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인격적 인간-우주 이해와 그리스도 중심적 생태신학의 원리

        곽진상(Kwak, Jinsang)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신학과 철학 Vol.- No.24

        본 논문은 과학으로부터 얻은 지식과 비전을 통해서 신학의 쇄신을 가져왔던 피에르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인간이해의 독특성을 탐구하고, 그로부터 오늘날 한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생태신학적 원리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떼이야르의 주요저서들을 세밀히 분석한 제1부에서는 그의 인간과 우주에 대한 이해가 근본적으로 인격주의적 특성이 있다는 것을 밝힌다. 제2부에서는 그의 인격주의적 인간과 우주이해로부터 오늘날 생태신학이 근거해야할 중요한 원리들을 신학적으로 조명한다. 첫째, 생태신학은 자연주의적 생태영성을 극복해야 한다. 물질이 생명의 모태일 뿐만 아니라 물질의 심장이 우주적 ‘영’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둘째, 생태신학은 자연을 신격화하는 범신론적 접근이나 자연주의적 내재주의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오히려 초월적이고 인격적인 하느님의 흔적을 분별해야 한다. 셋째, 생태신학은 그리스도 중심적이어야 한다. 그리스도의 육화의 원리에 정초한 그리스도 중심의 생태신학은 그리스도의 우주적 본성을 자기 것으로 삼아야 하며, ‘그리스도의 몸(corpus Christi)’인 우주의 종말론적 원리를 취한다. 넷째, 생태신학은 교회론적 원리로서 성사적 특성을 드러내야한다. 물질, 자연, 인류 전체를 그리스도의 몸으로 변화시키는 성체성사의 신비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신비를 드러내는 장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s understanding of human and universe, and, from his view point, to draw the principles of eco-theology that newly emerges today in Korea. The analysis of his major texts shows that his understanding of human and universe is essentially personal. His understanding of personal human and universe gives us several principles of eco-theology: The first principle is to repulse the eco-spirituality based on naturalism. The fact that material is a fountain of life points out the need of respect for material, but we should not fail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the universal ‘spirit’ which is essential for material. The second principle is that eco-theology should discern God's transcendental and personal footprint from pantheism and the intrinsicism of naturalism. The third principle is that eco-theology should be Christ-centered. The Christ-centered eco-theology uses the principle of God's incarnation and the eschatological principle of the universe which is ‘body of Christ’. The fourth principle is that eco-theology should reveal the ecclesiological principle and the sacramental natures. The mystery of Eucharist which transforms material, nature and humans into the body of Christ reveals the mystery of the Church that is also the body of Christ.

      • 오늘날 요청되는 실천신학의 과제와 태도

        곽진상(Kwak Jinsa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49 No.1

        오늘날 우리는 다원주의 사회 속에 살고 있다. 과학에 대한 철저한 신봉과 종교에 대한 무관심, 그리고 다원주의에 따른 상대주의와 인간의 자율성에 대한 과도한 주장은 기성 종교에 대한 규범적이고 권위적인 전통을 부정하는 후기-근대주의의 영향 아래서 한국 교회에 신앙의 위기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실천신학의 학문적 기여를 추구하는 이 논문은 신앙과 삶의 분리 현상과 ‘신학’과 ‘사목’ 사이의 외부주의적 문제를 주제로 삼고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한다. “신학은 사목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저자는 20세기 다양한 신학의 발전을 추적하면서, 신학과 사목의 관계 문제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탐구하고, 그로부터 오늘을 위한 실천신학의 과제와 태도를 도출한다. 오늘날 요청되는 실천신학은 신앙 전달의 매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기존의 신앙 진술을 검증하고 그 진술이 참된 삶의 진리로서 제시되고 있는지를 식별하며, 왜곡된 신앙을 교정하고, 전통을 보호하는 ‘치료적’ 신학함의 자세를 취해야 한다. We live in a pluralistic world which is simultaneously sceptical of religion while placing uncritical faith in science. This post-modern condition, with its embrace of relativity and autonomy, aversion to a meta-narrative, and a consequent disdain for the prescriptive and authoritative traditions of established religions, is creating a crisis of faith for the Church in Korea. Faced with this situ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practical theology by focusing on the problem of the ex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heology and pastoral practice. The key concern is, “How can theology serve pastoral practice?” To answer this question, the author, having traced the development of theology in the 20th century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logy and pastoral practice, proposes pastoral directions and goals for the church and theological required attitude. Contemporary practical theology as a “fundamental-practical theology” must adopt a “clinical attitude” toward theological discourses and those practices, verify and discern whether those discourses are both authentic to tradition and promote a fruitful life as a “truth of life”, and finally purify distortions.

      • 4차 산업혁명과 그리스도교 인간학의 위기: 인간 본성에 관한 신학의 문제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8 이성과 신앙 Vol.65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identity crisis which people are experiencing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 era characterized by inter- disciplinary and inter-science technological convergence. The paper seeks to explore,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atic theology, how the Christian interpretation of human nature can be presented in a universal manner, confronted with divergent scientific rationalities. In the first instance, the paper grapples with the issues of human nature as articulated by an evolutionary-biological and post-humanist interpretation of human nature. The paper builds on this analysis to articulate the limitations of rationalist essentialism which, in rejecting anormative role for morals, defines human nature as the mere sum of its parts. The paper concludes by both positing a reinterpretation of the intrinsic transcendence and spiritual character of the human being and suggesting three areas which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for a anthropological theology to adequately engage the new problematic posed by the contemporary separations of faith and reason as well as theology and science. Firstly, from an ontological perspective, theology must highlight the spiritual dimension (i.e. the immanent transcendence) of all living creatures in order to overcome the separation of faith and reason. Secondly, in opposition to the instrumentalization of human life, theology must promote the integrity of human life as an ‘absolute medium’ of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body. Thirdly, theological anthropology needs to challenge contemporary science by rediscovering and articulating the innate historical and relational presence of the light of Christ with in human nature. 이 논문은 학제간 그리고 과학기술간 융합으로 특징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간의 정체성 위기 문제에 집중하여, 그리스도교 인간 본성 이해가 어떻게 다양한 과학적 이해 앞에서 보편적으로 제시될 수 있는지 조직신학적 입장에서 탐구한다. 우선 진화생물학적 인간 본성 이해와 포스트휴머니즘의 인간 이해가 제기하는 인간 본성의 문제들을 포착한다. 이어서 인간을 구성하는 여러 속성들의 총합으로 정의하는 이성주의적 본질주의의 입장과 윤리에 대한 규범적 역할을 거부하는 입장의 한계를 지적한다. 이어서 신앙과 이성, 신학과 과학의 분리주의에 직면하여 그리스도교 인간학이 주장하는 인간 본성의 내재적 초월성과 영적인 특성을 재해석하고, 마지막으로 새로운 신학적 문제제기를 위해서 오늘날 신학적 인간학이 더욱 발전시켜야 할 요소들을 세 가지로 제안한다. 첫째, 이성주의적 본질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존재론적 측면에서 영적인 피조물로서의 인간 본성 이해가 필요하다(내재적 초월성). 둘째, 신학은 인간 육체의 도구화에 대항하여 인격의 절대적 매개로서의 육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촉구하며 통합적 인간 이해에 집중해야 한다. 셋째, 신학적 인간학은 현대의 과학이 고유하게 제시하는 인간 본성의 역사성과 관계성을 그리스도 계시의 빛으로 새롭게 인식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 불트만의 예수와 실존론적 성서해석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0 No.-

        이 논문은 많은 오해와 비판을 받고 있는 불트만의 신학사상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그의 주저,『예수』를 분석하고(제1장) 그로부터 그리스도 신앙의 의미와 신학적 과제와 관련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그의 신학적 업적들을 도출한다.(2장 1절) 이어서 비판적 안목에서 오늘날 그리스도론에서 더욱 발전시켜야할 요소들을 지적한다(2장) 제1장에서는 역사적 예수에 관한 몇몇 정보들에 기초하여 ‘예수의 생애’를 복원하면서 예수를 정치적 혁명가, 엄격한 윤리주의자, 지혜의 스승 등으로 소설화 했던 자유주의 신학을 거슬러, 불트만이 어떻게 예수상을 그리고 있는지 자세히 분석한다. 초대 교회로부터 전승된 예수의 설교와 가르침을 통해서 역사적 예수에게로 접근할 것을 밝히고(1절), 종말론적 하느님 나라를 선포한 예언자 예수의 모습(2절),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선호했던 지혜의 스승인 랍비로서의 예수(3절)를 차례로 제시한 다음,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대립시켰던 종말론적 예언자 예수와 지혜의 스승 사이의 일관성을 제시한다. 예수의 하느님 나라에 관한 종말론적 메시지는 지금 삶의 자리에서 하느님의 뜻에 순종하도록 부르는 한에서 양자는 서로 부합한다. 마지막에서는 오늘날에도 매 순간 하느님의 뜻 앞에 결단하도록 촉구하는 하느님 말씀의 운반자를 제시한다.(4절) 제2장에서는 종말론적 특성을 강조한 불트만의 신학으로부터 앞으로도 견지해야 할 그리스도 신앙의 의미들을 여섯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그리스도 신앙의 역사적 특성과 실존적 특성, 역사주의의 극복, 주석학과 신학이 만남,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사이의 연속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신학적 측면에서 불트만 신학의 한계를 지적한다. 해석학적 측면에서의 텍스트와 실존적 의미 사이의 간격, 인간 본성의 형이상학적 측면, 신앙의 주관주의화 위험, 신앙의 사회적 특성이 그렇다. This article, in order to evaluate Bultmann’s theology which is widely misunderstood and criticized, analyzes his major piece of work Jesus (Chapter 1) and from that draws some fruitful theological achievements that should be preserved now and hereafter. Then it comments on potential further development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Chapter 2). Chapter 1, restoring the ‘life of Jesus’ based on some information about historical Jesus and countering the efforts of liberal theologians which novelize Jesus as a political rebel, a strict moralist or a master of wisdom, closely examines how Bultmann is illustrating the portrait of Jesus. It explains that this article restores historical Jesus by reviewing his sermons and teachings (paragraph 1), then presents the portrait of Jesus as an eschatological prophet of the kingdom of heaven (paragraph 2) and as a rabbi (master of wisdom) as supported by liberal theologians (paragraph 3), and points out the consistency among these two portraits. Given that eschatological message calls us to obey to God’s will in our everyday lives, there is certain correspondence between those two portraits. Jesus’ sermons are the ‘Porter of Word’ that every moment call us to make decision consistent with God’s will (paragraph 4). Chapter 2 presents six aspects of Christianity that are drawn from Bultmann’s eschatological theology and we should adhere to. They are historical and existenti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ity, conquest of historicism, meeting between exegesis and theology, continuity among historical Jesus and Christ of Kerygma (paragraph 1). Finally, it points out Bultmann’s theological limitations from fundamental theological and Christological perspectives. The limitations are the distance between the text and the existential meaning in the aspect of hermeneutics, the metaphysical characteristic of human nature, the danger of subjectivism of the Christian faith,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faith (paragraph 2).

      • 앙리 드 뤼박의 초자연 신학과 은총에 대한 비판적 이해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39 No.-

        Selon la foi chrétienne, l’homme créé à l’image de Dieu est destiné à la vision béatifique, sa fin surnaturelle. Se pose ainsi une question fondamentale : Comment comprendre cette doctrine contradictoire d’un homme tout à la fois être naturel avec une fin proportionnée à ses propres forces, et n’ayant qu’une unique fin surnaturelle? Il s’agit de la question de la nature humaine et de celle de la grâce. Cet article traite de cette question chez Henri de Lubac. Cette recherche a pour but d'en faire ressortir des éléments essentiels qu'on trouve chez le père de Lubac afin de mieux saisir la thoélogie spécifique à l'Eglise coréenne qui essaie de saisir le contenu de la foi chrétienne dans sa spécificité en tenant compte d'un certain problème extrinsèque. L'auteur procède en quatre temps. Dans un premier temps, il présente la problématique du P. de Lubac sur le surnaturel, puis son combat contre le système de la 'nature pure' fruit de l’extrincésime naturaliste. Dans un troisième temps, il présente la position originale de notre auteur. Enfin, il relève les acquis essentiels pour la recherche théolgieque pour l'Eglise de Corée. Contre le système de la nature pure, soutenu par les néothomistes jusqu'alors, de Lubac s'efforce de montrer que l'homme n'a pas deux fins, naturelle et surnaturelle. Créé à l'image de Dieu, l'ê̂tre humain comme esprit a une vocation unique et surnaturelle qui est sa fin dernière. En reprenant la doctrine de saint Thomas selon lequel l'homme a le désir naturel de voir Dieu, il montre que ce désir est à la fois naturel parce qu’en nous et surnaturel parce qu’appelé au surnaturel. Comme don et comme appel d’amour, il n’est pas de nous. Telle est la position essentielle d’H. de Lubac. Selon l'auteur, cette thèse lubaccienne caractérisée trop "formelle" contribue, dans l'histoire de la théologie, à dépasser le dualisme naturaliste. Mais la manière dont le P. de Lubac a pris sur le terrain du surnaturel ne satisfait pas totalement l'auteur, en tant que théologien coréen. Car il a laissé de cô̂té à préciser le mystère du Christ, centre du contenu de la foi chrétienne. Si l'on tient compte de la situation multireligieuse de la Corée, c'est là qu'il faut approfondire dès maintenant.

      • 이성과 신앙의 '내부적' 관계에 대한 앙리 드 뤼박(Henri de Lubac)의 사상: 그리스도교 신앙이 인류에 가져다 준 진정한 기여의 관점에서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8 이성과 신앙 Vol.36 No.-

        Cet article traite de la relation entre la raison et la foi en reprenant cette fameuse question : "Y a-t-il une philosophie chrétienne?" Cette question s'origine dans un débat philosophique des années trente en Occident, concernant le rapport vu comme paradoxal entre la foi fondée sur la révélation et la raison critique. En effet, ce débat philosophique a été suscité par Emile Bréhier dans la Société française, et à sa suite un grand nombre de philosophes et théologiens sont intervenus : E. Bréhier, Etienne Gilson, Jacques Maritain, Maurice Blondel, Gabriel Marcel, Joseph Huby, B. de Solage, H. De Lubac, etc… L'auteur de cet article a pour but de saisir la pensée originale en ce qui concerne le rapport entre la raison et la foi et d'en faire ressortir les enjeux théologiques pour faire aujourd'hui de la théologie en Corée. Pour atteindre ce but, il analyse en profondeurl'article de de Lubac, "Sur la philosophie chrétienne. Réflexions à la suite d'un débat" (1936). Distinguant et critiquant les solutions proposées par les philosophes et les théologiens en réaction à la négation posée par E. Bréhier, notre théologien prend sa position. A l'encontre de l'extrinsécisme qui établit une relation extrinsèque entre la raison et la foi, de Lubac établi une relation intrinsèque. Cette solution n'implique pas l'immanentisme prétendu souvent par les rationalistes. Dans un débat avec Maritain et Gilson, il s'éloigne aussi de l'historicisme qui prétend trouver l'existence de la philosophie chrétienne par une méthode purement historique. Enfin, dans un débat avec Blondel, il affirme que la philosophie chrétienne doit être ouverte au surnaturel en montrant que la spécificité de la révélation chrétienne est surnaturelle au niveau du formel et du contenu. La méthode que De Lubac a prise pour résoudre le problème de la philosophie chrétienne montre que le rapport entre la foi (théologie) et la raison (philosophie) n'est pas un rapport extrinsèque mais un rapport intrinsèque. La foi n'est plus contre-raison mais sur-raison. Elle n'exclut pas la raison mais la féconde en lui donnant un objet àpenser. De plus, elle est une réalité mystérieuse qui transforme radicalement le sujet. La foi chrétienne ouvre donc la raison et l'achève enfin. Telle est la thèse de de Lubac concernant notre sujet. Aux yeux de l'auteur, cette thèse lubacienne invite tout d'abord àrepenser d'une manière nouvelle le contenu de la révélation et l'apport du christianisme au monde en tenant compte de la situation coréenne qui est caractérisée par un sentimentalisme superficiel et une diversité de religions. Mais ce n'est pas tout. Elle fait repenser aussi comment empêcher la naturalisation et la conceptualisation du contenu de la révélation surnaturelle. Tels sont les nouveaux enjeux théologiques que suscite la pensée de de Lubac.

      • 조직신학적 입장에서 본 사도 바오로의 복음 선포: 현대의 선교를 위한 신학적 기초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8 이성과 신앙 Vol.37 No.-

        Se préoccupant de la manière d’annoncer la Bonne nouvelle en Corée où cohabitent diverses religions qui veulent proclamer leur propre vérité, l'auteur perçoit l'urgence d’une recherche sur le véritable contenu de l'Evangile, avant de penser à la manière de l’annoncer. Alors il se pose cette question : Qu'est-ce que Evangile? Pour répondre à cette question, il analyse, du point de vue de la théologie systématique, des lettres de saint Paul, apôtre de la mission, afin d'en souligner des éléments essentiels permettant de résoudre certains problèmes de la mission qui se posent aujourd'hui. Selon l'auteur, la recherche sur le contenu de l'Evangile chez saint Paul permet de déterminer comment prendre en charge la mission aujourd'hui. Pour présenter le résultat de cette recherche, l'auteur procède en quatre étapes. Dans une première étape, il rappelle un grand débat autour de saint Paul, suscité par les théologiens libéraux et rationalistes du XIXème siècle: "Est-il le fondateur du christianisme?" Selon l'auteur, il ne l'était pas, il a reçu l'Evangile de Jésus par la Tradition, comme les apôtres de l'Eglise primitive. Mais il parle à juste titre de "son Evangile" puisque celui-ci a été reçu par la révélation de Jésus ressuscité. D'où l'importance du rapport entre l'Evangile de Jésus et son propre Evangile. Dans une deuxième étape, l'auteur consacre du temps à approfondir des aspects essentiels de l'Evangile, du point de vue de Paul, l'annonciateur, l’apôtre de l'Evangile. Chez Paul, Jésus-Christ est l'Evangile lui-même. Le contenu de son évangile consiste dans les événements de la mort sur la croix, la résurrection de Jésus-Christ et la justification réalisée en lui, par lui. Il s'agit du salut de tous en Jésus-Christ. La spécificité théologique de saint Paul concernant l'Evangile se cacratérise tout d'abord par le rapport avec l'Eglise : l'Evangile fait l'Eglise et inverse aussi. L'Evangile réalise une communion avec le Christ et cette communion se manifeste dans l'Eglise comme réalité eschatologique. Dans la troisième étape, l'auteur recherche les traits du contenu de l'Evangile de Paul du point de vue du récepteur. Selon lui, la spécificité de l'acte de foi chrétien comme réponse à la révélation de Jésus-Christ se trouve dans l'expression paulinienne "pisteuéin éis Christon" (croire en Christ). Cela montre bien que l'objet de la foi chrétienne est la personne de Jésus-Christ, non pas quelque chose de lui. En même temps, l'acte de croire est une réponse personnelle et libre. Dans la dernière étape, celle de la réflexion théologique systématique, l'auteur repère des éléments importants qui permettent de donner un principe de la théologie missionnaire pour aujourd'hui. La nouveauté chrétienne soulignée par Paul consiste dans le vrai Dieu vivant, révélé en Jésus-Christ qui est Sauveur de toute l'humanité. Et cette nouveauté détermine une méthode de la mission. Basé sur ce principe, l'auteur propose finalement de souligner pour la mission la nouveauté chrétienne face au contexte multi-religieux. Les activités missionnaires prendront leur sens dans la mesure où elles sont liées au Christ, nouveauté absolue et éternelle. L'Eglise, réalité mystérieuse d'unité spirituelle de tous, est invitée à vivre et témoigner de cet Evangile. Si on demande "pourquoi la mission?", il faut répondre avec saint Paul: "Car l'amour du Christ nous presse" (2 Cor 5,14)

      • 삶으로서의 신앙: 앙리 드 뤼박 사상의 타당성 연구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1 이성과 신앙 Vol.71 No.-

        앙리 드 뤼박 신부의 신학 작품은 근본적으로 ‘삶의 교리’로서의 그리스도 신앙 개념 위에 정초한다. 삶의 가르침으로서의 그리스도 신앙은 근본적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힘이며, 그리스도에 의해 새롭게 변화된 삶을 의미한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현재 한국교회가 당면한 교리교육과 사목문제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우선 인간은 믿음에 대한 본성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이 신앙은 인격적 응답으로서 하느님과의 실제적 만남에서 현실화된다. 셋째, 신앙은 구체적으로 영원히 새로운 그리스도와의 만남에서 이루어지는 살아 있는 실재이다. 이러한 신앙에 관한 세 가지 핵심 이해는 한국 교리교육의 방향 설정에 정당성을 준다. 특히 신앙의 권유인 교리교육은 살아있는 실재로서의 신앙의 내용, 통교된 생명으로서의 신앙을 살아 있는 방식으로 권유하도록 요청받는다. 교리교육 신학은 한국 교회의 맥락에서 살아있는 신앙으로서의 교리와 언제나 의미를 추구하는 인간의 삶 사이의 만남을 중시해야 한다. Father Henri de Lubac found himself faced with social,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tendencies in his day that are far from alien to those we encounter today, in particular in Korea. As a result, his thought is highly relevant. It focuses principally on the concept of the Christian faith as a doctrine of life, and allows that faith to be rediscovered as a transformative force in life, as a life renewed by Christ. This notion becomes relevant for today’s catechesis and pastoral ministry in three respects: human beings have a natural capacity to believe, faith is a personal response and a true encounter with God, and faith is a reality that is ever new, in the image of the novelty that is Christ himself. A catechesis that proposes faith can thus gain from keeping these three points in mind, and from considering the content of the faith itself as a living reality. As a result, faith can be understood as the communication of life and can be shared more actively than ever in the context of the Church today.

      • 한국 실천신학의 신학적 학문성 문제 : ‘적용신학’에서 ‘기초-실천신학’으로의 전환을 위한 소고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4 이성과 신앙 Vol.57 No.-

        이 논문은 실천신학의 신학으로서의 학문적 지위(status)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한국 실천신학의 발전사를 보면, 실천신학은 아직도 ‘실천에 대한 이론’이나 ‘이론의 실천적 적용’으로만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인문학적 지식과 이론들을 신학에 적용하거나 성경신학과 교의신학 그리고 기초신학적인 진술들을 현실에 적용하는 학문으로 이해함으로써 실천신학은 신학 안에서 2차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논자는 실천신학이 진정한 신학으로서의 정체성을 견지하려면 ‘적용신학’(applied theology)의 한계를 넘어 ‘기초-실천신학’(fundamental-practical theology)으로서 자리매김할 것을 제안한다. 실천신학이 ‘교회의 실천들’을 다룬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계시진리가 실현되는 역사적 매개체를 정당한 신학적 과제로 삼는다는 것이며, 신앙 현실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그 매개의 방식을 반성하고, 그 원천에 대한 신학적 숙고를 요청하며 그로부터 다시 현실의 문제로 되돌아와 실천적 대안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바로 그럴 때 실천신학은 자신의 고유한 신학적 지위와 정체성을 찾을 것이다. 기초-실천신학으로서의 실천신학은 신학 전체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고 상호 순환적 작업을 통해서 상호 내적인 관계성을 보증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question of scientifical status in practical theology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eology. According to the history of Korean practical theology development, practical theology yet remains a ‘theory of practice’ or ‘real application of theory’. Practical theology remains ranked second in theology, and is merely a science as applicable to the practice of enunciated basic, biblical, dogmatic theology, and humanistic knowledge or theory in the application to theology. Thus, in this article it is proposed that practical theology be posited as fundamental-practical theology in order to maintain a theological identity beyond an ‘applied theology’. When practical theology deals with practices of the Church, it remains the fundamentally rightful theological task with historical medium which realizes revelational truth. From this perspective, practical theology can establish a theological identity and status, providing a practical alternatives in returning to the practical problems from the reflection of the way of medium which arise from the problems of real faith by the theological reflection to the its own origins. Practical theology as fundamental-practical theology confirms a reciprocal internal relation by mutual work in maintaining coherence in the context of theology as a whole.

      • 신경의 문학적 비평과 기초신학적 의미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이 논문은 개인의 신앙고백과 교회 공동체의 신앙고백 사이의 간격, 신앙의 사사화, 신앙에 대한 지식의 부족에 대한 문제들에서 출발하여 진정한 신앙의 대상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교회의 신앙에 이를 수 있는지를 묻는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 교리를 담고 있는 여러 신경들의 기본 구조를 분석하고, 그로부터 신앙 내용과 신앙 행위의 특성과 왜 교회가 신앙생활에 필요한지를 규명한다. 서방교회의 사도 신경은 그 초기부터 ‘credo in’을 중심으로 삼중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Credo in Deum, credo in Jesus Christum, credo in Spiritum Sanctum. 성부와 성자와 성령에 대한 믿음으로 나누어져있는 것이다. 그리스도교 문법파괴(solécisme chrétien)의 하나인 ‘credere in Deum(in + accusative)’ 용법은 신앙 내용의 측면에서(fides quae) 신앙 대상이 인격적이라는 특성을 드러낸다. 뿐만 아니라 신앙 행위의 측면에서(fides qua) 신앙 행위의 전인적 특성(congnitive, volontaire, et personnelle)과 사랑을 동반한 믿음, 그리고 하느님과의 인격적 일치를 향하는 방향성(ordo)을 드러낸다. 또한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든 계시는 역동적 행위로서 인간에 대한 계시를 함축한다. 성삼위 하느님에 대한 신앙은 긍극적으로 내가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와 관련한다. 신경에서 고백의 주체인 ‘나’는 개인으로서의 ‘나’가 아니라 교회 공동체의 ‘나’이다. 우리는 교회를 하느님을 믿듯이(credo in Deum) 교회를 믿지 않는다(Credo Ecclesiam). 그러나 우선적으로 ‘교회를 통해서’ 그리스도의 몸인 신비체에 결합하고, ‘교회 안에서’ 그 궁극적 일치를 이룬다. 그러므로 교회 없이 신앙은 없다. 그리스도에 의해 불리운 이들의 모임인 교회는 그 신앙을 삶으로 보존하면서 동시에 우리에게 신앙을 낳아주는 ‘출산자’이다. Addressing issues like the gap between the confession of faith by an individual and by the Christian community, privatization of faith and lack of religious knowledge, this paper questions what is the true object of faith and how we can reach out to the faith of Church.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analyzes fundamental structures of many Creeds, including the core doctrines of Christian faith. From there, the paper identifies the content and act of faith and traces why church is necessary for the religious life. The Apostles Creed of the Western church, from its early years, has a trifold structure marked by ‘credo in’: credo in Deum, credo in Jesus Christum, credo in Spritum Sanctum. It is Trinitarian fai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ent of faith(fides quae), ‘Credere in Deum’, one good example of the solecism generally accepted throughout the Catholic Church, reveals that the object of faith has a personal character. Moreo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 of faith (fides qua), it reveals the holistic dimension of the act of faith (cognitive, voluntary, personal), along with the faith accompanying love, and the direction towards the personal union with God(ordo). Every revelation of the Trinity is a dynamic deed, implying revelation toward human being. Faith in the Trinity relates to what we are ultimately meant to be. In the Creed, the ‘I’ who confesses faith is not an ‘I’ as an individual but a member of a church community. We do not believe in church(credo Ecclesiam) as though we believe in God(credo in Deum). But primarily we combine with in a Mystical Body as the Body of Christ ‘through the Church’ and achieve the ultimate union ‘in the Church’. Therefore, there is no faith without the Church. Church, an assembly of people called by Christ, preserves faith as a part of life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generator of the faith for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