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HCI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성별화 · 인종화된 돌봄노동과 여성 중국동포 돌봄노동자의 노동경험

        손인서(Son, Inseo)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4

        중국동포 돌봄노동자에 관한 선행연구는 초국적 맥락의 분업화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사회의 성별 · 인종 불평등 구조의 영향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다. 이 연구는 비공식부문에서 돌봄노동자로 일하는 여성 중국동포 22명을 심층인터뷰한 자료를 활용하여 돌봄노동의 성별화되고 인종화된 가정들이 어떻게 중국동포 돌봄노동자의 노동경험을 형성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사회에서 돌봄노동은 가내적인 여성의 일자리로 위치지워져 있다. 이는 중국동포에 대한 한국사회의 인종화된 인식과 결합하여, 저임금, 감정노동, 그리고 장시간 노동이 당연시되며 돌봄노동에 종사하는 노동자들도 가치절하되어 있다. 돌봄노동에 종사하는 참여자들은 성별화되고 인종화된 인식에 대해 경험 많고 자격 있는 노동자로서 자신을 정체화하면서 사회적 편견에 대응한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돌봄 대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을 통해 열악한 노동에 대한 심리적, 상징적 보상을 추구하는 동시에 직무에 충실한 노동자임을 주장한다. 둘째, 참여자들은 한국인보다 뛰어난 자신의 직무능력을 강조함으로써 능력 있는 노동자, 그리고 한국사회의 정당한 성원임을 강조한다. 연구결과는 젠더와 인종이 교차하는 사회적 억압이 돌봄노동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복합적으로 예증한다. Prior literature on Korean-Chinese care workers pays attention to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labor division, often ignoring the role of gender and racial oppressions in South Korea. Drawing upon in-depth interviews with 22 Korean-Chinese female care workers in the informal sector, this study examines how gendered and racialized care labor shapes their work experiences. Findings reveal that care work is devalued in Korean society as domestic and unproductive, suitable for women and immigrants. Participants attempt to identify themselves as experienced, professional workers against the gendered and racialized assumptions of care work. First, participants affectively attach to the cared, by which they attempt to psychologically and symbolically compensate for the devalued, arduous labor. Second, they claim to be qualified in care work by comparison with Korean counterparts, stressing themselves as decent workers. Findings illustrate how the intersectional oppression of gender and race affects lived experiences of immigrant care workers and how they resist it.

      • KCI우수등재

        중국동포 돌봄노동자의 경력이동 : 연령화 · 인종화된 인식과 이주민 불평등

        손인서(Son, Inseo)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8

        한국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 돌봄노동자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문화적응과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이들의 노동경험, 특히 중장년 이주민의 노동경험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중국동포 돌봄노동자와의 인터뷰 자료를 이용해 이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의 경력이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한국 노동시장에서 연령과 민족(인종)에 따른 차별과 이주민 불평등이 어떻게 참여자들의 경력이동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노동시장에서 연령에 따른 직업위계가 존재한다고 인식한다. 연령화된 직업위계 인식은 부분적으로 중국동포에 대한 인종화된 관념과 노동시장 차별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참여자들의 연령화 · 인종화된 인식은 나이별로 돌봄노동 종사에 대해 서로 다른 인식을 낳는다. 중장년층의 참여자들은 돌봄노동 일자리를 ‘늙고 병들어’ 선택할 수밖에 없는 마지막 경력이동으로 인식한다. 이주민이라는 사회적 위치로 인한 건강상 불이익과 노동시장 차별은 이들의 돌봄노동에 대한 인식의 배경으로 작용한다. 반면에 30대의 젊은 참여자들에게 돌봄노동 종사의 의미는 상향이동의 차단, 즉 경력이나 자본을 쌓을 수 없는 막다른 골목으로 인식된다. 결국 중장년 중국동포는 은퇴를 미루고 계속해서 돌봄노동에 종사할 의지를 보인다. 지연된 은퇴는 이민자의 지위에 기인한 불평등의 결과를 보여준다. 연구 결과는 중국동포 노동자에 대한 구조적 불평등이 경력이동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예시한다. Prior literature on Korean-Chinese care workers in Korea mainly pays attention to their adaptation processes or identity constructi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ir labor experiences, in particular among aging immigrants. Drawing upon in-depth interview data with Korean-Chinese care workers, this study explores their perception on career transition and elaborates how immigration, race, and age concurrently shape their career transitions in the Korean labor market. Analysis reveals that participants share a perceived occupational hierarchy by age for Korean-Chinese workers in Korean labor market. The hierarchy is shaped not only by the racialized assumptions on Korean Chinese, but also participants’ evaluation on workplace discrimination. Also, participants’ perceived job hierarchy differ by age. Older participants consider care work as an inevitable choice for aged and sick immigrants, which reflects health inequality and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Chinese. By contrast, younger participants see it as a dead end for upward mobility, not able to accumulate career or money. Older participants plan to delay retirement and continue to work. Their delayed retirement represents their labor market disadvantages and life trajectories as marginalized immigrants. Findings suggest how immigrant inequality shapes career transitions among immigrants.

      • KCI우수등재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손인서(Inseo Son),이혜민(Hyemin Lee),박주영(Jooyoung Park),김승섭(Seung-Sup Kim)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2

        개인의 생물학적 성별과 성별 정체성이 일치하지 않는 트랜스젠더(transgender)는 게이, 레즈비언, 바이섹슈얼 등과 함께 전통적인 성별 규범에 부합하지 않아 주류사회로부터 배제된 소수자 집단이다. 트랜스젠더는 많은 경우 자신의 성별 정체성에 따라 단순히 외양 뿐만 아니라 신체를 변형시키고자 하는 의료적 욕구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여타 소수자 집단과는 구별된다. 하지만 트랜지션에 대한 사회적 금기로 인해 이들은 의료과정에서 고유한 불이익에 직면하고 있다. 선행연구는 트랜스젠더와 같은 사회적 소수자 집단이 건강상의 불이익 외에도 의료서비스상 불평등에 노출되어 있음을 보고해 왔다. 하지만, 소수자 집단의 의료서비스 불평등을 다루는 문헌들은 주로 진단, 상담, 치료 등 직접적인 의료과정과 의료접근성(access to healthcare)에 국한되어 소수자 집단의 의료서비스 이용에서 사회적 낙인(social stigma)이 미치는 영향을 적절하게 파악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15명의 트랜스젠더를 심층 인터뷰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 관련 의료 서비스 경험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에서 트랜스젠더가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의료적 트랜지션 과정에서 주변화되는 사회적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트랜스젠더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의료적 트랜지션 관련 보건의료 서비스과정에서 단순히 의료기관의 관련 지식, 시설, 편견으로 인한 직접적인 차별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트랜스젠더의 의료서비스 추구 행위 및 의료제공자의 상호작용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국, 트랜스젠더 참여자들은 의료 서비스 과정 전반에서 주변화된다. Transgender people, whose gender identity is different from their biological sex, are sexual minorities who are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in societies where the gender ideology is dominant. Compared to other sexual minorities, transgender people have a medical need for gender transition that has long been a social taboo. Prior studies have reported disadvantages in healthcare sectors among sexual minorities; however, they often fail to consider the effect of social stigma on healthcare service. Drawing upon the in-depth interview data with 15 transgender people in South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process by which the transgender participants are marginalized in healthcare services as a stigmatized group. Findings reveal that social stigma not only results in discrimination in healthcare institutions, but also shapes care-seeking practices of transgender communities and interactions between transgender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The study highlights the marginalization process in healthcare service among transgender people in Korea.

      • KCI등재

        한국의 차별경험과 건강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손인서 ( Son Inseo ),김승섭 ( Kim Seung-sup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한국에서 차별경험과 건강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웹 기반 학술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4년 8월 31일까지 출판된, 차별경험과 건강과의 관계를 연구한 학술논문 52편을 분석하였다. 체계적 문헌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연구들은 2003년에 시작되어 2010년 이후 활발히 진행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에서 양적 연구(N=46)가 가장 많았고 질적 연구(N=5)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양적 연구는 1편을 제외하고 모두 단면 연구(N=45)였다. 셋째, 한국의 차별과 건강에 대한 연구들은 정신건강(N=42)에 집중되어 있으며, 넷째, 인구집단 별로 살펴보았을 때 이주민(N=21), 노인(N=12), 장애인(N=7), 그리고 노동자(N=7)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체계적인 문헌고찰에 기반하여, 향후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학력, 계급, 고용 형태 등에 따른 차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차별측정도구의 정확성과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요청된다. 셋째,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강관련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종단데이터를 이용한 양적 연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다중차별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lthough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has been a main issue in public health,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discussion in a South Korean context. This study sought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 on discrimination and health in South Korea and present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Selected through online academic databases in English and Korean, 52 empirical journal articles are reviewed for this study. A systemic review identifies four main characteristics among the studies o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in South Korea. First, the studie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3 and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2010. Second, most studies have utilized quantitative methods (N=46) with most of them analyzed cross-sectional data (N=45), while five qualitative methods (N=5). Third,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mental health (N=42). Forth, the studies dealt with a variety of population groups including foreigners/immigrants (N=21), the elderly (N=12), and the disabled (N=7). Our critical review suggests several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First, the overlooked forms of discrimination, for instance, based on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nd appearance, need to be examined in South Korea. Second, a more critical approach toward perceived discrimination scales is required for future research. Third, researchers need to explore other health outcomes beyond mental health outcomes. Forth, more studies with longitudinal dataset are required given that there was only one cohort study. Fifth,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an intersectional nature of discrimination and its impact on health.

      • AHCI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Perceived Ethnic Discri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Biethnic Adolescents in South Korea

        Park, Gum Ryeong,Son, Inseo,Kim, Seung-Sup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016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9 No.5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ethnic discri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biethnic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We performed a cross-sectional study of 4141 biethnic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Perceived ethnic discrimination was measured using the question "Have you ever been discriminated against or ignored because either of your parents is not a Korean?" with an assessment of depressive symptoms over the past 12 months.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to examine potential associations between perceived ethnic discri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Results: Among 4141 biethnic adolescents, 558 (13.5%) reported having experienced ethnic discrimination. The most common discriminatory perpetrators were friends (n=241, 5.8%), followed by strangers (n=67, 1.6%). Depressive symptoms were related to experience of ethnic discrimination (odds ratio [OR], 3.80; 95% confidence interval [CI], 2.89 to 4.98)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In an analysis focusing on the perpetrators of discrimination, depressive symptom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erceived ethnic discrimination from friends (OR, 3.95; 95% CI, 2.75 to 5.68), teachers (OR, 4.53; 95% CI, 2.16 to 9.51),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OR, 3.89; 95% CI, 1.59 to 9.48), neighbors (OR, 2.48; 95% CI, 1.14 to 5.38), and strangers (OR, 2.49; 95% CI, 1.30 to 4.79). Furthermore, the OR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those exposed to 1, 2, or 3 or more discriminatory perpetrators were 3.61 (95% CI, 2.49 to 5.24), 3.61 (95% CI, 1.68 to 7.74), and 6.69 (95% CI, 2.94 to 15.22), respectively. Conclusions: According to our findings, friends were the most common perpetrators of discrimination and the experience of ethnic discrimination wa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biethnic adolesc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연관성: 출신지역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유균 ( Kim Yugyun ),손인서 ( Son Inseo ),김승섭 ( Kim Seung-sup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3

        최근 20년 동안 한국으로 유입되는 결혼이민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14,485명의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2012년도 전국다문화가족실태 조사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공기관이나 직장/일터 등 다섯 가지 상황에서의 인종/종족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연관성이 결혼이민자의 성별이나 출신지역(서구권, 비서구권-아시아, 비서구권-기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토하였다.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이민관련 교란변수를 보정하였을 때, 다섯 가지 상황 모두에서 차별경험은 나쁜 주관적 건강수준과 연관되어 있었다. 하지만 출신 지역과 성별에 따라 나누었을 때, 연구 결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여성 혹은 비서구권 지역 출신 결혼이민자들의 경우는 다섯 가지 상황 모두에서 차별경험이 낮은 주관적 건강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그러나 남성 혹은 서구권 출신 결혼 이민자 집단에서는 직장/일터에서의 차별 경험을 제외하고는 차별경험과 자가평가 건강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 사이의 연관성이 결혼이민자들의 출신지역이나 성별에 따라 달라진다는 본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이민자들이 겪는 인종/종족 차별의 구조적 특징을 보여준다. During the past decades, a massive influx of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 has transformed the racial/ethnic composition of Korean populat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became a social problem.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among marriage migrants in Korea and checked how the association differs by their region of origin and gender. We analyzed 14,485 marriage migrant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We assessed perceived discrimination for the five different social situations such as street, public office, and workplace to examine its association with self-rated health. We foun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discrimination at five different social situations and health after adjusting potential confounders including socioeconomic variables. However, after we divided marriage migrants by their region of origin or gender,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shown among non-Western or female marriage migrant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among Western or male marriage migrants except at workplace.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within-group differences among marriage migrant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