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vidence of Late Pleistocene earthquake from the Central Segment of Ulsan Fault

        Naik Sambit Prasanajit,Ohsang Gwon,Kiwoong Park,Hyeonjo Shin,Young-Seog Ki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Due to lack of surface-rupturing earthquakes during the instrumental earthquake recording time, the Korean peninsula has not been considered as seismically active country. Although there are several historic records of seismic damage, especially along with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locations and sizes of most of these earthquakes are not well constrained. The historical record suggests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experienced several damaging earthquakes including the recent 2016 Gyeongju and 2017 Pohang earthquakes. Since Pliocene, this area is under the compressional tectonic regime, which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Yangsan-Ulsan Fault System. The Yangsan Fault has relatively clear geometry and well preserved morphological feature, and more studies have done along this fault than the Ulsan Fault with more complex structural characteristics. Although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is one of most well studied area in terms of paleoseismology, most of the studies are confined to outcrop scale. There is ambiguity still remains towards the trace of the fault lines and recurrence interval of surface rupturing earthquakes in historical pas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trace the Ulsan Fault line and understand the recurrence interval of earthquakes along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Considering this aim, detailed geomorphic mapping and paleoseismic study has been conducted at 2 sites near Hwalsung-ri, close to Gyeongju city. The Trenches were named as Hwalsung-ri North and Hwalsung-ri South. The present paleoseismic study reveals evidences of multiple earthquakes history along the central segment of the Ulsan fault near Hwalsung-ri. The crosscutting relationship of the exposed stratigraphic units at Hwalsung-ri North suggests the fault has been reactivated more than four times with evidences of four earthquake events whereas the Hwalsung-ri South site shows the evidences of three faulting events. Due to unavailability of suitable material and presence of pebbles we were not able to obtain ages for all the lithounits exposed in the trench. With this constraints, the Hwalsung-ri north site shows evidences of the most recent event occur after 103±2 ka whereas the Hwalsung-ri south trench suggests the most recent event occurred after 61±3 ka. This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past seismicity along the central segment of the Ulsan Fault and to trace the exact location of Ulsan fault which is one of the most potentially dangerous faults in Korea.

      • 울산단층 중부에서 새로이 발견된 신계3단층의 제4기 운동특성

        박기웅(Kiwoong Park),Naik Sambit Prasanajit,권오상(Ohsang Gwon),신현조(Hyeonjo Shin),김영석(Young-Seog Ki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한반도 남동부에 위치한 울산단층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대규모 단층대 중의 하나로,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주향을 갖고 역이동성이 우세한 단층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새롭게 발견된 신계3단층은 경북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에 위치하며, 약 50 km의 연장을 가지는 울산단층의 중부에 해당한다. 본 지역은 동측의 토함산 산지를 따라 남북 방향으로 선상지가 선상배열하고 경사급변점과 삼각말단면 등 제4기 지형인자들이 이에 평행하게 인지되어 신기구조운동의 높은 가능성을 보인다. 본 지역의 지질은 백악기 말-신생대 제3기 초의 불국사 화강암류가 기저를 이루며, 제4기 퇴적층이 이를 부정합으로 피복하고 있다. 제4기 퇴적층은 동측의 토함산 산지에서 공급된 선상지성 퇴적물이 주를 이루며, 역층이 우세하고 일부 사질 내지 실트가 역층 내 렌즈상 또는 얇은 호층으로 협재한다. 지표지질조사 결과, 신계리 공정골을 따라 동-서 방향으로 발달한 계곡 사면에서 기반암 단층의 단층핵과 단층손상대가 연속적으로 분포하며, 계곡 하상에서 1~2 m 내외의 연속적인 수직낙차를 확인하였다. 기반암과 미고결 퇴적층의 단층접촉부에서 정밀분석을 위한 굴착조사를 수행하여 기반암인 화강암이 미고결 하성 퇴적층을 충상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 단층의 운동특성은 울산단층을 따라 보고된 제4기 단층들과 유사하여 동측의 기반암이 서측의 제4기 퇴적층을 충상하는 상반서향의 역이동성 단층운동이 우세하며, 일부 주향이동성 운동을 포함하는 사교이동단층의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퇴적층 내에 건층이나 부정합면이 부재하여 정확한 변위는 산정할 수 없지만 제4기 이후 최소 약 5 m 이상의 누적 수직변위량을 보인다. 특히, 굴착단면에서 단층면의 경사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30°→71°→12°로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이 단층을 따른 복잡한 물성변화, 운동특성 그리고 단층기하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굴착지점의 단층면에서 관찰되는 주향이동성 운동을 지시하는 단층조선과 단층면의 경사가 급변하는 변곡점에 위치한 거력의 존재는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된다. 현재, 미고결 단위퇴적층에 대한 OSL 연대분석이 진행중이며, 연대가 확인되면 본 지점의 정확한 단층발달사를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변에서 보고된 다른 제4기 단층들의 특성과 상호 연관성을 확인하면 울산단층 중부 지역에서 보이는 복잡한 단층특성을 규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