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lteration of Lipid Metabolism Related Proteins in Liver of High-Fat Fed Obese Mice

        Eunhui Seo(서은희),Ying Han(한영),So-Young Park(박소영),Hyongjong Koh(고형종),Hye-Jeong Lee(이혜정)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7

        과체중과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신진 대사 질환의 발병과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만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고지방식이는 비만의 원인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C57BL/6 생쥐에게 22주간의 고지방 식이를 주었으며, 이를 통해 비만과 고혈당을 유도하였다. 22주 후에 고지방식이를 한 생쥐들에서 체중과 혈장 포도당 수준이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 크게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복막 내 당 부하 검사(IPGTT)에서도 고지방 식이를 한 생쥐들은 정상 식이를 한 생쥐들에 비해서 당 내성 이상 반응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지방식이가 C57BL/6 생쥐에서 비만 및 고혈당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고지방식이군 생쥐들에서는 정상식이군의 생쥐들에 비해 혈장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의 양이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간에서의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의 수준도 역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간에서의 지질 대사가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알기 위해, 지질대사에 관련된 단백질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지방 합성과 관련된 효소들 중 FAS와 GPAT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의미있게 증가 되어있었으며, 지방 수송에 관련하는 단백질 중에서도 ApoB 및 MTP의 큰 증가가 고지방식이군에서 관찰되었다. 흥미롭게도, 대사 조절 인자로 알려진 AMPK의 단백질의 양과 인산화 정도는 정상식이군에 비해 고지방식이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음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지방식이가 지질 합성과 지질 수송과정을 생리학적으로 증가시키지만, 역설적으로 AMPK의 활성화를 유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Obesity and being overweight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disease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dyslipidemia. High-fat diet (HF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cause obesity. In this study, C57BL/6 mice were treated with a HFD for 22 weeks in order to induce obesity and hyperglycemia. Twenty-two weeks later, body weight and plasma glucose level of the HFD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normal diet (ND) group. 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IPGTT) showed glucose intolerance in the HFD group compared with the ND group.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a HFD induced obesity and hyperglycemia in C57BL/6 mice. Plasma levels of triglyceride (TG) and total cholesterol (TC) were increased in the HFD group compared with the ND group. Hepatic levels of TG and TC were also increased by a HFD.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 of lipid metabolism in liver, proteins which are related to lipid metabolism were observed. Among lipid synthesis related enzymes, fatty acid synthase (FAS) and glycerol phosphate acyl transferase (GPA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D group. Apolipoprotein B (apoB) and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port protein (MTP), which are related to lipid transpor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D group. Interestingly, protein level and phosphory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which is known as a metabolic regulato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D group compared with the ND group. In the present study we suggest that HFD may physiologically increase the proteins which are related with lipid synthesis and lipid transport, but that HFD may paradoxically induce the activation of AMPK.

      • KCI등재후보

        긍정심리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재소자의 스트레스,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서은희(Seo eunhui),김정남(Kim Jeang Nam)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9 동서정신과학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재소자의 스트레스,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행복 및 긍정심리에 관한 이론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Seligman(2006)과 강민아 외(2017)의 긍정심리 이론을 토대로 긍정심리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치소에 수감 중인 재소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사후 회기를 포함하여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2회, 회기 당 60분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M시에 위치한 구치소 재소자 중, 집중인성교육 대상자 20명을 실험집단, 다른 2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만 긍정심리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들 대상으로 스트레스 반응 척도, 우울 척도, 심리적인 긍정적 기능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점수를 비교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공변량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는 F(1, 37)= 56.756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우울 감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공변량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F(1, 37)=25.234 , p<.001 수준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공변량분석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는 F(1, 37)= 160.609 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tres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prisoners. For this reason, we considered the preceding study focusing on the theories of happiness and positive psychology. Based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theory of Seligman, Kang Min-ah and others(2017), the positiv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reorganized by modify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suitable for prisoners in jail.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sessions, including a pre - and post-session session, twice a week and 60 minutes per session. The participants conducted a positive psychological group counseling program only for the laboratory population, consisting of 20 inmates in a detention center located in M,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20 others in a controlled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the stress response measures, depression measures, and psycho-positive positive functional measures were conducted on these subjects. To test the effects of this study, the stress response scale, depression scale, and psychological positive functional scale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Cronvach s Alpha was used to test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homogeneity test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by t tes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analyze the covariance analysis(ANC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factors affecting stress reduction, The effect of pre-post stress on the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rough covariance analysis was F(1, 37)= 56.756,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vel of p<.001. Second,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showed that the effect of pre-post-depression o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at F(1, 37)= 25.234, p<.001 level There was an effect. Third, th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that the effect of pre-post-treat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covariance analysis was [F(1, 37)= 160.609, p<.001].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비교성향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

        서은희(Seo Eunhui),김정남(Kim Jeungnam)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사회비교성향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5월 29일에서 6월 8일까지 10일간 부산지역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고, 이 중 295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사회비교성향, 열등감,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 사이의 관계를알아보기 위해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비교성향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기분석으로 Baron과 Kenny가 제시한3단계 검정과정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사회비교성향(t=-3.272, p<0.001)과 사회불안(t=-3.634, p<0.001)은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열등감(t=-.891, p>0.05)은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사회비교성향은열등감(r=.463, p<.01), 사회불안(r=.448, p<.01)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비교성향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Baron과 Kenny가 제시한 3단계 검정과정과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사회비교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열등감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첫째, 사회비교성향이 열등감과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사회비교성향을 줄이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우리나라 교육제도에서 학업 수행에 대한 평가방식이 상대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어 사회비교성향을 부추기는 경향이 있으므로 평가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사회불안 수준이높은 대학생 내담자의 상담에 있어 사회비교성향과 열등감을 줄이는 개입방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feriority fee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ocial anxiety. To do this, we surveyed 300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 from May 29 to June 8, 2017 and 29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Measuring instruments used social comparison tendency, inferiority feeling, and social anxiety scal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feriority fee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ocial anxiety, we conducted the three step test and the Sobel test proposed by Baron and Kenny. First, social comparison tendency (t=-3.272, p<0.001) and social anxiety (t=-3.634, p<0.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inferiority feeling(t=-.891, p>0.05)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social comparison tendenc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feriority feeling (r=.463, p<.01) and social anxiety (r=.448, p<.01). Thir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feriority fee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ocial anxiety, we conducted the three - step test and the Sobel test proposed by Baron and Kenny. The resul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unrest, inferiority feeling was partially media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measures to reduce social comparison tendency because social comparison tendency affects inferiority feeling and social unrest.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evaluation method because there is a tendency to encourage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because the evaluation method of academic performance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s mainly composed of relative evaluation. Second,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methods to reduce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inferiority feeling in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 who have high social anxiety level.

      • KCI등재

        De novo Expression of Hepatic UCP3 Is Time-Dependently Related with Metabolic Function in Fenofibrate-Treated High Fat Diet Rats

        Mi-Kyoung Park(박미경),Ah-Young Kang(강아영),Eunhui Seo(서은희),Yeonsoo Joe(조연수),Soojeong Kang(강수정),Sook-Hee Hong(홍숙희),Duk Kyu Kim(김덕규),Hye-Jeong Lee(이혜정)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

        Uncoupling protein 3 (UCP3)는 골격근에서 주로 발현되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이다. 생체의 대사기능에 관여할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그 역할에 대하여 깊이 연구되어 있지 않다. 최근에 고지혈증 치료제인 페노파이브레이트를 처치한 쥐의 간에서는 UCP3가 새로이 발현 유도된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본 연구자들은 새로이 발현되는 UCP3가 비만쥐의 지방조직을 감소시키며,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이 발현되는 UCP3의 시간에 따른 발현 양상과 대사 기능의 연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8주령 흰쥐를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은 고지방 식이를 실시하고(HF군), 다른 군은 고지방 식이와 페노파이브레이트(HFF군)를 함께 복용토록 하였다. 10주 동안 식이와 약물을 처리하면서 1, 3, 6 주에 간조직을 분석하였으며, 매주 먹이량, 체중, 체온을 측정하였다. 페노파이브레이트에 의하여 간에서 새로이 발현되는 UCP3는 2주부터 시작하여 3, 6주에 아주 높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두 군 간의 먹이량의 차이는 없는 반면, 페노파이브레이트 처리군에서 6주부터 시작하여 체중증가가 억제되며,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체온은 페노파이브레이트 처리군에서6주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UCP3의 발현에 의한 간에서의 upcoupling 현상에 따른 발열현상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로 유추해 볼 때, UCP3 발현이 3-6주부터 많은 양이 생성되어 생체의 대사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시기와 연관되어 체중, 체온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Uncoupling protein 3 (UCP3) is a mitochondrial protein that is expressed predominantly in skeletal muscle. It may play a role in altering metabolic function. However, its major physiological roles are not fully understood. Recently de novo expression of UCP3 in rat liver by fenofibrate was reported. We also reported previously that fenofibrate-induced de novo expression of UCP3 contributes to reduction of adipose tissue in obese rat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at fenofibrate-induced expression of UCP3 in rat liver is related with metabolic function such as body weight and hepatic lipid content by time-dependent manner in high-fat diet rats. Eight-week-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high fat diet group (HF, n=16) and fenofibrate-treated high fat diet group (HFF, n=16). The mRNA expression of hepatic UCP3 was detected as early as 1 week of fenofibrate treatment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and the amount of mRNA was increased time-dependently. The mean body weight of the HFF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compared with the HF group after 6 weeks of fenofibrate treatment, even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f food intake between the two groups. Rectal temperature was increased during 4 to 6 weeks of fenofibrate treatment and body weight was decreased after 6 weeks of treatment. These results were corresponded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the expression of UCP3 mRNA and protein. We suggest that de novo expression of hepatic UCP3 is increased time-dependently with fenofibrate treatment and that the amount of expression is correlated with metabolic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