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opulation Structure, and Wolbachia and WO Phage Infection Polymorphism of Vollenhovia emeryi (Hymenoptera: Myrmicinae)

        Pureum Noh,Seungyoon Oh,Soyeon Park,Taesung Kwon,Yonghwan Kim,Jaechun Choe,Gilsang Je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The ant species, Vollenhovia emeryi Wheeler (Hymenoptera: Myrmicinae) is endemic in East Asia and has invaded into North America. In this species, the queen caste shows polymorphism in its wing morphology; long-winged queen and short-winged queen, and two morphs are thought not to coexist in nature.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1) deduce the phylogeographical structure of the two wing morphs in South Korea and to trace the distribution pattern from East Asia to North America, and 2) investigate the Wolbachia and WO phage infection frequency of the species. Either individuals or colonies of V. emeryi were collected from 80 locations, encompassing 68 locations in South Korea, 11 in Japan, and one in USA. Among the collected samples in South Korea, the long-winged morph is dominant and considered as the ancestral type, while the short-winged morph is very rare and derived character. The origin of the US population is neither Korea nor Japan at least in this study. However, we do no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its origin is the other parts of Japan or the other countries. All of the long-winged morph are infected with Wolbachia, while the short-winged seems to be geographically partially infected. It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short wing trait is linked with the evolution of resistance to Wolbachia infection. Bacteriophage WO infection status has no correlation with host insect lineage.

      • Graphene oxide porous paper from amine-functionalized poly(glycidyl methacrylate)/graphene oxide core-shell microspheres

        Oh, Joonsuk,Lee, Jun-Ho,Koo, Ja Choon,Choi, Hyouk Ryeol,Lee, Youngkwan,Kim, Taesung,Luong, Nguyen Dang,Nam, Jae-Do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0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Vol.20 No.41

        <P>Various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metal nanoparticles, carbon nanotubes and conducting polymers were coated on polymer microspheres finding various uses in electronic and biomedical applications. Herein, we demonstrate that single graphene oxide (GO) sheets could be easily wrapped on amine-functionalized poly(glycidyl methacrylate) (PGMA-ed) microspheres (∼2.5 μm in diameter) to form a PGMA-ed/GO core-shell structure with a thickness of <I>ca.</I> 50 nm. Subsequently, the synthesized GO-skin microspheres were consolidated by heating them to 60 °C to form a robust self-standing paper through the formation of electrostatic and van der Waals attractive forces between the very large surfaces of the GO, together with the formation of hydrogen bonding during the dewatering and drying processes, where the GO skins are interconnected to provide an electrical path and mechanical skeletal structure. When a stabilized GO dispersion was added to the PGMA-ed microspheres, the GO sheets were uniformly self-assembled on the PGMA-ed microsphere surfaces, seemingly through dipole–dipole interactions and amine–epoxide chemical reactions. This approach provides a simple route for the large volume production of PGMA-ed/GO core-shell microspheres and large-sized self-standing paper that may find various uses in optoelectronic device materials and porous membrane applications.</P> <P>Graphic Abstract</P><P>A highly porous and flexible graphene oxide porous paper was prepared through self-assembly of graphene oxide sheets located on surfaces of amine-functionalized poly(glycidyl methacrylate) (PGMA-ed) microspheres. <IMG SRC='http://pubs.rsc.org/services/images/RSCpubs.ePlatform.Service.FreeContent.ImageService.svc/ImageService/image/GA?id=c0jm00107d'> </P>

      • KCI등재

        Study on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for Potential Effect of Genetically Modified Nicotiana benthamiana Expressing ZGMMV Coat Protein Gene

        Taesung Kim,Minsu Yu,Kongsuk Koh,Kyounghee Oh,Hong Il Ahn,류기현 한국식물병리학회 2006 Plant Pathology Journal Vol.22 No.4

        Transgenic Nicotiana benthamiana plants harboring the coat protein (CP) gene of Zucchini green mottle mosaic virus (ZGMMV) were chosen as a model host for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plants with virus resistance. This study was focused on whether new virus type may arise during serial inoculation of one point CP mutant of ZGMMV on the transgenic plants. In vitro transcripts derived from the non-functional CP mutant were inoculated onto the virus-tolerant and -susceptible transgenic N. benthamiana plants. Any notable viral symptoms that could arise on the inoculated transgenic host plants were not detected, even though the inoculation experiment was repeated a total of ten times. This result suggests that potential risk associated with the CP-expressing transgenic plants may not be significant. However, cautions must be taken as it does not guarantee environmental safety of these CP-mediated virus-resistant plants, considering the limited number of the transgenic plants tested in this study. Further study at a larger scale is need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risk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CP-mediated virus resistant plant.

      • KCI등재후보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impact of Omicron variant on the COVID-19 situation in South Korea

        Oh, Jooha,Apio, Catherine,Park, Taesung Korea Genome Organization 2022 Genomics & informatics Vol.20 No.2

        The rise of newer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riants has brought a challenge to ending the spread of COVID-19. The variants have a different fatality, morbidity, and transmission rates and affect vaccine efficacy differently. Therefore, the impact of each new variant on the spread of COVID-19 is of interest to governments and scientists. Here, we proposed mathematical SEIQRDVP and SEIQRDV3P models to predict the impact of the Omicron variant on the spread of the COVID-19 situation in South Korea. SEIQEDVP considers one vaccine level at a time while SEIQRDV3P considers three vaccination levels (only one dose received, full doses received, and full doses + booster shots received) simultaneously. The omicron variant's effect was contemplated as a weighted sum of the delta and omicron variants' transmission rate and tuned using a hyperparameter k. Our models' performances were compared with common models like SEIR, SEIQR, and SEIQRDVUP using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SEIQRDV3P performed better than the SEIQRDVP model.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variant effect, we don't see a rapid rise in COVID-19 cases and high RMSE values. But, with consideration of the omicron variant, we predicted a continuous rapid rise in COVID-19 cases until maybe herd immunity is developed in the population. Also, the RMSE value for the SEIQRDV3P model decreased by 27.4%. Therefore, modeling the impact of any new risen variant is crucial in determining the trajectory of the spread of COVID-19 and determining policies to be implemented.

      • KCI등재

        외부 교란에 대한 Burke-Schumann 화염에서 형상과 열방출량을 통한 응답 특성 파악

        김태성(Taesung Kim),안명근(Myunggeun Ahn),황정재(Jeongjae Hwang),정찬영(Chanyeong Jeong),권오채(Oh Chae Kwon),윤영빈(Youngbin Yoon) 한국연소학회 2017 한국연소학회지 Vol.22 No.1

        This paper shows the dynamics of the Burke-Schumann flame. To show flame dynamics, this paper measures the flame surface and heat release rate. The flame shape is divided into three types with forcing frequencies. When the forcing frequency is lower than 120 ㎐, the upper region of flame is cut. The flame is stagnant with 220 to 280 ㎐ forcing frequencies. The rest conditions of forcing frequencies make the connected wave shape of flame. The heat release rate is expressed by the flame transfer function. The gain of the flame transfer function is similar with the oscillation magnitude of the flame area except for flame cutting conditions. The flame is cut because the fuel is not supplied to upper flame region.

      • 공개암호키를 사용한 센서네트워크에서의 키 분배 구현

        오경희(Oh Kyunghee),김태성(Kim Taesung),김호원(Kim Howo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

        센서네트워크는 넓은 지역에 무선 인프라에 묶여 설치된 센서들을 사용하여 상황 인지로 감지된 데이터를 응용서비스 서버와 연동하는 기술이다. 이는 환경 감시, 대상 추적, 환자 모니터링, 군사적 목적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네트워크 역시 기존 네트워크에서 필요로 하는 보안 기능을 요구한다. 그러나 센서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노드들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에 제약이 있어, 기존의 암호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센서네트워크에서의 키 분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증센터를 사용하는 기법, 랜덤 키 사전 분배 기법, q-합성수 랜덤 키 사전 분배 기법, Blom 스킴, 위치기반 키 사전 분배 기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공개키 연산의 많은 부하로 인하여 공개키 기법을 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리라 여겨져 왔으나, 최근의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PKI처럼 복잡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은 부적합할지라도 공개키를 이용한 키 분배 기법을 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것이 실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TinyOS 플랫폼에서 공개키를 이용하여 센서 노드 간 상호 인증 및 세션키를 생성하여 암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센서네트워크 플랫폼을 구현한 결과를 제시한다.

      • 나노 입자 기반의 웨어러블 센서 연구동향

        박태성 ( Taesung Park ),우호균 ( Ho Kun Woo ),오승주 ( Soong Ju Oh ) 한국공업화학회 2020 공업화학전망 Vol.23 No.3

        최근 개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사물인터넷이 발달함에 따라 웨어러블 헬스케어 분야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인체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의 중요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맥박에 의한 혈관 변화처럼 미세한 인체의 변형 신호나 체온, 외부의 온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감도 스트레인 센서와 온도 센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웨어러블 센서들은 몇 가지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용화되기에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기존 웨어러블 센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나노 입자 기반 웨어러블 센서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나노 입자를 사용한 웨어러블 센서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감도를 확보할 수 있고 용액 공정을 통해 저가로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센서 소재로서 적합하다. 여기서는 나노 입자의 기본적 특성과 나노 입자 기반 스트레인 센서 및 온도 센서 동향을 소개한다. 차세대 헬스케어 분야의 선두 주자가 되기 위해서는 나노 소재를 기반으로 한 웨어러블 센서의 개발과 연구가 중요하다.

      • KCI우수등재

        오대산 지역에 나타나는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의 특징과 트라이아스기 한반도 지체구조 해석에 대한 의미

        김태성(Taesung Kim),오창환(Chang Whan Oh),김정민(Jeongmin Kim) 한국암석학회 2011 암석학회지 Vol.20 No.2

        경기육괴 동부에 위치하는 오대산 지역에서는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으로 구성된 화성암체가 원생대 초기에 형성된 혼성편마암을 관입하고 있다. 맨거라이트는 사방휘석, 단사휘석, 각섬석, 흑운모, 사장석, 퍼어사이틱 K-장석, 석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려암의 광물군은 맨거라이트와 유사하나 반려암내에서는 각섬석이 사방휘석 주변에 적은 양으로 나타나며 퍼어사이틱 K-장석이 나타나지 않는다. 맨거라이트내에 반려암이 포획암 형태나 불규칙한 형태로 나타나며 두 암석의 경계가 불분명하다. 반려암질 포획암내에는 맨거라이트에서 볼 수 있는 퍼어사이틱 K-장석을 포함한 우백질부가 렌즈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두 개의 화성암이 액체상태에서 서로 혼합되었음을 지시한다. SHRIMP 저어콘 연대 측정결과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으로부터 각각 234±1.2 Ma와 231±1.3 Ma의 트라이아스기 중기에 해당하는 연령을 얻었다. 이 연령은 홍성(226~233 Ma)과 양평(227~231 Ma)지역의 트라이아스기 대륙충돌 후 화성암들의 연령과 유사하다.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은 고함량 Ba-Sr 화성암(high Ba-Sr granite)이고 쇼쇼나이틱(shoshonitic) 하며, 대륙충돌 후 판 내부 환경에서 만들어졌다. 한편, 이 암석들은 대부분 경희토류와 친석원소가 부화되어 있으며 Nb-Ta-P-Ti 부(-) 이상을 보이는 섭입대 화성암의 특징도 보여준다. 위의 지화학적 특징들은 오대산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은 대륙충돌 이전에 있었던 섭입시기에 지각물질에 의해 부화된 맨틀이 대륙충돌 후 분리된 대륙판과 해양판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연약권의 열에 의해 부분용융이 되면서 만들어졌음을 지시한다. 오대산 지역의 맨거라이트와 반려암을 포함한 경기육괴와 임진강대 북부에 나타나는 약 230 Ma의 대륙충돌 후 화성암의 분포는 이 시기에 일어난 한반도내 북중국판과 남중국판 충돌의 경계가 홍성 지역을 지나 양평-오대산지역과 옥천변성대 사이 지역으로 연결될 것임을 강하게 시사한다. The igneous complex consisting of mangerite and gabbro in the Odaesan area, the east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intruded early Paleo-proterozoic migmatitic gneiss. The mangerite is composed of orthopyroxene, clinopyroxene, amphibole, biotite, plagioclase, pethitic K-feldspar, quartz. The gabbro has similar mineral assemblage but gabbro has minor amounts of amphibole and no perthitic K-feldspar. The gabbro occurs as enclave and irregular shaped body within the mangerite,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mangerite and gabbro is irregular. Leucocratic lenses with perthitic K-feldspar are included in the gabbro enclaves. These textures represent mixing of two different magmas in liquid state. SHRIMP U-Pb zircon age dating gave 234±1.2 Ma and 231±1.3 Ma for mangerite and gabbro, respectively. These ages are similar with the intrusion ages of post collision granitoids in the Hongseong (226~233 Ma) and Yangpyeong (227~231 Ma) areas in the Gyeonggi Massif. The mangerite and gabbro are high Ba-Sr granites, shoshonitic and formed in post collision tectonic setting. These rocks also show the characters of subduction-related igneous rock such as enrichment in LREE, LILE and negative Nb-Ta-P-Ti anomalies. These data represent that the mangerite and gabbro formed in the post collision tectonic setting by the partial melting of an enriched lithospheric mantle during subduction which occurred before collision. The heat for the partial melting was supplied by asthenospheric upwelling through the gab between continental and oceanic slabs formed by slab break-off after continental collision. The distribution of post-collisional igneous rocks (ca. 230 Ma) in the Gyeonggi Massif including Odaesan mangerite and gabbro strongly suggests that the tectonic boundary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in Korean peninsula passes the Hongseong area and futher exteneds into the area between the Yangpyeong-Odaesan line and Ogcheon metamorphic belt.

      • Ortholog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생물 경로 재구축 시스템

        정태성(Taesung Jung),오정수(Jeongsu Oh),조완섭(Wansup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현재 국내외 적으로 많은 대사경로 재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들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소프트웨어들은 유전자 서열의 주해 작업이 끝난 게놈에 대해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대사경로를 예측하고자 할 경우는 주해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주해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유전자 서열로부터 유전자의 기능 예측뿐만 아니라 대사경로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Orthologou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새롭게 밝혀진 유전자 서열을 대상으로 비교적 정확성이 높은 대사경로를 예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방법을 통해 주해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서열 내에 포함된 유전자의 기능을 예측할 뿐만 아니라 예측된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대사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