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Learners’ Indirectness in English Refusal Performance

        강현숙(Hyeon Sook Kang)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3 영어교과교육 Vol.12 No.3

        The study examined how Korean learners’ indirectness was realized in English refusal speech act performance. The study had two research questions, 1)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express indirectness and what linguistic and pragmatic background they have, 2) if the chosen social factor, familiarity, influences the intended degree of directness and what the rationale is. Sixty nin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ree types of data were used in the study. The DCT contained 8 situations of four eliciting speech acts; offer, invitation, suggestion, and request. The attached questionnaire to each DCT situations and retrospective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interchangeably analyzed. First, the participants’ intended degree of indirectness was not realized as they first desired. Some refusals with indirect intention were direct, and more number of refusals with direct intention was indirect. A few expressions were mistakenly used and the participants felt more difficulty in making direct refusals. Lack of linguistic knowledge, limited exposure to refusal speech acts might be the reason for the performance. The one social factor, familiarity seemed influential on the decision of intended indirectness. Yet, situational property affected the decision also.

      • KCI등재

        Students Perceptions on English Grammar Learning and Instruction in a College

        Kang Hyeon Sook(강현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본 연구는 그 결과를 수업설계와 교과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학생들의 영문법 학습과 대학 영문법 강좌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 것이다. 주관식 응답과 객관식 응답을 구할 수 있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토익점수에 따라 상/하반으로 구분하여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영어학습에 있어 영문법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해 동의하면서 영문법 학습과 대학에서도 영문법 강의가 필요함을 인정하였다.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는 문법용어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특히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 더욱 그러하였으며 문장형식, 어순에 대해 가장 많이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학습방식에서는 규칙을 먼저 학습하는 연역적 학습 방법을 선호하였고 문법 번역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또한 대학에서도 영문법 강좌를 개설해 줄 것을 원하였으나 필수교과목이 아닌 선택교 과목으로서의 개설을 희망하였다. 증가하는 온라인 강좌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는데, 학생들은 오프라인 학습을 선호하였으며, 온라인 강좌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이유들도 다양하게 언급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대학에서의 영문법 강좌에 대한 여러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항목의 결과만이 아니라 학생들의 다양한 주관식 응답 또한 교수자와 교과과정개발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고 하겠다. The study examined students perceptions on English grammar learning and instruction in a college in order to provide better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to them. Whether the upper level students have a different idea from the lower level ones are also examined. A questionnaire with open-ended and close-ended questions is used. The participants confirmed the positive role of grammar in improving their language ability, regardless of their proficiency level. They appeal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grammatical terms. Sentence patterns, caused by different word orders between English and Korean, are the most problematic in learning English. Deductive way of learning grammar rules and translation are welcomed in getting grammar instruction. Positive opinion about an opening of a grammar course in a college is confirmed, as an elective one. Their opinion of online and offline learning is also examined. Offline learning is favored, and their reasons for it are given. A few interesting suggestions on a better grammar course are included.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s not detected in most of the responses, but the upper level group appreciates the role of grammar in improvement of reading and writing more than the lower level group, while lower level group feel understanding grammatical terms more challeng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all taken into account when practitioners develop English teaching syllabus and curriculum.

      • KCI등재

        차용어휘에 대한 화용적 접근 - ‘리스펙’을 중심으로

        강현숙(Kang, Hyeon Sook) 담화·인지언어학회 2020 담화와 인지 Vol.27 No.1

        This paper explores how a borrowed word, ‘리스펙’ is perceived to Koreans. The main tools are a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리스펙’ has two Korean counterpart words, ‘존경’ and ‘존중.’ The three word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semantic meaning and pragmatic scope of usage. ‘리스펙’ is mainly used to replace ‘존경’ rather than ‘존중,’ and it is considered more implicative, exclamatory and applicable than the other two in certain situations. Adaptation of its semantic or pragmatic functional range is confirmed in the process of borrowing. A few definitions of English ‘respect’ is hired, when ‘리스펙’ is used in Korean. The context to use ‘리스펙’ is decided by a few factors, such as age or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Motivation to use it is to express youthful, playful, or trendy attitude. The paper may contribute to increasing awareness of pragmatic function of borrowed words and expressions.

      • KCI등재

        초급영작문 수강 대학생들의 동료수정에 대한 경험

        강현숙(Kang Hyeon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동료수정(peer feedback)에 대한 기존의 논문들은 대체로 중급이상의 학습자를 대상 으로 한 논문이 대부분이며 양적 연구에 치중한 부분이 있다. 본 논문은 초급 영작문을 수강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법을 더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 재의 한 대학에서 초급 영작문을 수강하는 27명의 대학생이다. 학생들이 응답한 설문지 와 인터뷰를 중심으로 교사의 기록과 작문샘플도 수집, 분석되었다. 학생들은 동료수정 에 대해서 처음부터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한 학기 동안의 동료수정 활동 후 동료수정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생들은 동료수정에 대한 신뢰가 가 장 큰 걸림돌로 여겼으나 연구결과 이는 추측만큼 중대한 문제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동료수정은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에 참여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으며 학생들이 말하는 여러 원인들은 기존 논문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부분이 있다. 또한 동료수정은 교사에게 도 영작문 지도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동료수정활동이 성공적으로 행해지기 위 한 여러 조건들도 학생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덧붙여, 논문의 결과를 기초로 몇 가지 제 안을 포함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s students perception on peer feedback activities in a low-level ESL writing class. Four types of data was used; questionnaires, interviews, a journal, and writing samples. Twenty-seven students who enrolled in a writing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positive perception on peer feedback was enhanced after experiencing peer feedback. Even though they worry about their peers quality of feedback, it is not as bad as they worried. Peer feedback is beneficial to them in that it makes them engage in learning, and leads to an autonomous learning. In addition, it has many other useful purposes to students and teachers. The students are also talking about conditions for peer feedback activities; such as prior training, anonymous feedback, and group construction. Discussions are includ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영어능력 수준에 따른 대학교양영어 비대면비실시간수업에 대한 인식

        강현숙(Kang, Hyeon-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비실시간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효과,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요인, 학습유형 및 패턴, 수업진행방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대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영어능력 수준별 집단간 응답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들은 대면수업을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나, 비대면비실시간 수업이 비대면실시간 수업보다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비대면비실시간 영어수업은 언어학습 영역 중에서 듣기 영역 학습에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며 이어서 읽기 영역 학습을 쓰기와 말하기보다는 더 효율적으로 생각하였다. 학교, 교수자, 학습자 요인 중에서는 학습자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보고 있으며, 교수자의 진행방식과 강의의 질의 중요성을 확인시켰다. 더불어, 비대면비실시간의 학습유형 및 패턴, 수업 진행에 관련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여러 문항에서 영어능력 수준에 의한 비대면비실시간 수업 및 학습유형 등에 대한 차이가 있다. 학생들은 현재와 유사한 상황에서 비대면실시간보다는 비대면비실시간을 더 선호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의 미래에도 대면/비대면 혼합수업, 비대면비실시간 수업에 대해 상당수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비대면비실시가 수업 개설시 교양영어 수업 교과과정 계획 및 수업 설계에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이 있다.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learn students perception on online asynchronous class in college English course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English language ability. Methods The main tool for the study is a questionnaire of 20 questions. An evaluation test is performed to decide their level of English language ability. Results Online asynchronous class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than online synchronous class, and it brings self-directed educational ability and achievement in learning. It is more adequate for learning listening and reading than other language skills in learning English.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learner is regarded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instructor-related ones and school s systematic supports. Conclusions Difference in their English language ability affects different perception in the result of a few survey questions. Their preference on class type in the following semester and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other results of the stud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online class lesson planning.

      • KCI등재

        대학교양수업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 : 평가타당성과 정의적 효과를 중심으로

        강현숙(Kang Hyeon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Peer assessment has been mostly used in education, with many important benefits reported in terms of student learning. This paper examines students perception on peer assessment in a university elective course. First, this paper confirms university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peer assessment and its use as a grading tool. Second, their perception on validity of peer assessment is supported. An ability to evaluate peers is highly positively viewed and influence of the familiarity to peers is negated. Peer assessment is regarded as a more efficient tool than faculty assessment or self assessment. Third, among many affective benefits of peer assessment, those who do best in class activities without much knowledge about the attending course are believed to be favored in peer assessment, although it is denied in this study. Other effects of class participation and sincere attitude are also considered to be achieved through peer assessment process. This paper concludes that peer assessment is positively accepted by college students, and hence confirms its application in a university elective course.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선택수업에서 동료평가, 평가의 타당성, 정의적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도구는 17개 문항의 설문지이고, 동료평가에 참여한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동료평가의 취득점수, 수여점수를 비교해 보고 동료평가에 대한 전반적 인식, 평가의 타당성, 평가의 정의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참여자들의 학업성취도는 동료평가의 취득점수와 뚜렷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참여자들은 동료평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동료평가점수의 학점 반영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평가자인 자신과 동료의 평가능력에도 높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친밀도의 영향력은 낮게 보았다. 또한 교수평가나 자기평가보다 동료평가가 더 정확할 것이라는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동료평가로 인한 여러 가지 정의적 효과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참여학생들의 동료평가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은 대학의 교양선택수업에서 동료평가가 적절한 평가의 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 Comparative Study of Refusal Response of Korean and English

        Lee, Seen-You,Kang, Hyeon-Sook 홍익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人文科學 Vol.8 No.-

        본 논문은 한국인과 미국인 화자의 거절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12가지 항목의 설문지가 사용되었고 설문지는 요구에 대한 거절, 제안에 대한 거절, 제공에 대한 거절, 초대에 대한 거절이 각 3항목씩 포함되어있다. 각 항목은 사회적 지위의 차이를 두고 고안되었으며, 거절하는 사람이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동일한 사람에게, 낮은 사람에게 하도록 되어있다. 50명의 한국인과 45명의 미국인이 설문에 응하였다. 한국인들은 영어와 한국어로 된 설문에 응하였다. 논문의 결과는 베베, 타카하시, 율리스-웰츠(Beene, Takahashi, and Uliss-Weltz)가 1990에 만든 '거절의 분류(Classification of Refusals)'에 따라 분석되었다. 의미론적 형식(semantic formulas)의 순서와 빈도, 그리고 거절하는 이유의 내용이 비교되었다. 우선, 한국인들의 간접적으로 말하는 경향이 화용론적 전이(pragmatic transfer)의 증거로 뚜렷하였다. 한국인들은 간접적 거절의 한 분류인 '아니요' 혹은 '그러고 싶지 않아요/그럴 수 없어요'등의 '비수행적 어투(Nonperformative)'를 미국인보다 적게 사용하였고 비수행적 어투로 거절을 시작하는 것도 피하였다. 또 다른 화용론적 전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것으로 미국인들과 차이를 보인 한국인들의 의미론적 형식은 공히 영어와 한국어에서 같은 양상으로 더 많이, 혹은 더 적게 나타났다. 한국인들이 언어적 유창성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거절을 하기 전에 후회(Regret), 휴지 보충어(Pause Filler), 감사(Gratitude/appreciation)로 거절을 시작하기를 선호하였다. 한국인들의 다양한 의미적 형식의 이용 부족도 또한 나타났으며 다변(verbosity) 역시 한국인들의 의사 능력 보충을 위한 전술(tactics)로 나타났다. 의미적 형식 사용의 빈도와 순서에서 뿐만이 아니라 거절의 내용의 있어서도 한국인들은 화용적 전이를 나타냈다. 한국인들은 미국인들과 유사하지 않은 이유를 많이 사용하였고 불분명한(vague) 이유들도 한국인들의 거절 내용에서 더 빈번하였다. 자신의 위치나 능력에 대한 부정(negation)도 한국인들이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이유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