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취수준과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자극과 반응 단원 지필평가 문항 분석

        고희령(Ko, Heery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written test items of science, stimulus-response, in middle school 9th grade through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according to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A total of 166 written test items from 11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written test items which were against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Second, though there were more written test items than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all schools, one more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included in written test items of science in 6 middle schools. Third, the rate of score on high level achievement items to total score on all level achievement items was varied in every school. Therefore written test items must not be concentrated on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to increase content-validity in science written tests. 경기도의 11개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자극과 반응 단원의 지필 평가 문항을 2007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성취수준과 성취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총 166개 문항 중 2007개정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자극과 반응단원의 8개의 성취기준에 벗어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과 반응 관련 문항의 총 배점에 대한 각각의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의 배점 비율을 학교 별로 산출한 결과, 모든 학교에서 출제하고자 하는 문항 수가 성취기준보다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11개교 중 6개교에서 1개 이상의 성취기준이 평가문항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과 반응 관련 문항의 총 배점에 대한 각각의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의 배점 비율을 학교 별로 산출한 결과, 상의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의 배점 비율이 학교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필평가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특정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평가하는 문항들이 편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성취수준과 성취기준에 따른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자극과 반응 단원 지필평가 문항 분석

        고희령(Ko, Heery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4 No.-

        경기도의 11개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자극과 반응 단원의 지필 평가 문항을 2007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성취수준과 성취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총 166개 문항 중 2007개정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 과학과 자극과 반응단원의 8개의 성취기준에 벗어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과 반응 관련 문항의 총 배점에 대한 각각의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의 배점 비율을 학교 별로 산출한 결과, 모든 학교에서 출제하고자 하는 문항 수가 성취기준보다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11개교 중 6개교에서 1개 이상의 성취기준이 평가문항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극과 반응 관련 문항의 총 배점에 대한 각각의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의 배점 비율을 학교 별로 산출한 결과, 상의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의 배점 비율이 학교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필평가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특정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평가하는 문항들이 편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written test items of science, stimulus-response, in middle school 9th grade through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according to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A total of 166 written test items from 11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written test items which were against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Second, though there were more written test items than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all schools, one more achievement standards were not included in written test items of science in 6 middle schools. Third, the rate of score on high level achievement items to total score on all level achievement items was varied in every school. Therefore written test items must not be concentrated on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to increase content-validity in science written tests.

      • KCI등재

        An Assessment of Korea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Shin Donghee,Chu Hyeeun,Lee Eunah,Ko Heeryung,Lee Moonam,Kang Kyunghee,Min Byungmee,Park Junehee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5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6 No.4

        This study was initiated to understand what students know, how they feel, and how they act in the perspectives of environmental literacy. This study takes it a very serious problem that there has been no data about Korean students’status of environmental literacy so far. Based on the correct diagnosis of Korea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including national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and strategy, would take the right way. This study accepts Simmon (1995)’s framework of environmental literacy, consisting of 5 areas, environmental knowledge, skills, affect, and behavior, which is consistent with general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s in environmental literacy and factors contributing to improving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his study also checked which factors, including age, gender, parents’ school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and students’ science-related attributes,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science educators keep in mind how important it is to teach science from the perspectives of environmental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