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홧병에 대한 일 역학적 연구

        남궁기,이호영,민성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0 신경정신의학 Vol.29 No.4

        An epidemiological study on hwabyung was done with 1,450 subjects randomly selected from general population with age ranging from 18 to 65 year in a rural community. Data was collected using Korean version of DIS-III A by trained interviewers. The analysis of data showed that hwabyung is more common in older age group, in women and in low educational group. Diagnostically, hwabyung patients had more somatization disorder(37.7%), generalized anxiety disorder(24.6%) and major depression(15.25%), dysthymic disorder(15.25%) than non-hwabyung group had. A fewer number of hwabyung patients had panic disorde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phobic disorder. More hwabyung patients considered their general health state as being not good, had taken psychotropic medication, and reported psychiatric problem in the family. In general, this study suggests that hwabyung is a culturally-related syndrome of Korea which is commonly seen in a specific population group and diagnostically confounded with somatization, depressive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s, representing typic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wide range in their severity.

      • KCI등재

        흡연 및 비흡연 정신분열증 환자간의 인지 기능과 치료 반응의 차이

        남궁기,민성길,이희상,조현상,김세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4

        연구 배경 :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흡연 여부에 따라 정신분열증 환자군의 정신과적 과거력 및 현재 증상, 치료 반응과 인지 기능 등에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 방법 : 정신분열증 환자 중 36명의 흡연군과 31명의 비흡연군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현재의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서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Positive & Negative Syndrome Scale) 및 전반적 기능 평가 척도(Global Assessment Scale)를 상용하였고, 추체외로계 부작용을 추체외로계 부장용 평가척도(Rating Scale for Extrapyramidal Side Effects)로 측정하였다. 흡연군과 비흡연군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비엔나 검사 중 SPM(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Cognitron 및 FFA(Flicker Fusion Analyzer)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 1) 흡연군과 비흡연군에 비해 유병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입원 시의 증상 정도(PANSS 총점)가 유의하게 낮았고, 기능 정도(GAS 점수) 역시 유의하게 높았다. 2) 정신분열증의 치료 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나이와 유병 기간을 통제한 상태에서 흡연여부에 따른 치료 반응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흡연 여부에 따른 일일 약물 사용량, 추체외로계 부작용 및 증상 호전율(PANSS 호전율)이나 기능 호전율(GAS 호전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나이, 유병 기간, 항전신병약물 용량 및 증상의 정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흡연 여부에 따른 인지 기능의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흡연 여부에 따른 SPM 값, COG-R 및 FFA 갑의 차이는 없었다. 3) 흡연군 내에서 흡연 정도와 치료 반응 및 인지 검사 점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나이와 유병 기간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일일 평균 흡연량과 여러 임상 척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일일 흡연량과 증상 호전율(PANSS 호전율) 이나 기능 호전율(GAG 호전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총 흡연 기간은 치료 반응 및 인지 기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흡연 정신분열증군은 비흡연 정신분열증군에 비해 입원 시 증상이 경미하고 기능이 좋으며, 흡연 정신분열증군에서는 흡연량이 많을수록 치료 시 증상 및 기능이 호전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흡연군에서 일일 약물 사용량이 높다거나, 추체외로계 부작용이 덜 나타난다거나 지능 저하가 덜하다는 이전의 연구 결과들은 입증되지 않았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ast histories, current symptoms, treatment responses and cognitive and functions between smoking and nonsmoking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67 schizophrenic patients including 36 smokers and 31 non-smokers. They were examined by psychiatric history checklist, Simpson and Angus's rating scale for extrapyramidal side effects, positive & negative syndromes scale(PANSS), global assessment scale(GAS), and Vienna test including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SPM), Cognitron, and Flicker Fusion Analyzer(FFA).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though the duration of illness of smokers was longer than that of non-smokers, the smok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f GAS and significantly lower score of PANSS than non-smokers at admission. 2) With effects of age and duration of illness controlle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mean dosage of neuroleptics, extrapyramidal side effects, PANSS improvement rate and GAS improvement rate between both groups. 3) With effect of age, duration of illness, and total PANSS score controlle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score of SPM, cognitron, and FFA. 4) In smokers, the PANSS improvement rate and the GAS improvement rat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number of daily smoked cigarettes, with effects of age and duration of illness controlled. Conclusions : In schizophrenic patients, smokers had less severe symptoms than non-smokers. In smokers, the PANSS improvement rate and the GAS improvement rat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number of daily smoked cigarettes. But Smokers were not proven to have received higher dosage of neuroleptics, to have lower extrapyramidal side effects, or to have less severe impairment of cognitive function.

      • KCI등재

        MMPI에 의한 알코올 의존의 통계적 아형분류

        남궁기,조현상,김병천,현명호,안혜리,이희상,유계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5

        목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의존으로 진단된 남자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MMPI 점수를 이용하여 군집 분석으로 아형 분류를 시도한 후,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음주와 관련된 변인으로 그 분류가 판별 타당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 과 : 군집 분석 결과 전체 대상은 6(Pa)-7(Pt)-8(Sc) 프로파일의 정신병적 아형(21.4%), 2(D)-3(Hy)-1(Hs) 프로파일의 신경증적 아형(49.3%), 그리고 정상 프로파일 아형(29.3%)의 세 아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세 아형간의 연령, 학력, 결혼 상태, 음주로 인한 입원 경력, 주당 평균 음주 일수, 음주시 평균 음주량, 음주 시작 연령, 직계가족상의 알코올리즘의 가족력 유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세 아형으로 분류되었으나 이 아형 분류가 판별 타당성을 갖추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Obects & Methods : The authors tried to classify 75 male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by using cluster analysis of their MMPI data,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type classified through that process and to evaluate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lassification. Results :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subtypes by K-means cluster analysis of MMPI scores : a psychotic subtype of 6(Pa)-7(Pt)-8(Sc) profile(21.4%), a neurotic subtype of 2(D)-3(Hy)-1(Hs) profile(49.3%), a normal subtype(29.3%).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admission history due to alcoholic problems, number of drinking day per week, average amount of ethanol consumed per drinking occasion, age at onset of drinking and family history of alcoholism among these three subtypes. Conclusion : It seems that the subjects with alcohol dependence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subtyp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this statistical classification does not constitute any evidence of discriminant valid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GENETIC STUDIES OF THE KOREAN POPLULATION : 14. GENETIC POLYMORPHISMS OF HUMAN COMPLEMENT FACTOR I AND FACTOR H IN KOREAN POPULATION 14. 한국인 집단의 Complement Factor I 와 Factor H의 유전적 다형성

        NAM, KOONG YONG,KIM, YUNG JIN,PARK, KYUNG SOOK,KIM, HYUN SUP,AHN, KWANG SOOK,HONG, SEUNG HO,LEE, CHUNG CHOO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1 연구논문집 Vol.11 No.-

        As a part of the investigation for clarifying the genetic composition of Korean population, phenotypes and allele frequencies of complement Factor I and complement Factor H in the blood were analysed by polyacrylamide gel isoelectric focusing followed by immunoblot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healthy individuals living in Seoul, Kangreung an Cheju, Korea. Three phenotypes of complement Factor I (FI A, FI AB and FI B) appeared in Korean population. The allele frequencies of FI*A and FI*B were 0.9011 and 0.0989, respectively. Phenotypes of complement Factor H were classified into three common types(FH A, FH AB and FH B) and five rare types (FH A1, FH A1A, FH A1B, FH BM and FH QO). Allele frequencies of FH*A, FH*B, FH*A1, FH*M and FH*QO were 0.4739, 0.5056, 0.0155, 0.0024 and 0.0016, respectively. The FI*B frequency of Mongoloids was lower than that of Caucasoid population. The FH*B frequency appeared relatively higher than FH*A frequency in most populations studied. Rare alleles, FH*M and FH*QO, appeared in Korean and Japanese pop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