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산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진주담치, Mytilus edulis (이매패강:홍합과)의 성장

        박경양,임현식 木浦大學校 沿岸環境硏究所 1995 沿岸環境硏究 Vol.12 No.1

        영산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진주담치의 성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하구역에 1개소를 설정하고 1995년 2월부터 1995년 11월까지 진주담치를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진주담치는 2∼3개의 코호트의 출현이 관찰되었고, 비만도의 경우 봄철인 3월이 가장 높았으며, 4∼5월에는 감소하였다. 또한 8월까지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9월부터는 감소되는 양상이었다. 따라서 치패 출현상황과 비만도지수의 변화로부터 산란 및 착저는 봄철인 4∼5월경 및 가을철인 9∼10월경으로 추정되었다. 성장부위별 상대성장은 각장(SL)에 대한 각고 (SH)의 상대성장은 SH=5.2416+0.4724SL(r²=0.835)로 나타났으며, 각장 (SL)에 대한 각폭 (SB)의 상대성장은 SB=1.7482+0.3676SL (r²=0.858)로 나타났다. 각장 (SL)에 대한 전중 (TW)의 상대성장은 ??로 나타났으며, 각장 (SL)에 대한 육중 (MW)의 상대성장은 ??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growth of mussel, Mytilus edulis, was carried out in Yongsan River estuary, Korea from February to November 1995. Quantitative samplings were conducted monthly at the intertidal hard substrate, using a quadrat with 1 ㎡ surface area. Based on the size frequency of the shell length of mussel, two or three cohorts were observed in each month. Fatness is relatively higher in spring and autumn than in other season. The results of fatness and size frequency distribution of shell length suggest that the spawning seasons should be spring(April to May) and autumn(September to October), and the mass settlement of young spats was chiefly occurred in spring and autumn seasons.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is SH= 5.2416+0.4724SL(r²=0.835), SL and shell breadth (SB) is SB=1.7482+0.3676SL(r²=0.858), SL and total wet weight (TW)is ??, and SL and meat weight(MW) is MW=0.036 ??.

      • KCI등재

        방조제 건설 전후에 목표해역의 오염물질 확산 메커니즘

        강주환,임병선,이점숙,김종욱,임현식,김하송 한국환경생물학회 1998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6 No.4

        육상으로부터 목포해역으로 영양염류가 유입되는 곳과 간조시 갯벌을 통과한 지역의 pH, DO, COD, HN_4-N, NO_3-N 및 T-P 함량을 측정하고 RMA 모형과 FIT모형을 사용하여 방조제 건설에 따른 유기물질의 확산양태를 모의하였다. 목포 인근해역의 수질은 양호하였으며 특히, 갯벌 통과 후 질소원은 증가하였고 COD와 T-P는 감소하였다. 영암/금호 방조제 건설에 따라 방조제 인근해역에서 해수이동양상이 급격히 둔화되었고 목포해역의 북쪽과 4단계 방조제 해역간의 해수교환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목포해역의 남쪽에서는 외해수와의 해수교환이 크게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방조제 건설로 인해 방조제 인접해역에 축적되는 유기물질이 크게 증가하여 목포해역 내외부의 유기물질 확산양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pH, Do, COD, NH_4-N, NO_3-N and T-P of sea water were measured in both sites effluencing sewage and passing through salt marsh, and also the RMA and FIT model were applied to the Mokpo coastal zone to analyze the changes of pollutant dispersion mechanism by constructions of the seawalls. The nitrogen source of sea water in the sites passing through salt marsh increased but COD and T-P decreased. After constructions of the Youngam/Kumho seawalls, tidal velocity was decreased and exchange of sea water was very increased between the north of the Mokpo coastal zone and the 4th seawall region and was very decreased between the south of the Mokpo coastal zone and outer sea water. The results of simulation on diffusion of organic matter indicate that most region of the Mokpo coastal zone will suffer deepened contamination after the constructions.

      • KCI등재

        영종도 주변해역의 저서동물 군집

        임현식 ( Hyun Sig Lim ),이재학 ( Jae Hac Lee ),최진우 ( Jin Woo Choi ),제종길 ( Jong Geel Je ) 한국수산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5

        영종도 주변해역의 저서동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7개 정점에서 van Veen grab을 사용하여 1991년 10월에서 1992년 7월까지 계절별로 저서동물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266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다모류가 111종(41.7%)으로 가장 우점하였고, 갑각류가 75종(28.2%), 연체동물이 59종(22.2%)이었다. 조사해역의 평균 서식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498개체/m2와 41.06g/m2였는데, 이 중 다모류가 332개체/m2로서 개체수에서 우점하였고, 극피동물이 21.17g/m2으로 생물량에서 가장 많았다.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인 Mediomastus sp., Heteromastus sp., Nephtys polybranchia 및 이매패류인 Nipponomysella oblongata 등이였으며, 계절별로 우점종의 변화가 있었다. 집괴분석 결과 조사해역은 조간대의 사니질 펄지역(G-I), 조하대 니사질 천해역(G-II)파 니질의 수로역(G-III)으로 나누어졌다. 서식밀도는 조간대 사니질의 G-I에서 가장 높았고, 수로역인 G-III에서 가장 낮았으나 종다양성 지수값은 가장 높았다. 영종도 주변해역에서의 이러한 저서동물 분포양상은 퇴적상과 간조시의 노출기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seasonally using the van Veen Grab (0.1 m2) to investigate the benthic faunal assemblages on the soft-bottoms around the Youngjong Island during October 1991 to July 1992. A total of 266 species was identified. Of these polychaetes comprised 111 species (41.7%); crustaceans 75 (28.2%); molluscs, 59 (22.2%) and others including echinoderms, 27 (7.9%). Mean density and biomass were estimated to be 498 ind./m2 and 54.8 g/m2, respectively. Polychaete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in terms of abundance (332 ind./m2) and number of species as well, whereas echinoderms were predominant in biomass (25.63 g/m2). The dominant species were Mediomastus sp., Heteromastus sp., Nipponomysella oblongata, and Nephtys polybranchia; the abundance of these species showed seasonal variations.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y of species composition. The first region consisted of intertidal flat (G-I); the second, shallow subtital region of muddy sand (G-II); the third, channel region of mud sediments (G-III). The intertidal flat showed the highest density, and the channel was the lowest density, but the highest in species diversity.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faunal assemblages of the study area seemed to be controlled by sedimentary facies and duration of tidal exposure.

      • KCI등재

        한국 서남해역 함평만 조하대의 가을철 저서동물 군집구조

        임현식(Hyun Sig Lim),최진우(Jin Woo Choi)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4

        함평만 조하대 저서동물 공간분포와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10월 만 입구에서부터 내만에 이르기까지 격자형으로 41개 조사정점을 설정하고 van Veen grab (표면적 0.1㎡)을 사용하여 각 정점당 3회씩 저서동물을 채취하였다. 함평만은 만 입구역에서 중앙부까지는 muddy sandy gravel 퇴적상이, 만 중앙부로부터 내측에는 gravelly sandy mud 퇴적상이었으며, 퇴적물내의 유기탄소량은 0.23∼0.69 (0.44±0.10)% 범위였다.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총 168종의 저서동물 가운데 다모류가 58종으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갑각류는 54종이 출현하여 이들 두 분류군이 전체 출현종수의 66.6%를 차지하였다. 연체동물은 34종이 출현하였으며 기타 분류군은 22종이었다. 평균 밀도는 1,168개체/㎡였으며, 연체동물이 가장 우점하여 평균 684개체/㎡의 밀도로서 전체 밀도의 58.6%를 차지하였다. 다모류는 381개체/㎡의 밀도로서 전체 밀도의 32.6%를 차지하였다. 갑각류는 97개체/㎡가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밀도는 낮은 양상이었다. 생체량은 358.65g/㎡이 출현하였는데, 이 가운데 연체동물의 생체량이 302.97g/㎡을 차지하여 전체 생체량의 84.5%에 달하였다. 극피동물은 24.20g/㎡으로서 전체생체량의 6.7%, 갑각류는 19.16g/㎡으로서 전체 생체량의 5.4%를 차지하였다. 주요 우점종으로서는 Ruditapes philippinarum이 정점당 평균 520개체/㎡(44.2%)로서 만 중앙부의 정점들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다모류인 Lumbrineris longifolia는 평균 183 개체/㎡ (15.4%)로서 만 안쪽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밀도가 높았다. 이매 패류인 Pitar indecoroides는 정점당 평균 56개체/㎡의 밀도로서 만 입구 정점에서 밀도가 높았다. 또한 고등류인 Reticunassa festiva 및 다모류인 Heteromastus sp., Praxillella affinis, Chone sp., Tharyx sp.는 대부분의 정점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하였다. 집괴분석 결과 함평만 조하대 정점들은 퇴적상에 따라 크게 5개의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즉, 함평만 입구역에서부터 만 중앙까지 연결된 정점군 (정점군 B), 만 중앙부에서 내만까지의 정점군 (정점군 C), 그리고 자갈의 함량이 높은 정점들 (정점군 A)로 크게 3개 정점군으로 나누어지고, 내만 가장 안쪽에 위치한 정점 1과 종밋과 바지락의 치패 출현량이 극히 많은 정점 4와 6이 각각 별도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was studied at forty one stations of Hampyung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Three replicate sediment samples were taken at each station in October 1997, using a van Veen grab (surface area 0.1 ㎡). The types of surface sediment in the sampling area were muddy sandy gravel between bay mouth and bay proper, and gravelly sandy mud between bay proper and inner bay stations. The particulate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surface sediment was 0.23∼0.69% (0.44±0.10%). A total of 168 species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is composed of 58 of polychaetes, 54 of crustaceans, 34 of molluscs and 22 of miscellaneous. The former two taxa together were accounted for 66.6%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he mean density was 1,168 ind./㎡, comprising 684 ind./㎡ of molluscs (58.6%), 381 ind./㎡ of polychaetes (32.6%), and 90 ind./㎡ of crustaceans (13.2%). The mean biomass was 358.65 g/㎡, which is consisted of 302.97 g/㎡ of molluscs (84.5%), 24.20 g/㎡ of echinoderms (6.7%), and 19.16 g/㎡ of crustaceans (5.4%). Major dominant species at the inner stations of the study area was Ruditapes philippinarum with a density of 520 ind./㎡ (44.5%), and Lumbrineris longifolia with 183 ind./㎡ (15.7%), while that at bay mouth stations Pitar indecoroides with 56 ind./㎡. Reticunassa festiva, Heteromastus sp., Praxillella affinis, Chone sp. and Tharyx sp. were at from all stations.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bay was classified into five station groups depending on sediment types: Group A, a high gravel content in the sediment; Group B, stations with high mud content from bay mouth to bay proper, Group C, stations with fine and poorly sorted sediment from bay proper to the inner ba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biomass is discusse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 KCI등재
      • KCI등재

        반폐쇄적인 영산강 하구역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동물 군집

        임현식(Hyun Sig Lim),박경양(Kyung Yang Park) 한국수산과학회 199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2 No.3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in the subtidal soft bottom around semi-enclosed Youngsan River estuarine bay, southwest coast of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5 to February 1996. Three macrobenthos samples were collected at 40 stations using a van Veen grab (0.1 ㎡)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206 species of macrobenthos was identified. Their mean density and biomass (wet weight, wwt) were 1,137 ind./㎡ and 65.28 gwwt/㎡, respectively. Of these, there were 74 species of polychaetes (36%), 60 molluscs (29%), 51 crustaceans (25%) and 21 miscellaneous taxa. Molluscs were represented as a density- and biomass-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density of 601 ind./㎡ (53% of the total beothic aaimals) and biomass of 25.37 gwwt/㎡ (39% of total biomass). It was followed by polychaetes with 405 ind./㎡ (40% of the total density). Total number of species and diversity were low in the inner estuarine bay containing high mud content and organic matter, whereas they were high in the outer stations containing low mud content and organic matter. Major dominant species were one bivalve, Theora fragilis, and three polychaetes, Tharyx sp., Poecilochaetus johnsonni and Lumbrineris longifolia whose mean densities were 490 ind./㎡, 96 ind./㎡, 74 ind./㎡ and 52 ind./㎡,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iodicated tha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ation groups: two innermost station groups, a central bay and an outer station group. The species diversity increased from the inner station group toward the outer group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both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community.

      • KCI등재

        남해안 소리도 주변 연성저질 해역의 저서동물 분포

        임현식(Hyun Sig Lim),최진우(Jin Woo Choi)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3

        소리도를 포함한 주변 해역에서 저서동물 군집 구조 파악을 위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저서동물의 채집은 광양만 입구에서부터 소리도 주위에 이르는 해역에 여름철인 1996년 8월, 가을철인 11월에는 12개 조사 정점을, 겨울철인 1997년 2월과 봄철인 1997년 4월에는 정점 13과 14를 추가하여 14개 정점에서 van Veen grab (표면적 0.1 ㎡)을 사용하여 매 정점당 3회씩 해저 퇴적물을 인양 하였다. 조사결과 총 217종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다모류가 80종으로서 전체 출현종수의 약 37%, 갑각류는 60종으로서 약 28% 그리고 연체동물은 46종으로서 약 21%를 차지하였다. 밀도는 1,068 개체/㎡였는데 다모류가 904개체/㎡로서 가장 우점하여 전체 밀도의 약 85%를 차지하였다. 생체량은 110.02g/㎡였으며, 극피동물의 생체량이 가장 우점하여 57.62g/㎡로서 전체 생체량의 약 52%를 차지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연안 유기 오염역에서 주로 출현하는 Tharyx sp., Lumbrineris japonica, Magelona japonica였다. 이들은 각각 582 개체/㎡, 72개체/㎡ 그리고 41개체/㎡의 밀도로 출현하였는데, 외해역인 소리도 주변 정점에서는 극히 밀도가 낮았다. 집괴분석 결과 본 조사해역의 저서동물 군집은, 소리도 동측에서 광양만과 여수항에 인접한 정점군 (정점군 A)과 외해역의 영향을 받는 해역 (정점군 B, C, D)로 구분되었다. 소리도 주변 해역의 정점군 C에서는 정점별 저서동물의 출현종수가 가장 많고 밀도와 생체량은 상대적으로 낮아 다양도가 높았다. 저서동물 가운데 Ampeliscidae spp. 및 Amphipoda의 밀도는 PAHs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The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was investigated around Sorido Island, southern coast of Korea between August 1996 and April 1997. Triplicate macrobenthic samples were taken seasonally at twelve stations in August and November 1996 and fourteen stations in February and April 1997 by van Veen grab (0.1 ㎡). A total of 217 macrobenthic species were identified during study period; 80 species were from polychaetes, 60 species from crustaceans, and 46 species from mollusks.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estimated 1,068 ind/㎡, and polychaetes comprised 85% of total density. The mean biomass was 110.2 g/㎡, and echinoderms contributed bo more than a half of the biomass. Major dominant species based on abundance were three polychaetes Tharyx sp., Lumbrineris longifolia, and Magelona japonica, which frequently occur in the coastal area enriched by organic pollution. The densities of the spades were 582 ind/㎡, 72 ind./㎡, and 41 ind./㎡, respectively. These species showed very low density in the offshore area.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four regions each sustaining specific macrofaunal assemblages by Bray-Curtis cluster analysis: a station group adjacent to th Kwangyang Bay and Yosu harbour and three station groups around Sorido Isl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PAHs in sediments and the abundance of Ampeliscidae spp. and Amphipoda.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both environmental factor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