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주 지역 주민 경제 활동 지원을 위한 수요자 맞춤형 기상·기후 정보 서비스 발굴

        최광용 ( Gwangyong Choi ),박혜정 ( Hye-jeong Park ),허택산 ( Taiks-san Heo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제주지역 주민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 주요 산업 활동을 고려한 수요자 맞춤형 기상·기후 정보서비스 항목을 발굴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주민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제주 지역에서는 필요성, 시급성, 공익성, 수익성을 모두 고려할 때 지역 규모 태풍 피해 탐지 시스템이 가장 우선적으로 지역주민들이 필요로하는 서비스 항목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항공교통, 해운교통, 도심홍수, 산악 위험기상, 해양레포츠, 풍수해 보험, IT기반 관광정보, 가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기후시스템이 단기적으로 우선적으로 제공될 필요성이 있는 서비스 항목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요자 설문에 기반하여 발굴된 기상·기후 서비스 항목들은 과거의 생산자 중심의 단순 기상 요소 정보 시스템에 비하여 지역주민의 경제 활동 증진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nts of user-customized weather and climate information services that the residents in Jeju, Korea need with priority for the improvements of local economic activities. Analyses of survey data from local residents demonstrate that among many services, the typhoon monitoring system at local levels is most needed by residents in Jeju for better performance of major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agriculture, fisheries and tourism. In addition, weather and climate information service systems that support aviation/navigation, urban flooding, mountain hazardous conditions, marin sports, insurance, IT-based tourism, droughts, crop production and wildland fire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systems with higher priorities for local residents. These information obtained from local residents may help to establish the user-customized weather and climate information systems improving their economic activiti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ducer-centered ones displaying the simple observed weather and climate records.

      • KCI등재

        제주도 지역 체감온도의 시ㆍ공간적 분포 특징과 장기간 변화 경향

        최광용 ( Gwangyong Choi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 기후관측소의 장기간 기후 자료에서 제주도 지역별 일별 체감온도(열지수, 바람냉각지수, 보통체감온도 지수) 자료를 구축하여 사계절 체감온도의 시공간적 패턴의 특징과 동아시아 몬순 시스템과의 관련성 및 장기간 변화추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장기간(1988∼2017년) 평균 연중 시계열 자료에 의하면 여름철 이외의 계절에는 제주도의 풍부한 바람의 영향에 의한 바람냉각 효과로 체감온도가 기온보다 더 낮아지는데, 특히 한겨울에는 체감온도가 기온보다 장기간 평균적으로 2.3∼5.8°C이상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제주도 겨울철 체감온도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강도 지수와 유의미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반면 여름철 체감온도를 나타내는 열지수는 여름몬순에 의한 수증기 유입으로 한여름철에 공기온도보다 평균적으로 3.6∼4.6°C 정도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장기간 시계열 자료는 사계절 모두 제주도 체감온도 상승이 기온의 상승 경향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들은 특히 21세기 온난화에 의해 발생 가능한 재난 수준의 열파로부터 많은 제주 관광객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여름철 체감온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가리킨다. In the present study, spatio-temporal patterns of seasonal apparent temperatures in Jeju Island, Korea and their associations with East Asian monsoon systems as well as their long-term changes were examined. To do this, daily apparent data sets consisting of heat index, windchill index and universal apparent temperature were reconstructed from long-term climate data sets archiv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long-term (1988∼2017) average annual time-series data, the appar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air the temperature due to the wind chill effect by the affluent wind of Jeju Island in the seasons other than the summer. In mid-wintertime, the climatological average of appar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by 2.3∼5.8°C. The apparent temperature in winter in Jeju Island show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nsity of Siberia high pressure index. On the other hand, the climatological average of the apparent temperature in mid-summer becomes higher up to 3.6∼4.6°C than air temperature due to the inflow of moisture by summer monsoon. Long-term time series data show that the apparent temperature increase in Jeju Island has progressed faster than the air temperature rise trend.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constantly monitor the summer apparent temperature in order to protect a large number of Jeju tourists from the heat waves of disaster level that can occur in the warmer 21<sup>st</sup> century.

      • KCI등재

        현재와 미래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형태 변화

        최광용(Gwangyong Choi),권원태(Won-Tae Kwon)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후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최근 한반도 겨울철 강수현상에 나타난 변화 양상과 그 원인을 밝히고, 21세기 후반 기후모델(GFDL 2.1) 자료를 바탕으로 미래의 겨울강수 변화추세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61개 지점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35년 동안(1973/74~2006/07) 우리나라 겨울철(11~4월) 총 강수량은 변화가 없었지만, 강설량은 약 4.3㎝/10년의 비율로 감소하였다. 1980년대 후반 이후 강설일수가 감소하고, 강설강도가 약해지고, 강설계절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설수일율(전체 강수일 수에서 강설일이 차지하는 비율)도 낮아졌다. 이러한 패턴은 겨울철 강수형태가 점차 강설에서 강우의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우리나라 겨울철 강수 형태의 변화는 겨울철 양(+)의 북극진동(Arctic Oscillation)에 의해 한반도 주변의 겨울철 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나타난 기온상승과 관련되어 있다. 1980년대 후반 이후의 동북아시아 지역의 기압 상승은 한반도 주변의 대기와 해양 온도를 차별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대기안정도 증가에 의한 눈구름 형성 감소와 관련된 대기-해양간 온도경도를 감소시켰다. 모델생산 미래(2081~2100) 기후자료와 20세기 후반(1981~2000) 기후자료 비교 분석 결과, 21세기 말에는 대기 중 온실기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온난화가 강화되어 겨울철 강설기간이 더 짧아지고 강설불가능일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current changes in wintertime precipitation in Korea and to predict the future directions based on surface observational (1973/04~2006/07) and modeled (GFDL 2.1) climate data. Analyses of surface observation data demonstrate that without changes in the total amount of precipitation, snowfall in winter (November~April) has reduced by 4.3㎝/decade over the 1973~2007 period. Moreover,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snowfall have decreased; the duration of snow season has shortened; and the snow-to-rain day ratio (STDR) has decreased. These patterns indicate that the type of wintertime precipitation has changed from snow to rain in recent decades. The snow-to-rain change in winter i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s of air temperature (AT) over South Korea. Analyses of synoptic charts reveal that the warming pattern is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a positive pressure anomaly core over northeast Asia by a hemispheric positive winter Arctic Oscillation (AO) mode. Moreover, the differentiated warming of AT versus sea surface temperature (SST) under the high pressure anomaly core reduces the air-sea temperature gradient, and subsequently it increases the atmospheric stability above oceans, which is associated with less formation of snow cloud. Comparisons of modeled data between current (1981~2000) and future (2081~2100) periods suggest that the intensified warming with larger anthropogenic greenhouse gas emission in the 21<SUP>st</SUP> century will amplify the magnitude of these changes. More reduction of snow impossible days as well as more abbreviation of snow seasons is predicted in the 21<SUP>st</SUP> century.

      • KCI등재

        우리나라 사계절 개시일과 지속기간

        최광용(Gwangyong Choi),권원태(Won-Tae Kwon),David A. Robinson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4

        본 연구에서는 일기온 자료를 바탕으로 사계절을 정의하여 지난 32년(1973-2004)동안 우리나라 장기간 평균적인 사계절의 개시일과 지속기간의 공간적 분포패턴 및 최근의 그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공간적으로, 장기간 평균적인 봄철과 겨울철 개시일은 위도 및 해발고도의 영향을 받아 남-북(성산포-대관령)으로 각각 최고 44일과 63일의 차이를 보인다. 반면, 여름철 개시일은 위도보다는 해양과 해발고도의 영향을 받아 한반도 내륙지역에서 여름철이 제주도보다 일찍 시작된다. 사계절 지속기간에 따라 긴 계절부터 짧은 계절 순으로의 조합의 공간적 패턴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는 특징적으로 5개의 계절주기 기후유형이 군집되어 나타난다. 한편, 최근 한반도에 나타난 기후변화가 계절주기에도 반영되어, 1980년대 후반 이후에 우리나라의 전체적으로 겨울철 개시일은 4일 늦어지고, 봄철 개시일은 6일 빨라져서 겨울철 길이가 10일 정도 짧아졌다. 이러한 겨울철 축소현상은 1980년 중반이후 남부지방에서 시작되어 1990년 접어들면서 북쪽으로 확대되어 한반도 전역에 걸쳐 나타났다. 인위적으로 콘크리트화가 진행된 우리나라 대도시 지역에서는 이러한 겨울철 축소현상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고, 심지어 여름철 지속기간도 국지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한반도의 겨울철 축소현상은 추운계절 동반구 극지방(0-90°E, 65-85°N)의 지오포텐셜 고도장(925hPa) 변화와 원격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우리나라 겨울철 지속기간의 감소현상은 최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시그널로 나타나는 겨울철 기온상승 추세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long-term spatial patterns and recent trends of seasonal onsets and durations defined by daily temperatures in South Korea for the period 1973-2004. Spatially, spring and winter onset dates show approximately 44 day and 63 day maximum difference respectively between south and north (Seongsanpo to Daegwallryeong) attributable to the impacts of latitudes and altitudes. In contrast, summer onset, which is more affected by proximity to oceans and altitudes than by latitudes, begins earlier in interior low elevated areas than in the coastal areas but earliest at higher latitudes than Jeju Island. Five climatic types regarding the seasonal cycles in South Korea are spatially cluster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longer seasonal durations. As a reflection of recent climate changes on seasonal cycles in South Korea, winter duration was shortened by 10 days during the post-1988 period due to a late winter onset of 4 days and an early spring onset of 6 days. The winter reduction began in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id-1980s and spread northward during the 1990s period, ultimately appearing everywhere. In urbanized cities, where much of the surface is covered with asphalt or concrete, the winter reduction was intensified and summer duration was locally incremented. The reduced winter duration in recent decades shows significant teleconnections with variations of geopotential height (925hPa) in the eastern Arctic region (0-90°E, 65-85°N) during the cold season. The reduction in winter duration in South Korea agrees with results in overall global warming trends as a climate change signal.

      • KCI등재

        우리나라 사계절 극한기온현상의 시·공간적 변화

        최광용(Gwangyong Choi)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40년 동안(1973~2012) 우리나라 기상청 61개 기상관측소에서 관측한 일최고기온 및 일최저기온 자료를 분석하여 계절별 극한기온현상 변화의 시·공간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평균적으로 봄철에는 온난일의 증가, 여름철에는 한랭야의 감소와 온난야의 증가 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가을철에는 여름철과 유사하게 한랭야의 감소와 온난야의 증가, 겨울철에는 한랭야의 감소와 한랭일의 감소 경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도시화 정도에 상관없이 온난야와 같은 야간 극한기온 현상의 변화는 대부분의 계절 전이 기간에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주간 극한기온현상의 변화는 특정 월에만 나타난다. 대조적으로, 한랭일은 봄철과 여름철에, 온난일은 여름철에, 온난야는 겨울철에 대부분의 관측지점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지닌 변화를 살펴볼 수 없다. 온난화에 대한 극한기온현상 변화 민감도는 봄철에 온난일(+6.3일/℃)과 한랭야(-6.2일/℃), 여름철에 온난야(+10.4일/℃)와 온난일(+9.5일/℃), 가을철에 온난일(+7.7일/℃), 겨울철에 한랭야(-4.7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온난화 과정에서 복잡한 기후변화 피드백에 의해 우리나라의 극한기온현상들이 계절마다 주·야간별로 비대칭적인 변화 추세와 민감도를 보이면서 변화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changes in seasonal extreme temperature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data sets observed at 61 weather stations for the recent 40 year period (1973~2012). According to analysis of regional average data, in spring increases of warm days are most distinct, while in summer reductions of cool nights and increases of warm nights are most noticeable. The similar patterns to those in summer are observed in fall, while in winter reductions of cool days and nights are notable.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urbanization, changes in nighttime extreme temperature events prevail in transitional periods between seasons, while those in daytime extreme temperature events do so only in particular months. In contrast, cool days in spring and summer, warm days in summer and warm nights in winter do not show any statistically-significant changes at most of stations. The sensitivity of seasonal extreme temperature events to increases of seasonal average extreme temperature is greatest in the case of warm days (+6.3days/°C) and cool nights (-6.2days/°C) in spring, warm nights (+10.4days/°C) and days (+9.5days/°C) in summer, warm days (+7.7days/°C) in fall, and cool nights (-4.7days/°C) in winter,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hanges in seasonal extreme temperature events and their sensitivity to changes in seasonal climate means under a warmer climate are occurring with seasonally and diurnally asymmetric magnitudes in Korea due to complex climate feedbacks.

      • KCI등재

        우리나라 사계절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변화

        최광용(Choi, Gwangy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40년간(1973∼2012) 우리나라 기상청 산하 61개 관측지점의 일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1∼5일 누적 최대 강수량에서 추출한 각 계절별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발생 패턴과 변화 양상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사계절 중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규모 자체는 여름철에 가장 크지만, 계절 강수량 증감에 따른 극한강수현상 규모 변화민감도는 가을철에 더 높게 나타난다. 장기간 시계열에 나타난 선형 추세 분석에 따르면, 1∼5일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규모는 동일하게 사계절 중 여름철에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는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 특히, 경기도와 강원영서,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여름철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증가 규모가 크고 뚜렷하게 나타나고, 1일에서 5일로 누적 기간이 길수록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증가 경향은 이들 지역 이외에 소백산맥 주변지역에서도 관찰된다.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는 이러한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 증가추세는 일부 관측지점에서는 겨울철에도 1∼2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에 나타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한편, 극한강수량이 계절 강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 추세를 분석해보면, 사계절 중 겨울철에 증가 경향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들은 여름철뿐만 아니라 다른 계절의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변화에도 대비할 필요성이 있음을 가리킨다. In this study,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and changes in seasonal multi-day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defined by maximum 1∼5 days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observed at 61 weather st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 recent 40 years(1973∼2012) are examine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magnitude of multi-day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s greatest in summer, while their sensitivity relative to the variations of seasonal total precipitation is greatest in fall. According to analyses of linear trends in the time series data, the most noticeable increases in the magnitude of multi-day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are observable in summer with coherences amongst 1∼5 days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particular, the regions with significant increases include Gyeonggi province, western Gangwon province and Chungcheong province, and as the period for the accumula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increases from 1 day to 5 days, the regions with significantly-increasing trends are extended to the Sobaek mountain ridge. It is notable that at several scattered stations, the increases of 1∼2 days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are observed even in winter. It is also observed that most distinct increasing tendency of the ratio of these multi-day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to seasonal total precipitation appears in win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active actions are needed for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not only summer but also other seasonal multi-day cumulativ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Korea.

      • KCI등재

        조선 중기 이후 서울의 장마철 강수 평균과 극한강수현상의 변화

        최광용(Gwangyong Choi)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측우기(1777~1907년)와 현대적 기상장비(1908~2015년)로 측정한 강우량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서울의 장마철 강수량과 극한강수현상에 나타난 장기간 변화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동아시아 영역의 종관 기후장에 나타난 변화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약 239년 동안의 서울의 강수자료 시계열을 분석한 결과, 20세기 후반으로 올수록 장마철(6월 하순~9월 초순) 강수량이 증가하고, 경년변동성도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초반부터는 장마철 중에서도 여름장마기(6월 하순~7월 중순)와 장마 휴지기(7월 하순~8월 초순)에 극한강수현상 중심의 강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면서 장마기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변화가 뚜렷한 1990년 전후의 상층 종관기후장을 비교해 보면, 최근에는 북서태평양 주변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북태평양 아열대 고기압 강도가 강화되어 해양성 기단이 한반도 방향으로 더 확장하고, 유라시아 대륙 내부 몽골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고기압 편차핵이 형성되면서 고위도로부터 기류가 더 활발하게 유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성질의 기류들이 강해지면서 이들 기류들이 만나는 북서태평양 연안 지역에 상승 기류 흐름이 활발해지면서 최근에는 서울의 장마철 강수 평균 및 극한강수현상이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long-term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precipitation during summer rainy period called Changma (late June~early September) are examined based on rainfall data observed by Chukwooki during Joseon Dynasty (1777~1907) and by modern rain-gauge onward (1908~2015) in Seoul, Korea. Also, characterizations of the relevant changes in synoptic climate fields in East Asia are made by the examination of the NCEP-NCAR reanalysis I data. Analyses of 239-year time series of precipitation data demonstrate that the total precipitation as well as their inter-annual variability during the entire Changma period (late June~early September) has increased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onward. Notably, since the early 1990s the means and extreme events during the summer Changma period (late June~mid-July) and Changma break period (late July~early Augus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resulting in less clear demarcations of sub-Changma periods. In this regard, comparisons of synoptic climate fields before and after the early 1990s reveal that in recent decades the subtropical high pressure has expanded in the warmer Pacific as the advection of high-latitude air masses toward East Asia was enhanced due to more active northerly wind vector around the high pressure departure core over Mongolia.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 enhancement of rising motions due to more active confluence of the two different air masses along the northwestern borders of the Pacific might lead to the increases of the means and extreme events of Changma precipitation in Seoul in recent decades.

      • KCI등재

        Spatial Patterns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Haines Index related to the Wildland Fire Growth Potential over the Korean Peninsula

        Gwangyong Choi(최광용),Junsu Kim(김준수),Myoung-Soo Won(원명수)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2

        대류권 하부의 높은 대기 불안정도와 건조도에 의해 바람이 강한 조건하에 화재 연료도 건조해지면 산불 통제가 어렵고 대형 산불에 의한 더 많은 산림자원과 재산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장기간(1979-2005)의 Haines Index는 한반도상의 대기 불안정도와 건조도의 시공간적 패턴이 우리나라 산불 발생빈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산불발생빈도와 Haines Index 사이의 지수회귀모델은 주요 산불 발생기간동안(12월-4월)의 Haines Index 일평균 값 혹은 월별 발생빈도가 우리나라 산불 발생빈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수치표고모델(DEM)을 고려하여 작성한 Haines Index 기후도에 따르면, 5 이상의 높은 Haines Index는 주로 해발고도 500m 이하의 한반도 북서 저지대를 중심으로 4-5월에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Haines Index의 발생빈도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한반도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특히 경상북도와 동해안 지역을 따라 산불기간 동안 가장 뚜렷하게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연구기간 동안 높은 Haines Index가 2-3일 연속적으로 발생한 극사상(extreme events)이 나타나는 시기의 500h㎩ 종관 평균도에 따르면, 오호츠크해에 발달한 한랭저기압이 한반도 중층대기의 기압경도력을 높여 동서의 강한 바람장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우리나라 산불 예보 시스템에 대기 불안정도나 건조도와 같은 대기의 수직적 요소들의 시ㆍ공간적 특성도 고려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잘 보여준다. Windy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dried fire fuels due to higher atmospheric instability and dryness in the lower troposphere can exacerbate fire controls and result in more losses of forest resources and residential properties due to enhanced large wildland fires. Long-term (1979-2005) climatology of the Haines Index reconstructed in this study reveals that spatial patterns and intra-annual variability of the atmospheric instability and dryness in the lower troposphere affect the frequency of wildland fire incidences over the Korean Peninsula. Exponential regression models verify that daily high Haines Index and its monthly frequenc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frequency of the wildland fire occurrences during the fire season (December-April)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climatic maps of the Haines Index created by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using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the lowlands below 500m from the mean sea level in the northwest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demonstrates the high frequency of the Haines Index equal to or greater than five in April and May. The annual frequency of the high Haines Index represents an increasing tren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mid-1990s, particularly in Gyeongsangbuk-do and along the eastern coastal areas. The composite of synoptic weather maps at 500hPa for extreme events, in which the high Haines Index lasted for several days consecutively, illustrates that the cold low pressure system developed around the Sea of Okhotsk in the extreme event period enhances the pressure gradient and westerly wind speed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for further consideration of the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tmospheric components, such as atmospheric instability and dryness, in the current Korean fire prediction system.

      • KCI등재

        우리나라 산간 분지 지역에서 형성되는 기온역전층의 연중 변동성

        최광용(Choi, Gwangyong),이보라(Lee, Bora),강신규(Kang, Sinkyu),존 텐후넨(Tenhunen, Joh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양구 해안면 펀치볼을 대상으로 연중 우리나라 산악 분지에서 나타나는 기온역전현상의 발생 빈도, 강도, 지속 시간 등의 특징과 강한 기온역전현상 발생 시 대기 상하층 종관 기후 패턴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지역의 연중 기온역전현상은 가을철 새벽에 발생률이 최대 약 46%에 달하고, 그 강도는 한겨울에 최대 약 2.6℃/100m정도로 나타났다. 이 지역의 기온역전현상에 의해 형성되는 냉기호는 겨울철 눈으로 덮인 날에 일출시간 지연 효과 및 눈 반사도 효과로 최대 약 18시간정도 지속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상하층 종관장 분석 결과 강하고 지속 시간이 긴 기온역전현상은 겨울철에 한반도 북부 지역(120~140°E, 40~50°N)에 고기압이 자리 잡아 야간 지표 복사냉각이 잘 이루어지는 종관 상태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ra-annual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intensity and duration of temperature inversion phenomena occurring the in Haean basin (also called as Punch Bowl), a mountainous basin of Korea. The upper and lower synoptic climatic patterns in the occurrence of strong temperature inversion phenomena are also investigated. The incidence probability of temperature inverse layers in the study region reaches up to 46% at dawn in autumn, while its intensity maximizes up to about 2.6℃/100m at dawn in mid-winter. In the study region, the cold air drainage (cold air lake) formed by the temperature inversion phenomenon can continuously last up to about 18 hours until late afternoon on a snow-covered winter days due to snow-albedo effects as well as to the delay effect of sunrise time. The analysis of the upper and lower synoptic weather observations shows that the intense, long-lasting temperature inversion phenomena occur in winter when a high pressure system centering on the northern region (120~140°E, 40~50°N) of the Korean Peninsula is stagn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