting a ceiling on deposit, introduction of depositing system on deposit,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of payment on deposit, improvement of announcement system and so on.

      • KCI등재

        법정책학연구논문 ; 지하공간의 이용과 토지소유권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김판기 ( Pan Gi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4 법과 정책연구 Vol.14 No.4

        오늘날은 도시화ㆍ산업화 등으로 인해 한정적인 토지가 사회의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토지 이용범위를 넘어서는 지상과 지하공간에 대해 관심이 모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회기반시설을 마련함에 있어 토지의 이용을 위한 권리의 취득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지하공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하공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해당 지하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권원(소유권이든 구분지상권이든 아니면 다른 어떠한 형태의 권원이든 관계없이)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우리가 지하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사법적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우선 우리가 정당한 권원을 가지고 지하공간을 이용하기 위한 출발점은 토지소유권의 효력범위를 규정하고 있는 민법 제212조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는 토지소유권의 효력범위가 정해져야 지하공간에 대한 구분지상권의 설정 등 이용권원의 취득, 소유권의 제한에 따른 정당한 보상 등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적 검토로써 지하공간의 개념과 그 이용필요성에 대해 검토한 후 토지소유권의 효력범위에 관한 민법 제212조의 해석론을 주된 검토의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전개하였다. 다만 토지소유권의 효력범위 문제는 과학기술 및 토지의 경제적ㆍ기능적 가치의 변화정도에 따라 다양화되기 때문에 민법 제212조의 해석의 문제와 더불어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접근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논문 후반부에서는 지하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토지소유권과의 조화를 위한 법정책적 측면에서의 검토를 추가해 논의하였다. Limited land does not meet the growing demand of today``s society because of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The interest has gathered for the ground and underground space beyond the existing range of land use. In particular, the interest about the underground space is increasing. Because there are difficulties in obtaining rights about use of underground space fo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But people who want to use the underground space is needed legal title to take advantage of the underground space(ownership, divided superficies, other title etc.). So we need a review in private law to the efficient use of underground space. The starting point for the analysis using the underground space is the interpretation of Civil law article 212 - Article 212 (Scope of Ownership of Land) Within the scope, where a justifiable profit exists, the ownership of land extends both above and below its surface. We can solve the problem related to the efficient use of the underground spac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Civil law article 212 - settlement of divided superficies, just compensation about limitation of ownership etc.. In this study, I reviewed about the concept and need to use of underground space. And then, I reviewed the interpretation of Civil law article 212 about scope of land ownership. However, we need to approach in legal policy about use and ownership of underground space because of diversification by science and technology, change of commercial value about land or functional value about land. So, in the second half I reviewed method in terms of legal policy for the efficient use of underground space in terms of harmony between use and ownership.

      • KCI등재후보

        상가건물임대차에 있어 권리금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판기(Kim, Pan-Gi) 한국부동산법학회 2018 不動産法學 Vol.22 No.1

        상가건물임대차에 있어 권리금의 보호문제는 오랫동안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고, 그 주된 논의의 핵심은 억울한 상가임차인의 권리금을 안정적으로 회수하게 해 줄 방법은 없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이러한 주류적인 논의에 따르면 권리금은 오랜 기간 인정되어온 관행에 따라 당연히 보장되어야 할 대상으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논의의 결과로 2015년 5월 13일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개정에서 명시적으로 권리금에 관한 규정을 두기에까지 이르렀다. 하지만 권리금은 보호되어야 하는가와 관련하여 상가건물임대차에 있어 권리금 보장에 관한 지금까지의 노력이 이른바 사회적 약자의 보호라는 절대적 명제를 실현하기 위해 다른 법률관계 당사자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사회적 형평성을 해하고 있지는 않은지에 대해서 의구심이 든다. 권리금에 관한 선행연구 및 입법과정을 보면 권리금은 반드시 보장되어야만 하는 재산적 가치 내지 권리인가에 대해서 주류적인 견해와 상반되는 논의는 거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가건물임대차에 있어 수수되는 권리금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권리금은 반드시 보호되어야 하는 것인지, 오히려 상가임대차에 있어 권리금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사회적 형평에 부합하고 법리상으로도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는 없는지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필자는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판례, 학설 등의 태도와 같이 권리금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그 회수 기회를 보장하기 보다는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잘못된 권리금 수수 관행을 제거 내지 규제하는 형태의 접근이 오히려 더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rotection of the premium has long been discussed in commercial building lease. The key to these discussions was to ensure a stable recovery of the leaseholder s premium on commercial building. According to this mainstream discussion, the premium should be guaranteed according to long-approved practices. As a result,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on May 13, 2015 contained provisions concerning the premium.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Article 10-3 (Definitions, etc. of Premiums) (1) “Premium” refers to a price, such as money, paid to a lessor or a lessee, other than deposits and rents, as a price for transfer or use of tangible or intangible property value, including business facilities, equipment, customers, credit, business know-how and business benefits generated from the location of a commercial building, which is paid by a person who conducts or who intends to conduct a business in a commercial building, the subject-matter of the lease. (2) “Premium contract” refers to a contract which requests any person who intends to be a new lessee to pay premiums to a lessee. However, Should the premium be protected? I have the following doubts - Doesn t protection of the premium in commercial building lease infringe the rights of other legal parties to protect the so-called social underdogs?, Doesn t it hurt social equity?. The pre-study studies and legislation on royalties are rarely discussed in opposition to the mainstream view. Therefore, in this paper, the following critical reviews were conducted on the premium in commercial building lease. ① Should the premium in commercial building lease be protected? ② Isn t the non-payment of the premium in commercial building lease a way to meet social equity and solve complicated problems legally? As a result, I drew a conclusion that I would rather have a more appropriate approach to remove or regulate the practice of miscounting premium in commercial building lease rather than recognize the premium in commercial building lease.

      • KCI등재후보

        분묘 등의 승계에 관한 민법 제1008조의3의 해석론 : 대법원 2008. 11. 20. 선고 2007다2767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김판기(Kim Pan-Gi) 忠北大學校 法科大學 法學硏究所 2010 法學硏究 Vol.21 No.3

        Article 1008-3 of the civil law states that the right of ownership in forest land not more than 2.451 acres for graves and farmland for management of graves less than 1983.48 square meters, a genealogy, and ritual implements shall be succeeded to by th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However, Article 1008-3 of the civil law does not state that someone will become th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In the case of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07Da27670 Decided November 20, 2008, the majority opinion holds new rule: "the goods which are dedicated to the ancestral rites build a special property and should be exempted from the inheritance. And th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is decided under joint heir's agreement. If they can not come to the agreement, the eldest son becomes th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And if the eldest son do not exist, the eldest grandson becomes th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And if the eldest grandson do not exist, finally the eldest daughter becomes th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But this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07Da27670 has several problems. The new rule of supreme court is almost the same as past customary law and does not reflect changed social interactions and new systems. In conclusion, we can not interpret correctly Article 1008-3 of the civil law by the new rule of supreme court. We can solve this problem by amending Article 1008-3 of the civil law appropriately. In other words, we should make explicit regulation that decides th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Article 1008-3(Inheritance of Graveyards, etc.) ① The right of ownership in forest land not more than 2.451 acres for graves and farmland for management of graves less than 1983.48 square meters, a genealogy, and ritual implements shall be succeeded to by th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② Th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is decided under joint heir's agreement. If they can not come to the agreement, the family court must decide the most suitable person who superintends the ancestral rites.

      • KCI우수등재

        동산채권담보법에 의한 채권담보권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대항요건과 제3채무자의 면책기준 - 대법원 2016. 7. 14. 선고 2015다71856, 71863 판결 -

        김판기 ( Kim Pan-gi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3

        동산채권담보법은 2010. 6. 10. 제정되어 2012. 6. 11.부터 시행된 비교적 신규 입법으로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가 흔치 않은데, 대상판결은 동산채권담보법에 의한 채권담보권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대항요건과 제3채무자의 면책기준을 다룬 의미 있는 판결이다. 선순위자인 채권담보권자가 동산채권담보법 제35조 제2항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에는 제3채무자가 후순위자인 채권양수인에게 변제를 하더라도 해석상 문제는 없어 보인다. 그러나 채권담보권자와 채권양수인이 모두 제3채무자에 대한 대항요건을 갖춘 이후에는 제3채무자가 누구에게 변제를 하여야 면책이 될 것인지가 문제가 될 수 있다. 현행법에는 제3자에 대한 대항요건과 제3채무자에 대한 대항요건이 달리 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3채무자가 누구에게 변제를 하여야 면책이 가능할지에 대해 여러 가지 경우의 수에 따른 해석론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럼에도 현행법에서는 이에 대한 명확한 해석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학계의 의견이 분분하였는데, 대상판결은 이에 대한 해석론을 제시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가 있다. 또한 그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도 일정한 요건만 갖춘다면 제3채무자에 대한 대항요건 구비의 선후가 아니라 담보권자와 제3자간의 우열을 따져 선순위 담보권자를 우선적으로 보호되도록 판시한 것은 민법의 기본 법리에 부합하는 타당한 결론이라고 생각된다. 향후에는 이러한 판례의 해석론이 입법의 기초자료로 참고 되어 동산채권담보법의 개정으로까지 진전이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향후 채권양도, 채권양도담보 등을 동산채권담보법으로 일원화 하여 기존 민법에 의해 인정되던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통해 거래계의 혼란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아닐까 생각된다. Act on Security over movable property, claims, etc. is a relatively new legislation enacted on June 10, 2010. The Supreme Court precedent related to this is not uncommon. The object judgment is a meaningful decision against a valid defense against a third-party obligor and immunity from responsibility of a third-party obligor by Act on Security over movable property, claims, etc. If the secured person fail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Article 35 of Act on Security over movable property, claims, etc.,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repayment of assignee. But, after secured person and assignee meet the requirements against a third-party obligor, it may be a matter of question whether the third-party obligor will be entitled to immunity or not. The current law stipulates otherwise about a valid defense against a third party and a valid defense against a third-party obligor. Therefore, there may be an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reimbursement can be made to whom. Nevertheless, the current law does not offer clear interpretation criteria for this. Thus, opinions of scholars were divided on the subject.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the object judgment is presenting interpretation. The object judgment is significant in its benefit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o be a reasonable conclusion to abide by the basic principles of civil law that the court gives priority to secured person. In the future, the interpretation of these precedents should be progressed to the revision of Act on Security over movable property, claim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