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르톨린선의 선양낭포성암 2 례

        박상윤,이제호,박기복,이경희,이의돈,조경자,김민경,박영양,김해숙,명나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3

        The reported cases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Bartholins gland are extremely rare. We experienced two cases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Bartholins gland. Authors presented two cases with a brief review o literatures.

      • KCI등재

        여성 외음부의 악성종양에 대한 근치적 외음절제술 및 대퇴박근 통상편 피부근육판 유경이식 술 4 예

        박상윤,이제호,박기복,이경희,이의돈,김민경,박영양,김해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2

        저자 등은 본원 산부인과에서 1986년 10월부터 1988년 7월까지 2년간 근치적 외음부절제 술 및 대퇴박근 통상편 피부근육판 유경이식술을 시행한 여성외음부암 4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he radiclal vulvectomy with gracilis myocutaneous pedicle graft is commonly performed in patient with vulvar malignancy. We have experienced 4 cases of radical vulvectomy and gracilis myocutaneous pedicle graft for vulvar malignancies in this hospital from 1986 to 1988. We presents the cases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40 세이하 연령층의 자궁내막암 10 례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박은동,김원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9

        본 교실에서는 한국에서의 40세이하 여성들의 자궁내막암의 특성 및 역학조사와 치료에 도움을 주기위하여 1984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10년간 고신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았던 총 10례의 40세이하 자궁내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기록부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재검토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도별 발생빈도는 최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5년을 주기로 볼때 첫 5년간은 2례, 후 5년간은 8례의 발생율을 보여 4배 발생빈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1992년 2례, 1993년 5례가 발생하여 최근 발생율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2. 연령별 발생빈도는 30세이하 5례(50.0%), 31세에서 35세사이 1례(10.0%), 36세에서 40세사이 4례(40.0%)로 30세 이하에서 가장 많았으며 첫 진단시 평균연령은 32.9세였다. 3. 젊은 자궁내막암 환자의 위험인자와의 관계를 보면 불임증 환자 7례(70.0%), 다낭성 난소동반환자 5례(50.0%), 비만 1례(10.0%), 고혈압 환자 1례(10.0%)를 나타내었다. 4. 젊은 자궁내막암 환자의 병기 및 조직학적 분화도를 조사한 결과 수술요법을 시행한 환자 8례에서 1989년 FIGO분류에 의한 수술적 병기를 조사한 결과 모두 stage I이었으며 이중 I A 6례, I B 1례, I C 1례로 나타났다.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 2례는 모두 임상적 병기 Ia로 분류되었다. 조직학적 분화도는 자궁내막암의 조직학적 분화도의 조사가 가능하였던 환자는 총 9례였으며 모두 잘 분화된 grade I이었다. 5. 병리조직학적 유형의 분석결과 병리조직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환자 9례중 선암이 8례(88.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그외 선극세포암 1례(11.1%)로 나타났다. 6. 자궁근충의 침범정도를 보면 수술요법을 받은 환자 8례중 근층의 침범이 없었던 환자가 6례(75.0%), 자궁근층의 1/2미만 침범된 환자 1례(12.5%), 암이 자궁근층의 1/2이상 침범된 환자가 1례(12.5%)로 나타났다. 7. 치료방법으로는 대부분 외과적 수술요법을 주된 치료방법으로 하였으며 일차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먼저 시행한 환자는 7례이었으며 이중 자궁근층의 1/2이상 침범된 환자 1례는 추가적으로 항암약물요법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자궁근층 1/2미만 침범이 있었던 환자 1례는 추가적으로 항암약물요법만 시행하였다. 자궁내막에만 병력이 국한되어 있었던 환자들은 수술요법만 시행하였고(4례), 1례에서는 Medroxy progesterone acetate를 추가적으로 투여하였다. 일차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먼저 시행한 환자는 1례있었으며 방사선요법후 광범위 자궁절제술 및 임파선 생검을 시행하였으며, 1례는 환자가 자녀를 원하여 호르몬치료 및 배란유발로 보존적 치료요법을 시행하고 있다. 8. 예후는 본원에서 치료를 받은 9례의 젊은 자궁내막암 환자 모두 추적조사가 가능하며 현재 모두 재발없이 무병상태로 생존하고 있다. The authors have reported that endometrial cancer has a favorable prognosis in the young women than in the older patient because it diagnosed at early stage with lower grade, so we have done a clinicopathologic review of 10 cases of endometrial cancers in young women under the age 40 retrospectively.

      • KCI등재

        원발성 유두장액성 복막염 2 예

        박기복,이경희,이의돈,이은희,이승숙,김병택,전영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1

        The well-documented but rare primary papillary serous peritoneal tumors are difficult problems for the pathologist and the clinician. The peritoneal serous papillary tumors were morphologically identical to serous ovarian tumor of equivalent grade. Because of their unusual location, these tumor are often classified as mesothelioma or advanced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We experienced two cases of primary papillary serous peritoneal carcinoma and repor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젠 보충요법시 병행투여된 프로게스테론제제가 골밀도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박은동,김흥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2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uterus, progestogen should be added to protect the endometrium from the hyperplasia or carcinoma induced by unopposed estrogen. However the effect of progestogen on bone mineral density & bone metabolism had not been precisely evaluated in Korean post menopausal women. To evaluate the impacts of progestogen on bone mineral density & bone metabolism during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we conducted the randomized 2-year trials of 3 group: Group I was 145 women recieved estrogen only (premarine 0.625mg/day), Group II was 55 women received estrogen with cyclic addition of progestogen (medroxyprogesteron, MPA, 5mg/day for 2 days for month), Group III was 55 women received estrogen with daily addition of progestogen (MPA 2.5mg daily). In all subjects,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in the lumber vertebrae (L2-L4) and femur neck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and serum osteocalcin and urine calcium/creatinine was measured at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12 months and 24 months later, repectively. BMD of femur neck in Group I, Group II and Group III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compared to basal level at 12 months and/or 24 months of treatment. As for BMD of lumbar spine,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treatment in Group I, Group II and Group III. Serum osteocalcin in Group I, Group II and Group III decreased significanly at 12 months and 24 months of treatment compared with initial value. Urinary calcium/creatinine ratio in Group I, Group II and Group III decreased significantly at 12 months and 24 months of treatment compared with initial value. And compared with Group I, Group II and Group III did not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above results, it might be suggested that added progestogen during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is more effective in post menopausal women with the protection on bone mineral density.

      • KCI등재

        자궁경부암 Ⅰa기의 임상병리학적 분석

        박은동,김동휘,안준모,이상민,노선화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6

        1987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자궁경부 세포진도말검사,착공생검 및 자궁경부 원추절제술을 시행하여 자궁경부암 Ia기로 진단받고 치료를 시행한 총 177명의 환자(자궁경부암 Ia1기 161예, Ia2기 16예) 를 대상으로 한 임상병리학적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177예의 환자들의 연령 분포를 조사한 결과 평 균 연령은 43.1세였으며, 30대가 39.6%로 가장 많았고 폐경 이전의 환자가 78.5%였다. 2. 분만 과거력은 2회 이상의 분만력이 있는 경우가 158명으로 89.3%였고, 1회의 분만력이 7.3%, 분만과거력이 없는 경우가 3.4%였다. 3. 임상 증상은 아무런 증상 없이 정기검진상 발견 된 경우가 70명(39.6%)이었고 질출혈, 복통, 대하증, 요통의 순이었다. 4. 병변의 육안적 소견은 152예로 85.9%에서 미란이 나타났으며, 육안적으로 특이 소견이 없는 경우도 12예 에서 있었다. 5. 자궁경부 세포진도말검사의 결과는 CIN Ⅲ가 77 예로 45.8%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암종(carcinoma) 이 62예로 36.9%, CIN Ⅱ가 14예로 8.4%였고 정상으로 나타난 경우도 3예(1.8%)에서 있었으며, 조직진단과의 한등급내 정확도는 82.7%였다. 6. 자궁경부의 착공생검 결과 상피내종양(carcinoma in situ)이 70예(41.4%)였으며, 미세침윤암이 67예(39.6%) 였다. 자궁경부의 원추절제결과 94.6%에서 자궁경부미 세침윤암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Ia1기가 146예(87.6%), Ia2기가 11예(6.6%)였고 상피내종양이 9예(5.4%)였다. 7. 치료로서는 자궁경부암 Ia1기로 최종진단된 161예 중 131예(82.0%)에서 1형 자궁절제술(extrafascial hysterc tomy)을 시행하였고, 24예에서 2형확장자궁절제술(modi fied radical hysterectomy)를 시행하였으며, 자궁경부 미세침윤선암으로 원추생검 결과가 나온 1예에서는 3형 확장자궁절제술(radical abdominal hysterctomy) 및 골반림 프절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5예에서는 치료적 원추절 제술(therapeutic conization)을 시행하였다. 자궁경부암 Ia2 기로 진단된 16예 중 6예(37.5%)에서 1형 자궁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2형 확장자궁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10 예로 62.5%였다. 추적 관찰기간은 8개월에서 113개월로 평균 43개월 이었으며 이 중 자궁경부암 Ia1기의 환자 중 3예(1.9%), Ia2기의 환자 중 1예 (6.3%)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다.자궁경부암 Ia1기에서 재발한 3예 중 2예는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으며, 1예는 8차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재발의 증거 없이 추적 관찰중이다. Ia2기에서 재발한 1 예는 수술중 골반림프절의 종대가 관찰되어 2형 확장자 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로 방사선 치료 후 일측 폐의 전이성 암종이 관찰되어 일측 폐절제술 후 경과를 추적 관찰중이다. 177예의 환자 중 사망 한 경우는 1예도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12예(7.2%) 에서 나타났는데 방광기능부전, 창상감염, 수술 후 잔류 단면감염의 순이었으며 방광-질 누공 형성과 요관 손상 이 1예씩 있었으나 모든 환자에게서 대증치료 후 호전되었으며 수술에 따른 사망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궁경부암 Ia기의 경우 증상의 특이성이 없고 무증상인 경우도 상당수에서 존재하며 육안적 소견으로는 진단이 불가능하므로 조기 진단을 위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며 진단에는 자궁경부원추 생검이 절단면의 종양 침윤 유무, 침윤의 깊이와 수평 확산의 파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조직표본의 림프-혈관 침윤 여부의 판단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료에 있어서도 자궁경부암 Ia1기의 경우는 제1형 자궁절제술로도 좋은 예후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되나, Ia2기의 경우는 골반림프절 전이에 관한 진단 및 치료의 병행이 예후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 로 생각되나 본 연구가 후향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 고 환자 수의 제한이 있어 향후 일정한 치료 방법을 가지고 전향적인 연구의 시행으로 확실한 결론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1995 the Cancer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IGO) subdivided stage Ia cervical cancer into stage Ia1, tumor which invades the cervical stroma to a depth of 3.0 mm or less, and stage Ia2, tumor which invades the cervical stroma to a depth of 3.0∼5.0 mm and a horizontal spread of 7 mm or less. We conducted this retrospective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rapeutic approach in patient with stage Ia cervical cancer. From January 1987 to December 1996, we have experienced 177 cases with stage Ia cervical cancer, which consist of 161 cases of stage Ia1 and 16 cases of stage Ia2. The age ranged from 26 to 68 years and median age was 43.1 years. In 177 cases, 139 cases were premenopause and 38 cases were postmenopause state and mean parity was 2.8. 70 cases (39.6%) incidentally found through the routine Pap smear, in symptomatic group most frequent initiating symptom was vaginal spotting (33.3%). Pap smear was done in 168 cases, the result reveals CIN III in 45.8% and carcinoma in 36.9%. The corresponding rate of Pap smear to histologic diagnosis was 36.9% and within one histologic grade was 82.7%. The type I hysterectomy was performed in 131 cases of stage Ia1 disease and 6 cases of stage Ia2 disease. Type II hysterectomy was done in 24 cases and 10 cases of Ia1 and Ia2 disease, respectively. 3 cases of Ia1 disease were treated by therapeutic conization. Four patients recurred during the median follow up of 42 months (range 8∼113 months), but there was no cancer or treatment related death. In conclusion, the prognosis of stage Ia cervical cancer is relatively good and less radical therapeutic approach may be beneficial. But futher study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폐경후 여성에서 에스트로젠 보충요법시 병행투여된 황체호르몬제제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박은동,유건재,김흥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7

        Estrogen replacemetn therapy is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ardio-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and its beneficial effect is thought to be mediated in part by favorable changes in serum lipoprotien levels. However, the long-term effects on serum lipoproein levels of estrogen in low doses currently used have not been precisely evaluated in Korea.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uterus, progestogen should be added to protect the endometrium from the hyperplasia or carcinoma induced by unopposed estrogen. However, progestogens may adversely influence the beneficial effects of oral estrogen. To evaluate the impacts of progestogen on the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during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we conducted the 1-year trial of conjugated equine estrogen(Premarine, 0.625mg/day) with or without cyclic prgoestogen(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 10mg/day for 12 days) in 120 postmenopausal women.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levels in fasting state were measured in all subjects before treatment & at 12 months during treatment. The value of post-treatment levels were compared with that of baseline levels. In patients who received either premarine only or premarine plus MPA, serum HDL cholesterol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premarine plus MPA group showed a smaller increase in HDL cholesterol than premarine only group. And premarine plus MPA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hile premarine only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DL cholesterol,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MPA at the daily dose of 10mg for 12 days cyclically in estrogen repalcement treatmetn appears to lessen the change to lipid and lipoprotein levels induced by unopposed estrogen, therefore maintain the longterm favorable effects on serum lipoprotein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로겐 보충요법시 병행 투여된 활성형 비타민 D의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은동,김흥열,김성환,김도형,석원일,서남원,이상민,노선화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폐경 후 여성에서 1년간 활성 vitamin D, 경피적 에스트로겐,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활성 비타민 D의 병합투여가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위해 1996년 5월 1일부터 1997년 8월 31일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환자 중 자연 폐경된 여성으로 마지막 월경 후 최소한 12개월 이상 무월경인 여성 중에서 폐경과 관련된 증상이 있는 환자와 이미 자궁의 양성 질환으로 인하여 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적으로 3종류의 치료군, 즉 활성 비타민 D 투여군(제Ⅰ군), 경피적 에스트로겐 투여군(제Ⅱ군),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활성 비타민 D 병용투여군(제Ⅲ군)에 각 군별로 35, 50, 35명씩을 배정하여 아침 첫 소변의 중간뇨에서 요중 칼슘/creatinine비, 혈중 osteocalcin, 척추(L2-L4)및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6개월 및 12개월 간격으로 소변내 칼슘/creatinine 비의 변화, 척추 및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척추(L2- L4) 골밀도의 변화는 6개월, 12개월째 에 기저치에 대한 척추 골밀도의 비는 활성 비타민 D 를 단독으로 투여한 제Ⅰ군에서는 기저치에 대한 유 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경피적 에스트로겐 단 독으로 투여한 제Ⅱ군,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활성 비 타민 D를 병용한 제Ⅲ군에서는 기저치에 비해 12개월 치료 후의 결과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척추 골밀도 의 증가를 보였다. 치료군간의 비교에서는 제Ⅰ군에 비해 Ⅲ군은 유의한 척추골밀도의 증가를 보였다. 2. 대퇴골 경부 골밀도의 변화는 6개월, 12개월째 에 기저치에 대한 척추 골밀도의 비는 활성 비타민 D를 단독으로 투여한 제Ⅰ군, 경피적 에스트로겐 단 독으로 투여한 제Ⅱ군,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비타민 D를 병용한 제 Ⅲ군 모두에서 기저치에 대한 유의 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혈청 osteocalcin의 변화는 6개월, 12개월째에 기 저치에 대한 혈중 osteocalcin치는 활성 비타민 D를 단독으로 투여한 제Ⅰ군에서는 기저치에 비해 유의 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경피적 에스트로겐 단독 으로 투여한 제Ⅱ군에서는 투여 12개월째 유의한 감 소를 보였으며, 경피적 에스트로겐에 활성 비타민 D 를 병용한 제Ⅲ군에서도 투여 12개월째 유의한 감소 를 보였다. 세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 지만 제I군에 비해 Ⅱ군, Ⅲ군 모두 혈중 osteocalcin 의 감소를 보였다. 4. 요중 칼슘/creatine비의 변화는 6개월 12개월째 에 기저치에 대한 요중 칼슘/creatinine의 비는 활성 비타민 D를 단독으로 투여한 제Ⅰ군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경피적 에스트로겐 단독으로 투여한 제Ⅱ군에서는 투여 12개월째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경피적 에스트로겐에 활성 비타민 D를 병 용한 제Ⅲ군에서도 투여 12개월째 유의한 감소를 보 였다. 세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제I군에 비해 Ⅱ군, Ⅲ군 모두 혈중 osteocalcin의 감 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활성 비타민 및 경피적 에스트로 겐 단독 투여보다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활성 비타민 D를 병용투여함으로써 골밀도 증가 및 골대사에 보 다 나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impacts of vitamin-D o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in the estrogen replacement 1-year trials of 3 grops: Group 1 was 35 wemen recieved the treatment with 0.5 ㎍ of vitamin D daily by oral administration, Group Ⅱ was 50 wemen recieved the treatment with 50 ㎍ of 17 β-estradiol by percutaneous administration, Group Ⅲ was 35 wemen recieved with percutaneous estrogen with daily addition of vitamin D. In all subjects, bone mineral density (BMD) of lumbar spine and femur neck, urinary calcium/creatinine ratio, and serum osteocalcin were measured before treatment and after 6 and 12 months of treatment. BMD of femur neck in Group I, Group Ⅱ and Group Ⅲ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compared to basal level at 6 months and/or 12 months of treatment. As for BMD of lumbar spine,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treatment in Group Ⅱ and Group Ⅲ, but not in Group Ⅰ. Serum osteocalcin in Group Ⅱ and Group Ⅲ decreased significanly at 12 months of treatment compared with Group Ⅰ. Urinary calcium/creatinine ratio in Group Ⅱ, Group Ⅲ, decreased significantly at 12 months of treatment compared with Group I. From the above results, it might be suggested that combined therapy (percutaneous estrogen with daily addition of vitamin D) is more effective in post menopausal women with the protection on decreasing bone mineral density.

      • KCI등재

        일측난관 및 동측난소결여 1 례

        박은동,김동휘,유건상,석원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5

        Absence of one tube and a corresponding ovary is very rare anomaly. We reported a case of absence of one tube and a corresponding ovary and review the literature briefly.

      • KCI등재

        자궁육종 16 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박은동,김홍열,유건상,석원일,서남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1

        Sarcoma of the uterus is very rare malignant tumor arising from the muscle or connective tissue, and there are only a few cases reported in Korea. We have experienced 16 cases of uterine sarcomas for 10 years from 1986 to 1995.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uterine sarcomas in uterine leiomyomas was estimated to 0.69%. 2. The pathologic types were 5 cases(31.3%) of leiomyosarcoma, 3 cases(18.8%) of endometrial stromal sarcoma, 6 cases(37.5%) of malignant mixed Mllerian tumor 2 cases(12.5%) of rhabdomyosarcoma in order. 3. The mean age was 46.4 years. 4. Seven(58.7%) were stage Ⅰ, 2(16.7%) were stage Ⅲ, and 3(25.6%) were stage Ⅳ. 4. The chief complaints on admission were abdominal mass(50%), abnormal bleeding(25%), and pelvic or abdominal pain(25%). 5. The estimated median survival was 43 months,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urvival and number of mitotic figure per 10 high power fields, stages, or radiation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