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시각에서 본 프랑스 교리교육운동의 거대한 방향

        Joseph Colomb,곽진상(Kwak, Jinsang) 옮김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이 논문은 20세기 초부터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개최되기 전까지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던 교리교육쇄신운동의 방향과 노력 그 성과를 제시하고, 더 발전시켜야 할 전망을 제시한다. 20세기 초 교육학과 심리학의 발전은 당시까지 교회가 수행해 온 문답식 교리교육에 대한 비효과성(inefficace)을 여실히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조셉 콜롱은 더 효과적인 교리교육을 위해서, 교육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연구결과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어린이의 조건(나이, 상황, 신앙정도)에 따른 교리교육, 곧 살아있는 신앙으로 이끄는 ‘점진적 교리교육’을 주장했다. 또한 어린이들의 실천과 경험을 중시하는 능동적(actif) 교육을 강조했다. 다른 한편, 신학적 측면에서는 그 당시까지 스콜라 신학의 영향 아래서 교의신학적 정식들을 ‘설명하는 것(expliquer)’에 집중했던 주지주의적(intellectualiste) 교리교육에 대한 신학적 문제가 제기되었다. 콜롱은 교리교육 신학의 쇄신을 위해 먼저 교리교육의 원천(Sources)인 성경(Bible)과 전례(Liturgie)로 되돌아가 교리(doctrine)보다는 하느님의 말씀과 복음의 메시지(message)를, 신앙의 지식적 차원보다는 전인적이고 실존적(existentiel) 차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비그리스도교화가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상황(‘예비자 사회(société catéchumenat)’)을 직시하고 교리교육을 선교적 관점 곧 복음화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길을 열었다. 이러한 인문학적이고 동시에 신학적인 결과들을 통합적으로 수용하여 발간한 그의 대표작 ‘점진적 교리서(catéchisme progressif)’는 당시의 보수주의 신학자(스콜라 신학자)들에 의해서 많은 비판을 받았고, 마침내 1957년 교황청으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그가 이끌고 주장한 교리교육 운동을 수용하고 그동안 제기되었던 신학적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교리교육운동의 거대한 방향이 올바로 진행되었음을 확증해 주었고, 더 나아가 교리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도 제시해 준다. Cet article montre la pertinence des orientations, des efforts et des limites du Mouvement catéchétique en France, qui a eu lieu depuis le début du XXe siècle jusqu’au concile de Vatican II. Le développement de la pédagogie et de la psychologie a fait repenser à l’Eglise sur l’inefficacité de la catéchèse d’alors. En face de cette situation, Joseph Colomb propose une “catéchèse progressive” qui se caractérise par la réalisation selon le degré de l’âge et les conditions des auditeurs, en adoptant des résultats pédagogique et psychologique. Une telle catéchèse vise à conduire les enfants à la foi vivante d’une manière active. D’autre part, Joseph Colomb s’est consacré au problème théologique du catéchisme. Il s’agit de souligner l’inefficacité de la théologie catéchétique, appelée une théologie “intellectualiste” qui domine le catéchisme national. Car celui-ci se consacrait à expliquer les formules théologiques de la méthode “question-réponse” insistant exclusivement sur la connaissance. Pour renouveler une telle catéchèse, il se décide, sous l’influence des mouvements biblique et liturgique, de retourner à sa source, c’est-à-dire la Bible et la liturgie. Ce qui est plus important c’est la Parole de Dieu ou le message du Christ par rapport à la doctrine dogmatique et la vie de foi elle-même dans le domaine de la foi existentielle. D’où son œuvre capitale, le catéchisme progressif. Mais aux yeux des théologiens de Rome, ce catéchisme, devenu au coeur d’un débat, semblait négliger la doctrine surnaturelle, immuable, et finalement en 1957 le Saint-Office démissionnait son auteur, le père Joseph Colomb avec deux catéchistes. Mais le Concile de Vatican II a bien repris les orientations du mouvement catéchétique, en résolvant des problèmes théologiques concernés, et a ouvert de nouvelles perspectives de catéchèse pour le fut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