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볏짚 유래 수용성 탄수화물 생산에 있어 cellulase, hemicellulase 및 xylanase 최적혼합조건

        Sang Buem Cho(조상범),Sang-Suk Lee(이상석),Chang-Hyun Kim(김창),Kyeong Seon Ryu(류경선),Hee Jun Park(박희준),Hyun Myong(명현),Nag-Jin Choi(최낙진)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1

        본 실험은 효소들을 이용하여 볏짚으로부터 수용성 탄수화물을 생산할 때 각 효소들의 상호작용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볏짚의 수준에 따른 각 효소들의 수용성 탄수화물 생산 활성을 조사한 결과, 볏짚의 수준이 높을 경우(100 g/l)에는 cellulase와 hemicellulase가 서로 유사한 활성을 나타낸 반면, 볏짚의 수준이 50 g/l로 낮아질 경우, hemicellulase의 활성은 낮아지지만 cellulase는 높은 활성으로 유지되었다. 효소반응액에 포함된 볏짚의 수준, hemicellulase 및 xylanase의 상호작용을 Box Behnken design과 반응표면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hemicellulase과 xylanase 간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으며, 각각의 효소들을 0.55 ㎎/㎖와 0.65 ㎎/㎖로 혼합하는 것이 볏짚의 수준과는 상관없이 가장 많은 수용성 탄수화물을 생산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볏짚의 효소처리를 통한 수용성 탄수화물의 생산에 있어 cellulase가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며, hemicellulase과 xylanase는 서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수용성 탄수화물 생성량을 향상시킨다는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of water-soluble carbohydrates (WSCs) by treatment of different amounts of rice straw with cellulase, hemicellulase, and xylanase. Treatment of high amounts of rice straw (100 g/l) with cellulase and hemicellulase resulted in similar production of WSCs. Reducing the amount of rice straw to 50 g/l decreased the production of WSCs by hemicellulase but had no effect on WSC production by cellulase. The interaction among rice straw amounts, and hemicellulase and xylanase activities was investigated using a Box Behnken design and a response surface model. An interaction was found only between hemicellulase and xylanase. An enzyme mixture consisting of 0.55 ㎎/㎖ of hemicellulase and 0.65 ㎎/㎖ of xylanase generated the highest amounts of WSCs, regardless of the amount of rice straw provided. Therefore, the activity of cellulase was higher than that of either hemicellulose or xylanase for WSC production from rice straw. The interaction observed for hemicellulase and xylanase indicates that a combined enzyme treatment could improve the production of WSCs from rice straw.

      • KCI등재

        순천시 신평천 인공습지 조성 후 3년간 식생 및 생활형에 대한 연구

        김창환 ( Chang Hwan Kim ),최영은 ( Young Eun Choi ),김종원 ( Jong Won Kim ),명현 ( Hyun Myong ),이숙이 ( Suk I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1

        신평천 인공습지 조성 후 3년간의 식생 및 생활형 변화 연구를 위하여 2005년 6월부터 2007년 9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2004년에 조성된 신평천 인공습지의 식재종은 14과 18속 15종 5변종으로 총 20종류가 식재되었다. 식재종의 생활형 구성비는 전체의 65%인 대부분을 다년생이 차지하고 있으며 목본류는 물푸레나무와 왕버들, 동백나무, 남천 4종류가 식재되었다. 3년간의 조사 기간 동안 생활형의 변화는 수생식물(HH)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증가하였고 소형지상식물(M), 대형지상식물(MM), 지표식물(Ch), 미소지상식물(N), 다년생식물(H)과 지표식물(Ch) 등도 증가하였다. 식생면적 변화는 애기부들, 달뿌리풀, 갈대 등은 군락면적이 증가하였으나, 다른 식재종의 면적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생활형 면적변화를 살펴보면 수생식물(HH), 1년생 수습식물(Th(w))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소형지상식물(M), 지중식물(G), 미소지상식물(N) 등은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식재 식물의 선정은 인공습지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습지 조성 후 정착된 식물상의 파악 및 이들 식물들의 생활형을 분석하여 인공습지 초기정착에 유리한 종, 천이가 진행되면서 습지의 안정화 및 다양성을 유도하는 종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005 to September 2007 to explore changes of the vegetation and life form in the man-made Wetland along the Sinpyeongcheon for 3 years after its creation. A total of 20 species including 14 families, 18 genera, 15 species and 5 varieties were planted in the Wetland which was completed in 2004. Divided by life form of the planted species, a prevalent 65% of them was composed of perennation while 4 species of woody plants i.e. Fraxinus rhynchophylla, Salix glandulosa, Camellia japonica and Nandina domestica were planted there, too. The 3-year study revealed that hydatophytes (HH) scored the biggest increase in number, followed by slight increase in the number of microphanerophytes (M), megaphanerophytes (MM), chamaephytes (Ch), nanophanerophytes (N), perennial plants (H), etc., featuring generally a similar tendency for the whole period of study. The change in vegetation area increases in the area of Typha angustata, Phragmites japonica, Phragmites communis, etc. but a sharp decrease in the area of communities for other planted species. In terms of change in the area for planted species by their life form, hydatophytes (HH), HH Th (Th(w)) reported gradual increase while microphanerophytes (M), geophyte (G), and nanophanerophytes (N) continued to record a decrease. In conclusion, selection of plants to be planted turns out to play a vital role in molding the destiny of a man-made Wetland. It seems therefore extremel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life and growth form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man-made Wetland in an effort to choose the species that can adapt themselves to the environment from the early phase on, contributing by thus to stabi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damp ground in line with the progression of their succ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