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ccomplishing Mutual Understanding

        Hee Ju(주희)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6 국제한국어교육 Vol.2 No.2

        이 연구는 캘리포니아 기반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프로그램 소속의 초등학교에서 교사와 비계승 한국어 학생들이 한국어만을 사용한 수업 시간에 어떻게 공동으로 상호 이해를 이루는가를 살피는데 목적을 둔다. 이전의 교실 담화 연구를 통해서 교사들이 교실 환경 구조나 운율 체계 및 몸짓을 사용해서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다는 것이 알려져 왔으나 교사와 학생들이 어떻게 서로를 긴밀히 관찰하며 상대방이 사용하는 여러 소통의 수단들을 동원해 하나의 복합 구조로 이해하는지에 대해서는 널리 논의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녹화된 실제 교실 담화를 대화 분석 (conversation analysis)의 전사 및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교사가 어떻게 여러 기호 수단을 사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이해를 돕고 적절한 반응을 하게 하는지를 분석했다. 분석의 결과, 교사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긴밀한 상호 관찰 (mutual monitoring)과 동원된 여러 기호 수단들에 대한 공동 수행(cooperative operation)에 동참함으로써 단일 발화 내에서도 상황 활동(situated activity)을 상호 구축함을 보여 준다.

      • 연극분장이 고등학생배우들의 자신감향상에 미치는 영향

        주희(Hee Ju)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5

        연극은 여러 예술장르들의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구성되어 보여 지는 것으로써 무대장치, 조명, 음향, 의상, 분장, 소품 등의 공연요소들이 조화롭게 분배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극에서 분장은 관객들이 공연을 볼 때 가장 먼저 배우들의 배역을 외형적으로 만나는 부분이며, 배우에게는 자신을 버리고 배역의 모습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여 배우의 연기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연극분장이 고등학생배우들의 자신감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려고 한다. 특히나 학생배우들은 공연과 분장을 경험해본 경우가 드물어 공연을 할 때 분장을 하지 않은 경우와 분장을 한 경우의 자신감 차이를 보는데 효과적이라고 본다.

      • KCI등재

        지화조형(紙花造形) 오브제 연구

        주희(Ju, 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8 미술문화연구 Vol.13 No.13

        본 논문은 연구자의 작품 에피파니 〈Epiphany, 현현(顯現)〉연작을 중심으로 한 지화조형(紙花造形)오브제에 대한 작품 분석연구이다. 우리나라의 민족문화 안에서 꽃에 대한 인식과 지화(紙花)의 의미를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고, 그것이 어떻게 개인의 표현의지와 만나 새롭게 해석되어 연구자의 지화조형(紙花造形) 오브제로 작품화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제주도 지역의 서사무가인 〈생불할망본풀이〉와 〈이공본풀이〉에 나타난 ‘생불꽃’과 ‘서천꽃밭’에는 인간 생명의 탄생과 죽음, 그리고 재생을 상징하는 꽃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불교에서 꽃은 부처의 탄생과 더불어 정신적 깨달음을 의미한다. 각기 희구하는 세계에 들기 위해 이치에 따라 수행하는 인간들의 결실을 의미하기도 하며, 그들을 통해 이루어진 불국토(佛國土)세계의 성스러운 상징물로 자리한다. 우리나라 전통문화에서 한지공예의 한 형태인 지화(紙花)에는 이러한 꽃의 원형심상들이 잘 반영되어 있다. 지화(紙花)는 주로 불교(佛敎)나 무속(巫俗)에서 신과 인간을 이어주는 매개체로,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여 회귀와 환생을 기원하고, 종교적 깨달음과 신앙의 상징을 드러내는 제의적(祭儀的) 용도로 활용되었다. 또한 서민들의 일상적 의례 안에서는 삶의 축복을 기원하는 때에, 그리고 궁중 의례에서는 태평성대의 소망을 담아 곳곳에 장식되기도 하였다. 종교적인 감수성 안에서 지화(紙花)는 ‘시공간을 초월해 성스럽게 피어있는 생명의 종이꽃’이라 할 수 있으며, 연구자는 이러한 지화를 세계간의 초월을 현실적인 삶 안에서 실현시키고 있는 하나의 오브제라고 생각하여 작품 속에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자연의 이치 속에서 꽃이 갖는 생명의 의미에 초점을 두고, 본인의 삶 안에 피어있는 자신의 존재론적 인식을 헤아려 그 안에서 생기(生起)하는 성(聖)의 발현을 ‘에피파니(Epiphany)’ 즉 존재의 현현(顯現)이라는 의미에 담아 조형적으로 표현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화엄(華嚴)철학의 존재이해를 바탕으로 지화조형(紙花造形)을 제작하고, 꽃이라는 형상이 빛과 그림자를 통해 인식되는 모습과, 꽃의 생성과 소멸의 모습을 낙화의 형상을 통해 떨어짐과 피어오름의 동시적 형상으로 시각화했다. 그리고 실의 중첩과 오브제들의 연결을 통해서 연기적 세계의 총체성에 대한 표현을 시도해 보았다. 연구자의 종교성이 깃든 예술적 시선과, 사물과의 관계에서 이원성(二元性)에 대한 극복의지는 불이론적(不二論的) 세계관을 통한 야나기 무네요시의 불교 미학적 관점을 빌어 설명해 볼 수 있었다. 한 문화가 갖고 있는 물질적 정신적 소산은 사회 구성원에 의해 습득, 공유, 전달되며 또한 개인의 해석과 만나 새롭게 재생산되고 확장되기도 한다. 연구자는 본인의 존재론적 인식에서 비롯된 조형의지를 통해서 현대적 지평에서의 전통문화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시도해 보았다고 생각한다. 시대성을 반영한 조형언어의 모색과 재료적 물성에 대한 다양한 실험은 앞으로도 꾸준히 지속되어야할 연구자의 과제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n analytical study on the works of paper flower sculpture objets focusing on the series of “Epiphany, incarnation” of the researcher. The perception of flower and the meaning of paper flower within the national culture of Korea are to be reviewed theoretically, and how a paper flower was interpreted newly by encountering the expression of an individual will is to be materialized as a paper flower sculpture objet of the researcher. In “Saengbul Flower” and “Seo-cheon Flower Garden” of “Saengbul-Halmang Bonpuri” and “Igong Bonpuri”. which are epic Shamanistic chants of the Jeju area of Korea, are the meaning of a flower that symbolizes the birth and death and revival of humans. Also in Buddhism, a flower means spiritual awakening along with the birth of Buddha, and it also refers to the achievements of humans that practice Buddhism in accordance with reasoning to enter their desired world. In addition, a flower is positioned as one of their holy symbols of the land of Buddha. In a paper flower, which is one form of the craft of traditional Korean paper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such prototype images of a flower are well reflected. A paper flower is a medium for bridging between God and humans, mainly in Buddhism or Shamanism, and it provides a wish for return and reincarnation by connecting this life and the afterlife, and it was utilized for ritualistic purposes to reveal religious awakening and to be a symbol of faith. In addition, it was used as decorations here and there to wish for blessings in life in the customary practice of the common people, and in court rituals it harbored a wish for a peaceful reign. From the aspect of religious sensibility, a paper flower may be a “paper flower of life that is a holy bloom by exceeding time and space”. The research utilized this in this work considers it as one objet that realizes the transcendence between different worlds in the realistic life. Focusing on the meaning of life that a flower has in the reason of natur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express formatively the expression of holiness that has a vitality within itself in the context of “epiphany”, namely the incarnation of an existence in consideration of the ontological perception of one’s self as one blooms in lif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Hwaoem philosophy, the researcher created a paper flower sculpture and visualized the shape of perceiving a flower through light and shadow and the creation and extinction of a flower as a simultaneous form of fall and blooming in the shape of a falling flower. Also, the researcher attempted an expression of the totality of the co-arising world in connection of the overlapping of threads and the objet. The determination to overcome du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attention and an object embedded with religious sentiment can be found from the Buddhist aesthetic perspective of Yanagi Soetsu through the world values of beauty of non duality. Material and spiritual products of a culture are learned, shared, and transferred by social members, and they are reproduced and extended newly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interpretation. The researcher made a new attempt at traditional culture on the contemporary horizon through a formative will stemming from an ontological recognition. The search for formative language reflecting temporality and various experiments on materialistic physical property should be a project for the researcher to work on consist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