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정이 인지적 해석 수준과 광고 정보 처리에 미치는 영향 : 확실성과 구조적 정렬을 중심으로

        권오윤 ( Ohyoon Kwon )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2 언론문화연구 Vol.32 No.-

        긍정과 부정의 단순한 이분법적 접근법에서 탈피하여 본 연구는 인지적 평가 요소인 확실성을 기준으로 행복, 희망, 분노, 두려움을 분류하고 감정의 인지적 해석 수준(실험1)과 광고 정보 처리(실험2)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1의 결과는 타 감정 상태 대비 확실성으로 인한 행복을 경험하는 피험자는 제시된 행위를 하위 수준인 수단 중심으로 해석하고, 반대로 불확실성으로 인한 두려움을 경험하는 피험자는 동일한 행위를 상위 수준인 목적 중심으로 해석하는 경향성을 보여준다. 긍정 감정인 행복과 희망을 경험한 피험자의 해석 수준이 달랐으며, 부정 감정인 분노와 두려움을 경험하는 피험자들의 해석 수준도 유의미하게 달랐다. 제품 비교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속성, 즉 정렬 가능한 속성 비교를 선호한다. 실험2는 세 번의 사전 조사로 각각 정렬 가능한 속성과 정렬 불가능한 속성에서 우위를 가진 두 제품의 광고 메시지를 제작하였고, 행복, 희망 분노, 두려움을 경험하는 피험자들의 두 광고 메시지에 대한 태도와 제품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실험2에서 두려움을 경험한 피험자들은 정렬 불가능한 속성에서 우위를 가진 제품과 광고 메시지를 더 우호적으로 평가하였고, 나머지 세 조건의 피험자들은 정렬 가능한 속성에서 우위를 가진 제품과 광고 메시지를 더 우호적으로 평가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인지 해석과 정보 처리에서 확실성으로 분류된 감정들의 차별적인 영향력을 제안하며, 후속 연구의 방향과 실무적 함의를 논의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ole of emotion in the persuasion process by establishing a nove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construal level. Built on cognitive appraisal theories, this research proposes that the certainty appraisal components of emotions exert a direct influence on an individual’s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at a high versus low construal level.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s primed to feel emotion low on certainty appraisals construe behaviors or events at a high level, while those primed to feel emotion high on certainty appraisals characterize behavior or events at a low level (Study 1). The findings from current research effort also illustrate that uncertainty-related emotion eliciting a high-level construal mindset leads to a cognitive shift toward relying more on nonalignable attribute differences and a greater preference for the nonalignable-better brand although individuals usually rely more on alignable attribute differences and favor the alignable-better brand (Study 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