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RECOVERY OF LOCOMOTION AFTER DORSAL HEMISECTION OF SPINAL CORD IN ADULT RAT

        Chun, Churl-Hong,Song, Ha-Heon,Kim, Jong-Hwan,Shim, Dae-Moo,Kim, Sang-Soo,Ko, Myoung-Chul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1995 圓光醫科學 Vol.11 No.1

        성숙한 12마리의 횐쥐에서 제6번 흉추의 척수 후방 편측손상을 일으킨 후, 족부 직교절선(the kinematics of foot trajectories)의 운동역학을 컴퓨터에 의한 운동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한바 놀랍게도 이 동물들에서 운동이 3∼4주 이내에 거의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후방편측 절단후 즉시 횡적 및 수직적 족후부 운동은 극적으로 감소 되었으나, 3주째, 횡적운동의 진폭은 손상전의 수준으로 회복 되었다. 상-하지 협동작용도 초기에는 손상 되었지만 3주내에 정상으로 회복 되었다. 하지 유각기(swing phase)의 기전은 절단후 증가되어 점차로 회복되었으나 완전히 정상으로 회복되지는 못하였다. 족후부 수직운동의 최고 증폭(1.84±0.34)은 후방 편측성 절단후에 0.56±0.21㎝까지 감소 되었다. 이 연구에서 다양하게 분석된 모든 영역의 운동역학은 3∼4주 이내에 손상된 기준으로 회복 되었으나 수직운동의 진폭과 속도는 거의 회복되지 않았다. 따라서 수직 운동의 진폭과 속도가 운동기능을 평가하는 아주 중요한 변수들인 것을 알수있었다. 결론적으로 컴퓨터와 비디오영상을 이용한 운동역학 분석은 신경손상후 운동결손을 발견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Using computerized motion analysis techniques, the kinematics of foot trajectorie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in twelve rats before and after T6 dorsal spinal cord hemisection. Surprisingly, locomotion in these animals were nearly normal within four weeks. Immediately following dorsal hemisection, horizontal and vertical hindfeet movements were dramatically reduced. By three weeks, the amplitudes of horizontal movement (stride length) returned to pre~lesion levels. Forelimb-hindlimb coordination was also initially disrupted but returned to normal within three weeks. The duration of hindlimb swing phase increased after sectioning, gradually recovered, but never returned to pre-lesion levels. Peak amplitudes (1.84±0.34 ㎝) of hindlimb vertical movement declined to 0.56±0.21 ㎝ after dorsal hemisection. Similarly, peak velocities of hindlimb vertical movement dramatically decreased from 32.688±7.02 ㎝/s to 8.62±3.24 ㎝/s after the hemisection. Although all other kinematic variables analyzed in this study returned to prelesion values within three to four weeks, the amplitude and velocity of vertical movements showed very little recovery, suggesting that these are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in assessing locomotor function. This video assisted, computerized kinematic analysis is a sensitive technique for the detection of minor motor deficits following nerve injur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슬관절 골관절염에서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과 관절경적 수술 후 결과

        전철홍(Churl Hong Chun),김정우(Joung Woo Kim),박진영(Jin Young Park),김채근(Chae G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슬관절 내측 대퇴 경골 구획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 및 관절경 치료 후 2년 이상 추시한 환자에서 후향적으로 임상결과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 및 관절경술을 시행받은 29명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년 9개월(2년 1개월-5년 4개월)이었고, 평균연령은 44.7 (20-56)세였다. 개방성 절골 간격이 1 ㎝ 이상 4예에서는 Puddu 금속판 고정과 tricortical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였고, 1㎝ 이하 26예에서는 Puddu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만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HSS 슬관절 점수를 사용하였으며, 방사선적 분석은 체중 부하 시 촬영한 전후면 방사선 사진에서 대퇴 경골각 및 후 경골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HSS 슬관절 점수상 수술 전 평균 64.7 (52.0-69.5)점에서 최종추시 시 82.4 (78-90)점이었다. 방사선 소견상 모든 예에서 골유합은 이루어졌으며, 수술 전 체중부하 전후면 방사선 사진상 평균 6.3 (3.5-8.0)도 내반각에서 수술 직후 평균 8.2 (5-10)도 외반각으로, 최종 추시상 외반각은 평균 7.3 (4.5-9.0)도로 교정되었다. 후경골각의 변화는 수술 전 평균 6.6 (5.0-7.3)도에서 추시상 평균 7.0 (5.0-8.5)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75). 방사선 소견 및 2차 관절경 소견상 더 이상의 진행변화 소견은 없었다. 결론: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과 함께 관절경을 이용한 슬관절내 병변을 치료하여, 향상된 슬관절 기능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high tibial open wedge osteotomy combined with arthroscopic surgery in patients with medial unicompartmental osteoarthritis.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January 1999 and May 2002, 29 patients with 30 cases were treated with high tibial open wedge osteotomy combined with arthroscop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The mean age of the study group was 44.7 years old (range, 20 to 56 years old). 4 cases with more than 1 cm openings were treated by autologous bone grafts, and another 26 cases were treated by Puddu plates alone after osteotomy. The clinical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rating system. The radiologic analysis was performed by measurement of the femorotibial angle and posterior inclination of the tibial articular surface. Results : The mean knee rating score by the HSS knee rating system improved from 64.7 points (range, 52.0 to 69.5 points) to 82.4 points (range, 78 to 90) at the last follow-up. Radiologic bone union was accomplished in all cases. Preoperative varus angles of 6.3° (range, 3.5 to 8.0 degrees) and posterior inclinations of 6.6° (range, 5.0 to 7.3 degrees) improved, on average, to postoperative valgus angles of 8.2° (range, 5 to 10 degrees) and posterior inclinations of 7° (range, 5.0 to 8.5 degrees). At the last follow-up valgus angles had improved, on average, to 7.3° (range, 4.5 to 9.0 degrees). Conclusion : High tibial open wedge osteotomy combined with arthroscopic surgery significantly improved knee joint function.

      • KCI등재

        P.F.C. 인공 슬관절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후방십자인대 보존유무에 따른 비교

        전철홍(Churl Hong Chun),김정우(Jeong Woo Kim),김현준(Hyun Jun Kim),임철민(Chul Min Lim),김광미(Kwang M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목적: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함에 있어, 후방십자인대 보존 여부에 따른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비교하파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관절염 환자 193명(223예) 중 P.F.C. 형의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6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퇴행성 관절염 환자 168명(188예)을 후방십자인대 보존군 96예, 대치군은 92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술 전 Knee Society 슬관절 점수와 HSS 평가지수 및 굴곡 구축, 방사선학적 정렬은 두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호전되었지만 양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 반면에 평균 후속 굴곡각은 술 전 보존군 114.7도, 대치군 119.3도였으나, 추시상 각각 121.2도와 131.3도로 증가되어, 술 후 평균 후속 굴곡각은 대치군에서 더 증가되었다(p<0.05) 결론: 보존군과 대치군 사이에 술 후 슬관절 점수등의 임상적인 결과 및 방사선적 결과에 차이는 없었으나, 후속 굴곡각은 대치군에서 보존군보다 더 향상되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functional results of posterior cruciate-retaining (PCR) and posterior substituting (PS) replacement in patients undergoing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TKA) for osteoarthritis. Materials and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PCR and PS primary P.F.C.<SUP>®</SUP> TKA. One hundred and sixty eight patients (188 cases), who had a primary diagnosis of osteoarthritis, and an intact functioning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randomized regardless of the level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reservation. One hundred and eighty eight cases had a minimum 6-year follow-up, which included 96 and 92 cases in the PCR and PS groups, respectively. Results: The Knee Society Score,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rating scores, average flexion contracture and radiologic alignment improved significantl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mean postoperative flexion angles in the PCR and PS knees increased from 114.7° to 121.2° and 119.3° to 131.3°, respectively (p<0.05).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CR and PS TKA in the follow-up knee scores. However, the level of postoperative improvement in further flexion was better in the PS group.

      • KCI등재
      • KCI등재

        동종골 이식과 NexGen<SUP>®</SUP> LCCK를 이용한 슬관절 재전치환술

        전철홍(Churl Hong Chun),권석현(Seok Hyun Kweon),김현준(Hyun Jun Kim),정기준(Ki Joon Jeong),김광미(Kwang M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6

        목적: 불안정성과 골 결손이 동반된 경우, NexGenv LCCK (Legacy<SUP>®</SUP> knee constrained condylar knee, Zimmer, Warsaw, IN)와 동종골 이식을 이용한 슬관절 재전치환술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재전치환술과 동종골 이식 후 2년 이상 추시 가능한 20명의 환자, 21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연령은 69.2세, 추시 기간은 평균 3년 5개월(2년-8년 2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슬관절 점수를 분석하였으며, 방사선학적 분석은 미국 슬관절 학회의 방사선학적 평가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재전치환술까지는 평균 6년 4개월이었고, 원인으로는 삽입물의 해리 10예, 감염 9예, 불안정성 2예였다. 모든 예에서 동종골 이식을 시행하였고 금속 보강물은 동종골 이식후 부족한 대퇴골 후방부에 2예, 관절선 회복을 위해 경골부에 6예 사용하였다. 운동범위는 술 전 평균 93도에서 술 후 107도로 증가하였고, HSS 슬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45점에서 술 후 87점으로 증가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대퇴 경골각은 술 후 평균 외반 5.7도였으며, 모든 예에서 방사선 투과선은 4점 이하였고, 삽입물의 위치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주대 주위로 방사선 불투과선이 3예, 합병증으로 창상 이개 1예, 표층 감염이 2예였다. 결론: 동종골 이식과 함께 NexGen<SUP>®</SUP> LCCK를 이용한 재전치환술은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얻었으나 장기추시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after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using Nexgen<SUP>®</SUP> LCCK (Legacy<SUP>®</SUP> knee constrained condylar knee, Zimmer, Warsaw, IN) with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21 knees) taken revision TKA were analyzed.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9.2 years old and the average of follow-up duration was for 2 year to 8 years 2 months (average 3 years 5 months). The clinical result and radiographic measurements were assessed using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rating score and the roentgenographic method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Results: The mean interval from TKA to revision surgery was 6 years 4 months. In all cases, allograft was used.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as increased from 93° to 107°, HSS score was increased from an average of 45 to 87 points. Postoperative femorotibial alignment was averaged 5.7° valgus. In all cases, radiolucency was below 4 scores and there was no loosening of implant. But, three radiopaque lines around a stem. There were wound dehiscence in 1 case and superficial infection in 2 cases.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revision TKA using a NexGen<SUP>®</SUP> LCCK with allograft. But, this study is favorable for the long term follow-up.

      • KCI등재

        PFC Sigma Rotating-Platform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후방십자인대 보존 유무에 따른 비교관찰

        전철홍(Churl Hong Chun),김동철(Dong Chul Kim),김정우(Jeong Woo Kim),권석현(Seok Hyun Kweon),정을오(Ul Oh Jeung),김성훈(Seong H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 PFC Sigma rotating-platform (RP)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시 후방십자인대 보존 유무에 따른 단기간 추시 관찰한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2월부터 7월까지 PFC Sigma RP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고 최단 36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4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후방십자인대 보존형(1군)이 22예, 대치형(2군)이 21예였다. 임상적 평가는 슬관절 굴곡 구축 및 운동 범위와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의 슬관절 평가지수를 사용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는 대퇴경골각과 투과대 분포로 평가하였다. 결과: 술 전과 추시에서 평균 굴곡 구축은 1군은 각각 6.5°, 1.1°, 2군에서 6.7°, 0.9°였으며, 평균 관절 운동범위는 1군은 각각 87.6, 123.0°, 2군은 각각 86.6°, 125.1°였다. 슬관절 평가지수 평균은 1군에서 41.1점에서 87.3점, 2군에서 40.3점에서 88.9점, 평균 대퇴경골각은 1군에서 내반 8.0°에서 외반 5.7°, 2군에서 내반 10.9°에서 외반 5.4°로 향상되었다. 방사선학적 투과대 분포는 경골 부위 전후방 사진 상 1군에서 4예, 2군에서 1예 관찰되었으나 삽입물의 해리와는 연관되지 않았다. 결론: PFC Sigma RP의 후방십자인대 보존 유무에 따른 단기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고,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sults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retaining and posterior cruciate ligament-sacrificing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PFC Sigma rotating-platform (RP).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3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knee arthroplasties by means of PFC Sigma RPs from February 2002 to July 2002 and, thereafter, had been observed for a period of at least 36 months. Twenty-two of the patients were categorized to group Ⅰ, which retained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nd 21 to group Ⅱ, which substituted for the ligament. All the patients were evaluated for pre- and post-operative ranges of motion,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rating system, and radiographic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flexion contracture was 6.5° (±1.0°) in group Ⅰ and 6.7° (±0.8°) in group Ⅱ pre-operatively, and 1.1° (±0.3°) in group Ⅰ and 0.9° (±0.2°) in group Ⅱ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active range of knee motion improved from 87.6° (±6.5°) in group Ⅰ and 86.6° (±6.1°) in group Ⅱ pre-operatively, to 123.0° (±7.8°) and 125.1° (±7.3°), respectively,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HSS score improved from 41.1° (±7.1°) in group Ⅰ and 40.3° (±5.3°) in group Ⅱ preoperatively, to 87.3° (±6.0°) and 88.9° (±4.9°), respectively, at the last follow-up. There was also improvement in the average tibio-femoral angle from 8.0° in varus to 5.7° in valgus in group Ⅰ and from 10.9 in varus to 5.4° in valgus in group Ⅱ. Radiolucent lines were observed in 4 cases from group Ⅰ and in 1 case from the group Ⅱ. No significant progressive periprosthetic osteolysis was observed in the follow-up radiographs of both groups. Conclusion: There were no clinical and radiographic differences between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retention and ligament-substitution groups, which indicates the necessity for long-term ob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