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mparing university students' mobile learning behavioral intention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Yng, Teresa Liew Bao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388

        Ubiquitous access to wireless technologies has motivated schools,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 institutes to use mobile technology to improv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Mobile learning allows users to learn on the go, and to exchange information outside the university (Lam, Mohan, Xu, & Lam, 2011). The rapid spread of mobile devices and wireless networks within university campuses makes higher education a particularly suitable venue for mobile learning integration (Cheon, Lee, Crooks, & Song, 2012). 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mobile learning as a new technology to enhance learning and teaching in educational settings, it does have some limitations such as small screen size, restricted input capabilities, and unstable connectivity, among others (Wang, Wu, & Wang, 2009). Furthermore, mobile learning acceptance literature has mainly focused on adult learners, cyber university students 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mobile learning experience (Bao, Xiong, Hu, & Kibelloh, 2013; Callum & Jeffrey, 2013; Chang, Yan, & Tsang, 2012; Suki & Suki, 2011), ver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is topic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university students who are not required to use mobile learning as part of their daily learning processes. As such,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mpact traditional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I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the author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dicting variables (performance expectancy (PE), effort expectancy (EE), social influence (SI), facilitating conditions (FC), hedonic motivation (HM), price value (PV) and self-management of learning (SML) on behavioral intention (BI) to use mobile learning between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To date, there have been no cross-country comparison studies on this topic. Therefore, a cross country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predict mobile learning between these two countries which have many similarities in different aspects (e.g., cultural values and ICT development in education) and to se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mobile learning acceptance predictors between both countries. Further, the differences in gender effects on all variables (PE, EE, SI, FC, HM, PV, SML and BI) were also investigated. This study, therefore,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PE, EE, SI, FC, HM, PV, SML, BI)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PE, EE, SI, FC, HM, PV, SML, BI) between males and females? 3. Are th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country (South Korea and Hong Kong) and gender (male and female) on variables (PE, EE, SI, FC, HM , PV, SML, BI)? 4. Is there a difference in predicting variables (PE, EE, SI, FC, HM, PV and SML) and their impacts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The present study collected data from various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Hong Kong. In South Korea, a total of 305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rly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4.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by three instructors from each university to their students after class. In Hong Kong, a total of 293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early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4.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by four instructors from each university to their students during class. Before conducing the survey, each instructor was briefly introduc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by the researcher.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in variables (Pillai's Trace=.25, p<.05).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in PE, F(1,594)=19.99, p<.05, EE, F(1,594)= 10.97, p<.05, SI, F(1,594)=33.24, p<.05, HM, F(1,594)=24.71, p<.05, PV, F(1,594) =170.85, p<.05 and SML, F(1,594)=7.08, p<.05 except FC, F(1,594) =.41, p>.05.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ported lower mean scores on all significant variables compared to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variables (Pillai's Trace =.03, p<.05).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FC, F(1,594)=4.31, p<.05, and SML, F(1,594)=2.24, p<.05. Ma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s in both FC (M=3.75) and SML (M=3.53) compared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country (South Korea and Hong Kong) and gender (Male and Female) in variables (Pillai's Trace=.05, p<.05).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EE, F(1,594)=7.40, p<.05, SI, F(1,594)=5.74, p<.05, FC, F(1,594)=4.69, p<.05 and PV, F(1,594)=6.32, p<.05. Disordinal interaction was shown for EE, SI, FC and PV for which gender effects differently according to countries. In South Korea, 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s on EE (M= 3.68), SI (M=2.96), FC (M=3.82) and PV (M=2.70) than female students. In Hong Kong,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mean scores on EE (M=3.86), SI (M =3.33), FC (M=3.76) and PV (M=3.54) than male students. Findings indicated that although gender did not affect EE, SI and PV in general, according to country, gender affected these three variables differently.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in predicting variables (PE, EE, SI, FC, HM, PV and SML)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Results showed that PE (β=.22), SI (β=.18), HM (β=.27) and SML (β=.20) predicted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among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50%, F(7,297)=40.11, p<.05, variance of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can be explained by four predictors in this study. For Hong Kong,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indicated that five predictors explained 51% of the variance, F(7,285) = 41.33, p<.05,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PE (β = .21, p<.05), EE (β=.13), SI (β=.21), HM (β=.31) and SML (β=.12) predicted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among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regression coefficients between countries on HM (t=2.56, p<.05) for which South Korea (B=.37) showed a higher regression coefficient value than Hong Kong (B=.28). However,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gression coefficient between countries on PE (t=-1.76, p>.05), SI (t=-0.12, p>.05) and SML (t= -0.19, p>.05). This study serves as a foundation for future endeavors to refine existing theory and provide strategies to promote mobile learning acceptance. First, with regard to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this study has assessed the predicting factors (PE, EE, SI, FC, HM and PV)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based on UTAUT2 with an added predicting factor (SML). The results showed that PV and FC did not predict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The findings added to the theory of mobile learning acceptance. Second, this study can provide insight into what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for designing a mobile learning system in higher education. To effectively implement and promote mobile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HM, PE, SI and SML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tudy sought evidence for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adopt mobile learning from two different countries with similar backgroun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develop strategic plans and provide guidelines considering students' mobile learning acceptance to include all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he sustainable deployment of mobile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of interest of educators and mobile learning practitioners concerned with the acceptance and deployment of mobil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최근 발전된 무선 통신기술은 교수-학습방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초ㆍ중등학교와 대학교 뿐만 아니라 그 외 교육 기관들에서 모바일 기술사용을 장려한다.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학습은 사용자들이 학교를 벗어나서도 계속해서 학습하고 정보를 교환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Lam, Mohan, Xu, & Lam, 2011). 특히 고등교육에서 대학 캠퍼스 내에서 모바일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의 빠른 보급률은 모바일 학습의 통합에 있어 최적의 장소로 손꼽히게 한다(Cheon, Lee, Crooks, & Song, 2012). 교육상황에서 교수-학습을 중진시키는 새로운 기술로써 제안되는 모바일 학습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작은 스크린 화면, 불편한 정보 입력 방법, 불안정한 모바일 네트워크 등과 같은 제한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Wang, Wu, & Wang, 2009). 더욱이 모바일 학습 수용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주로 모바일 학습 경험이 있는 성인 학습자, 사이버대학교 학생들 또는 대학교 학생들에 집중되어 있고(Bao, Xiong, Hu, & Kibelloh, 2013; Callum & Jeffrey, 2013; Chang, Yan, & Tsang, 2012; Suki & Suki, 2011), 일상적인 학습 과정에서 모바일 학습이 요구되지 않는 전통적인 대학교 학생들에 대해서는 매우 드물게 연구가 수행되었다. 따라서 전통적인 대학교 학생들의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위 주제에 대해 수행된 연구 중 국가 간 비교분석 연구가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국가 간 비교분석 연구도 요구된다. 한국과 홍콩은 동양의 문화권이나 교육에서의 ICT 발달과 같이 여러 면들에서 유사점이 있기 때문에 이 두 국가에서 모바일 학습 채택에서 차이가 있는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측변인들인 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에서 한국의 대학생과 홍콩의 대학생들이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에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모든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 모바일학습의도)에 대한 성별의 효과 차이도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과 홍콩의 대학생들은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 모바일학습의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2.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 모바일학습의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3. 대학생들은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 모바일학습의도)에서 국가와 성별 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4. 한국과 홍콩의 대학생들은 모바일학습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 자기학습관리)과 그 예측력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는 한국과 홍콩의 대학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한국에서는 2014년 1학기 초에 세 곳의 대학에 설문지가 배포되었으며, 총 305명의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홍콩에서는 2014년 1학기, 네 곳의 대학에서 설문이 실시되었으며, 총 293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먼저 실시하고, 국가간 그리고 성별 비교 분석을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과 홍콩 대학생들 간에는 대부분의 변인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illai's Trace=.25, p<.05). 촉진조건(F(1,594)=.41, p>.05)을 제외하고, 수행기대(F(1,594)=19.99, p<.05), 기대되는 노력정도(F(1,594)=10.97, p< .05), 사회적 영향(F(1,594)=33.24, p<.05), 오락적 동기(F(1,594)= 24.71, p<.05), 가격가치(F(1,594)=170.85, p<.05), 자기학습관리(F(1,594)= 7.08, p<.05)에서 한국 대학생이 홍콩 대학생보다 더 낮은 평균을 보이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 변인의 응답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illai's Trace=.03, p<.05). 연구결과에 따르면 촉진조건(F(1,594)=4.31, p <.05)과 자기학습관리(F(1,594)=2.24,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이 촉진조건(M=3.75)과 자기학습관리(M=3.53) 두 변인 모두에서 여자 대학생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셋째, 국가(한국과 홍콩)와 남녀성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Pillai's Trace=.05, p<.05), 이는 기대되는 노력정도(F(1,594)=7.40, p<.05), 사회적 영향(F(1,594)=5.74, p<.05), 촉진조건(F(1,594)=4.69, p<.05) 그리고 가격가치(F(1,594)=6.32, p<.05)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국가에 따라 성별에서 역순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한국 남자 대학생은 여자 대학생에 비해 기대되는 노력정도(M=3.68), 사회적 영향(M= 2.96), 촉진조건(M=3.82), 가격가치(M=2.70)에 더 높은 평균 점수를 보이는 반면, 홍콩은 여자 대학생이 남자대학생보다 기대되는 노력정도(M= 3.86), 사회적 영향(M=3.33), 촉진조건(M=3.76), 가격가치(M=3.54)의 평균이 더 높았다. 이 같은 결과들은 비록 연구문제 2번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가격가치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지만 국가에 따라서 이 세 변인들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에서 한국과 홍콩 대학생들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한국의 대학생들의 수행기대(β=.22), 사회적 영향(β=.18), 오락적 동기(β=.27), 자기학습관리(β=.20)가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네 개의 예측변인은 행동의도의 변량을 5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7,297)= 40.11, p<.05). 홍콩 대학생의 경우에는, 다중회귀모델에서 5개의 독립변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의 5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7,285)= 41.33, p<.05)으며 수행기대(β=.21), 기대되는 노력정도(β=.13), 사회적 영향(β= .21), 오락적 동기(β=.31), 자기학습관리(β=.12)가 모바일 학습 사용에 대한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에 따라 각 변인의 회귀계수를 비교했을 때, 한국의 대학생(B=.37)이 홍콩의 대학생(B=.28)보다 더 높은 오락적 동기(t=2.56)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수행기대(t=-1.76), 사회적 영향(t=-0.12), 자기학습관리(t=-0.19)에 대해서는 국가 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이론의 정제 작업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자 모바일 학습의 수용을 위한 전략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첫째, 이론적인 면에서 본 연구는 모바일 학습을 사용하는데 있어 행동의도에 대한 예측변인들로 UTAUT2 모델을 토대로 수행기대, 기대되는 노력정도,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오락적 동기, 가격가치와 자기학습관리를 추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서 가격가치와 촉진조건은 대학생들의 모바일 학습에 대한 행동의도를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모바일 학습 수용이론에 대한 연구 영역을 확장시켜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고등교육에서 모바일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 어떤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모바일 학습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오락적 동기, 수행기대, 사회적 영향, 자기학습관리가 고려되어야 함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모바일 학습 수용을 위한 두 국가의 대학생들의 행동의도에 대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는데, 고등교육기관에서 성공적인 모바일 학습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모바일 학습 수용 핵심 변인을 고려하여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포함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Antibody mimicking peptides from phage display: Potential applications in immuno separation

        THAI BAO DIEU HIEN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74

        Abstract Antibody mimicking peptides from phage display: Potential applications in immuno separation Thai Bao Dieu Hien Advised by Prof. Eun Kyu Lee Dept. Of Bionan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Phage display is a technology which can display the foreign peptides on the surface of the phages interacting with exterior molecules/materials. Such kind of peptides could demonstrate the same recognition and interaction capability compared to their native antibody molecules and yet possessing reduced sensitivity and improved stability characteristics. Phage display technique has been used to screen and identify the antibody mimicking peptides. In our study, the ‘biopanning’ was carried out by incubating a library of phage-displayed 12-mer peptides sequence (ca. 109 clones expressed as fusions on M13 pIII protein) on a solid surface coated with the target antigen (human IgG), washing away the unbound phages, and eluting the specifically bound phages. The eluted phages were taken through additional binding cycles to enrich the pool in favor of binding sequences. Our preliminary experiments resulted in 4 clones (F9, D1, G5, A10) showing specific binding to human IgG through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mong them, F9 showed the highest affinity (Kd = 6.2 nM), only one order of magnitude lower than the native anti-human IgG (0.66 nM). Four 12-mer peptides having the specific amino acid sequences of the selected phages were chemically synthesized. Binding affinities of the synthesized peptides to hIgG were monitored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The peptide D1 had a higher binding affinity against hIgG than the rest. This peptide was attached onto streptavidin –coated magnetic bead to determine the hIgG capturing ability and later to compare with immobilized anti- hIgG-bead. The result suggested that identified mimicking peptide from phage display was capable of capturing hIgG and showed the potential for immuno-magnetic separation.  

      •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의 한국화장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Tran, Thi Bao Yen 배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73

        Effects of Korean Wave on Korea’s Country Image, Product Imag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 on Korean Cosmetics Consumers in Vietnam - TRAN THI BAO YE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Won-Kyum Kim) In recent years, the Korean Wave has been rapidly spreading worldwide to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Hong Kong, Taiwan, Thailand, Indonesia, and Vietnam. Since the 1990s, Korean pop culture has gained great popularity. In 1999, Korean actors who appeared in Korean dramas became popular with Vietnamese people. Currently, Korean Wave included by music, drama, sports, social media, fashion, games, and popular culture content in Korea have focused on young people who are gaining great popularity around the world. Korean Wave has had a major impact o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ectors since 2017. Due to the global economic exchange and the increasing income level of Vietnamese consumers, the trend of foreign cosmetics‘ favor is expanding. Therefore, due to the growth of Vietnam's cosmetics market and the Korean wave, Korean cosmetics companies are increasing their recognition as a luxury brand and expanding into the Vietnamese cosmetics market based on technology and products.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opularization of the Korean Wave, the more favorable it is to Korea‘s country and positive effects on Korea's national image and Korean product image. However, among the Korean Wave’s cultural conten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nalyzed mainly on Korean Pop Music (K-Pop) and Korean Drama (K-Drama), and there are insufficient prior studies on other Korean Wave’s content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Korean Sport (K-Sport) and Korean Social Media (K-SNS) are added to analyzed.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Country Image, cosmetics image, attitude toward cosmetics, and purchase intention for Vietnamese consumers using Korean cosmetic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Overall, a survey was conducted on 350 Vietnamese consumers using Korean cosmetics, and the final 302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20.0 and AMOS 20.0 statistical package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ur factors of Korean Wave’s contents, namely K-Pop, K-Drama, K-Sport, and K-S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Korea's national image. Among them, K-Pop was analyz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national image of Korea. Therefore, to improve Korea's country image for Vietnamese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Korea's economic, political, cultural,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through various contents. Second, it was tested that all four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Korean product i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image through Korean Wave stars (actors, singers, music bands) and to utilize the popular Korean Wave stars in Vietnam as a Korean cosmetic advertising model so that Korean cosmetic images can be evaluated well. Third, Korea's national image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Vietnamese consumers'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enhance the country’s image of Korea in order to improve the consumer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osmetics. Fourth, the Korean product ima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mage of Korean products or especially Korean cosmetics to increa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urchase decisions through 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iated cosmetics that can meet the needs and desires of consumers, such as good quality, high cost-effectiveness, various types, the climate in Vietnam, and skin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Fifth, consumers' attitude toward Korean cosmetics was tested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f the country's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improves,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Korean cosmetics will be improved, which will increase the likelihood of consumer purchase. Keywords: Korean Wave, Country Image, Product Image, Product Attitude, Purchase Intention.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한국화장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 TRAN THI BAO YEN 지도교수 김 원 겸 배재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최근 몇 년 동안, 한류는 중국, 홍콩,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는 물론 전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1990년 이후 한국의 대중문화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한류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1999년 한국 드라마와 출연했던 배우들이 베트남 국민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면서 한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맞이했다. 현재 한류는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한국의 음악, 드라마, 스포츠, 소셜미디어, 패션, 게임, 대중문화 콘텐츠 등을 포함한다. 베트남의 경우 2017년부터 한류가 사회, 경제, 문화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 세계적 경제교류와 베트남 소비자의 소득수준이 증가함으로 인하여 외국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베트남 화장품 시장 성장과 한류의 열풍으로 인하여 한국화장품 기업들은 화장품 브랜드 인지도 상승과 기술 및 상품을 바탕으로 베트남 화장품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한류 대중화 수준이 높을수록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하며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한국산 제품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가 많다. 하지만 한류 문화콘텐츠 중 한국 대중음악(K-Pop)과 한국 드라마(K-Drama)를 중심으로 분석한 선행연구가 대부분이며, 다른 한류의 콘텐츠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국 스포츠(K-Sport)와 한국 소셜미디어(K-SNS) 요인을 추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국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베트남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 화장품이미지, 화장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에는 한국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베트남 소비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02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및 AMOS 20.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 콘텐츠의 네 가지 요인, 즉 K-Pop, K-Drama, K-Sport, K-SNS는 모두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K-Pop이 한국 국가이미지에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베트남 소비자들에 대한 한국의 국가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통하여 한국의 경제, 정치, 문화, 엔터테인먼트 산업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한류 콘텐츠 네 가지 요인 모두 한국의 제품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정하였다. 따라서 한국화장품이미지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류 스타(배우, 가수, 뮤직 밴드)를 통한 이미지제고와, 베트남에서 인기가 높은 한류 스타를 한국화장품 광고 모델로 활용하는 촉진전략이 중요하다. 셋째, 한국의 국가이미지는 베트남 소비자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한국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나 구매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한국의 제품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생기거나 구매의도를 통한 구매결정 가능성이 높이기 위하여 한국 제품이미지나 특히 한국화장품의 이미지를 증대시켜야 한다. 즉, 좋은 품질, 높은 가성비, 다양한 종류, 베트남 기후와 소비자의 피부 특성 등에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화장품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소비자의 한국화장품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가 좋아지면 소비자의 한국화장품에 대한 태도가 좋아져서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높아질 것이다.

      • 문화 체험 중심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중국인 대학생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BAO JIAYU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59

        The research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cultural textbooks for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at Chinese universities. Korean education in some Chinese universities needs to keep up with the times, and cross-cultural teaching should be emphasiz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focusing on education that incorporates culture, it is possible to address cultural conflicts and international tens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owever, the following three issues arise in cultural teaching: Firstly, there is a lack of cross-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Some universities neglect cross-cultural education in their Korean language programs. Secondly, the teaching model lacks innovation. Many universities still adhere to the traditional teaching approach, characterized by one-sided lecturing, passive student listening, and limited student interaction. This passive learning style hinders students' ability to think independently. Lastl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roblem with som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universities. They lack experience and have an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its background, resulting in a weak integration between teachers and Korean culture. Consequently, they are unable to effectively impart cross-cultural education to studen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issues, it can be concluded that due to limitation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 methods, learners can only acquire a partial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rough teaching materials or teachers' explanations. Therefore, this thesis primaril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centered around cultural experiences. The lack of cultural education mainly stems from Chinese learners' limite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is thesis targets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research primarily relies on references to Chinese university websites and relevant academic publications to examine the discourse surrounding cultur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 materials. By analyzing the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Chinese universities, this paper proposes a more appropriat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 materials. Through observ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from China and South Korea, the study identifies differences and shortcomings in the existing materials. It concludes that teaching materials centered around cultural experiences are better suited for Chinese universities. This thesis is structured into six chapters. Chapter One serves as the introduction, addressing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t present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outlines the existing issues. The chapter also provides a brief description of the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 Chapter Two focus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Building upon this foundation, the chapter delves in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textbooks and explores the necessity of such education.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principles and steps involved in textbook development. It examines the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creating teaching materials for cultural education, drawing insights from existing research. The author proposes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cultur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while also exploring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materials under discussion. Chapter Four involves a comparative analysis of selected Chinese and Korean textbook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analysis serve as the basis for Chapter Five. Chapter Five showcases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 textbook and presents an applicable teaching plan. Lastly, Chapter Six provides a summary of the previous chapters, offering a cohesive conclusion to the thesis.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conducted above, several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eaching materials. Additionally, in the geographical proximity of neighboring countries, cultural interaction becomes crucial. Culture and language are intertwined and inseparable. It is essential for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o prioritize cultural education in the future. In light of this, the proposal of teaching materials centered around cultural experiences aims to provide learners with a tangible sense of Korean culture. However, there are still limitations to acquiring cultural knowledge solely through teaching materials. As a result, future research endeavors to integrate culture into the classroom through the use of current technology. This approach will enable learners to genuinely experience the cultural allure of other countries. 본 논문은 중국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일부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은 아직 시대에 뒤떨어진 내용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수업에서는 다문화 교육을 반드시 강조해야 한다. 문화 중심의 교육은 한·중 간의 문화 갈등과 국제 갈등을 해결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문화 교육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첫째, 학교에서 다문화 교육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일부 대학의 한국어 교육은 다문화 교육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교육 모델이 혁신적이지 않다. 일부 대학은 여전히 전통적인 교육 모델을 사용하며 교사의 강의에 의존하고 있으며 학생들과의 상호 작용이 부족하다. 이렇게 수동적으로 지식을 전달받는 방식은 학생들이 자율적인 사고능력을 점차 잃게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근 중국의 일부 대학은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의 문제를 겪고 있다. 교사들은 경험이 부족하며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와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학생들에게 적절한 다문화 교육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습 환경과 교수 방식의 한계로 인해 학습자들은 교재나 교사의 강의를 통해서만 한국의 문화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화 체험 중심의 한국어 교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문화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문화 교육의 부족은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 전통문화에 대해 충분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중국 내 대학의 홈페이지 및 주로 학술지 논문을 참조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의 목적은 문화 교육과 문화 교육용 교재 개발에 대한 논의를 조사하는 것이다. 중국 내 대학 한국학과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문화 교육용 교재를 분석하여 더욱 적합한 문화 교육용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한·중 교재를 관찰하고 비교함으로써 편차와 결함을 도출하고, 중국 대학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문화 체험 중심의 문화 교재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소개한다. 또한, 현재 중국 대학에서 한국 문화 교육의 현주소를 제시하고 문제점을 나열한다. 그다음으로는 본 논문의 분석 대상과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교육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화교육 교재를 개발하여 한국어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한다. 제3장에서는 교재 개발의 원리와 절차에 대해 다룬다. 문화 교육용 교재와 기존 연구에서의 교재 개발 원리와 절차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문화 교육용 교재 개발의 원리와 절차를 제시하고 기존 논의에서 문화교육용 교재의 유형과 기능을 연구한다. 제4장은 한·중 교재 선정 후 교재에 대한 비교 분석이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제5장의 기초가 된다. 제5장은 실제 개발된 교재의 전시 부분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은 앞의 각 장에 대한 결론을 도출한다. 문화 교재 개발을 위한 상기의 연구와 분석은 여러 가지 고려사항이 필요하다. 또한, 이웃 국가의 지리적 환경 속에서 문화의 상호 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문화와 언어는 분리할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앞으로 중국 대학의 한국어학과가 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을 두길 바란다. 이를 위해 문화 체험 중심의 교재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를 어느 정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교재를 통한 문화 학습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재의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문화를 수업에 통합하여 학습자들이 다른 나라의 문화적 매력을 충분히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후속 연구의 방향이다.

      • 히말라야 앱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 초급 단계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BAO JIASHUO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59

        한류 문화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수가 늘고 있는 추세를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한류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한국어 학습 활동을 시작했다. 듣기 학습은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이다. 듣기 학습의 중요성은 언어 학습 과정뿐만 아니라 개인의 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중국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언어 학습 활동이 나날이 풍부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히말라야 앱을 활용하여 상호작용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 연구 필요성, 연구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듣기 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본다. 한국어 듣기 교육의 중요성, 원리, 특성을 제시한다. 또한, 소셜미디어의 특징과 유행 등 이론적인배경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히말라야 앱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려고 한다.제3장에서는 히말라야 앱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설계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히말라야 앱에서 기촌 한국어 교육 내용의분석을 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 요구 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제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히말라야 앱을 활용한 한국어듣기 교육 방안을 설계하려고 한다. 먼저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설문 문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히말라야 앱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수업에서 어떻게 진행하면 좋은 효과를 얻은 것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4장에서 히말라야 앱의 기능을 활용하여 전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 방안은 히말라야 앱의 기능을 도입하여 학습자의 대답에 따라 동영상 형식으로 제작하며 학습자에게 도움이 되는 콘텐츠가 될수있다. 본 연구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에게 중국 소셜미디어 히말라야 앱의 기능을 활용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듣기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자 한다. 근데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 중국인 초급 학습자와 듣기 교육 내용만 제작하였고 다른 방면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그리고 실생활에서 활용하지 못한 경험의 한계도있다. 그래서 앞으로 연구에서 본 연구의 교육 방안을 효과적인 도움이 되는지를확인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사용 피드백에 대해 분석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에 관한 더 많은 내용을 개발하여 사용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culture, the number of learners learning Korean is increasing. Many people started learning Korean with an interest in Hallyu culture. Listening skill is an important step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ces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learning affects not only the language learning process but also the individual's life. And language learning activities using social media are becoming richer day by day in Chin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sign an interactive Korean listening education plan for Chinese learners using the Himalayan app, a social media platform. Chapter 1 reveals the purpose of research, the necessity of research, and the research method, and presents prior research. Chapter 2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istening education. It presents the importanc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social media, we will review the possibility of using Himalayan app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3 presents a basic study to design a Korean listening education plan using the Himalayan app. To this end, we will analyze the contents of Kichon Korean education in the Himalayan app and conduct a survey on learners' needs. Chapter 4 attempts to design a Korean listening education plan using the Himalayan app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in Chapter 3.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by setting up a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learner's request. Through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present how to proceed in Korean listening classes using the Himalayan app. Finally, based on the above, Chapter 4 presented an overall educational plan using the functions of the Himalayan app. The educational plan introduces the function of the Himalayan app, produces it in the form of a video according to the learner's answer, and can be helpful content for learners. This study aims to design listening education methods for Chinese beginner learners according to the needs of Chinese learners by utilizing the functions of the Chinese social media Himalayan app. But there's a limit. First, only Chinese beginner learners and listening education contents were produced, and it was not possible to present plans for other fields. And there is also a limitation of experiences that have not been used in real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educational plan of this study is effective in the stud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learners' usage feedback. This study hopes to effectively help users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by developing more content on Korean language learning.

      • Exploring the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and motivation on student satisfaction regarding entrance exams for higher education : the case of Vietnam in 2020

        BAO, Nguyen Van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For many Vietnamese students, the national high school graduation examin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xams in their lives, transitioning from upper-secondary education to tertiary education. While the importance of the exam is significant in the country where a degree is inevitable for a stable job in the future, policies on the national examination have significantly changed since 2015. By using the concept of justice and motivation,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justice dimensions and motivation on student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education,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higher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d a conceptual model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to test relevant hypothese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study found that procedural, distributive justice, and intrinsic motivation affected the level of student satisfaction. More broadly,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for policymakers to make more informed choices and also suggest further programs and projects of the Vietnamese government, aiming to develop the system of university admissions in the future.

      • 이창현의 『아름다웠던 우리에게』의 한·중번역

        BAO YUNLIN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아름다웠던 우리에게 』는 이창현 작가의 사랑에 관한 감성적인 글의 모음집이다. 첫 번째 장 「너와 아름다웠던 순간 」은 “너의 웃음, 너의 모든 모습, 너와 함께 있는 모든 순간”이 나에게는 가장 소중했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두 번째 장 「사랑이란 순간에도」는 함께 하늘을 바라보면서 미래를 약속하였던 순간을 회상하며 그때가 정말 행복하였음을 고백하였다. 세 번째 장 「너라는 ‘별’ 」은 너를 처음 만난 순간은 꽃이 피어오르는 ‘봄’이었고, 당신에게 고백하고 만나는 순간은 ‘여름’이었으며, 티격태격 싸우며 사랑이 서서히 식어가는 ‘가을’이 되고, 마음을 시리게 만든 너의 이별 통보는 ‘겨울’로 남게 된다. 『아름다웠던 우리에게 』의 작가 이창현은 지극히 평범하지만 누구나 한 번쯤 느꼈을 법한 감정을 특유의 애절함으로 표현했다. 감성 충만한 이창현 시인의 작품은 우리에게 사랑의 꿈을 심어주고, 빛나는 사랑의 추억을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 Digital divide and knowledge gap in rural and urban China : Testing differences in media use effects

        Bao, Tantan Sungkyunkwan University 2024 국내박사

        RANK : 247359

        The knowledge gap hypothesis and the digital divide hypothesis are critically significant in addressing social inequalities. China, characterized by its dual- structured society comprising urban and rural areas, has long experienced a disparity in the distribution of social resources between these two regions. Specifically, the Internet, as a crucial resource, has the potential to exacerbate social inequalitie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media use can help us understand which groups are likely to benefit more from the Internet, whi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addressing social equity. We collected 558 samples from urban areas and 490 samples from rural areas by using online survey. According to our findings, urban residents exhibit a higher level of Internet skills than their rural counterparts. In terms of usage, urban individuals engage more frequently in online health-related activities,whereas rural individuals show a higher level of using Internet for political activities. Additionally, our research indicates that Over-the-Top (OTT) media usage exacerbates the education-based knowledge gap, while traditional media such as radio and newspapers/magazines tend to mitigate this gap in the context of political knowledge. We also found that social media usage generally enlarges the knowledge gap, and this effect i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rural groups. Passive social media use was found to decrease the knowledge gap, though notably, this effect is significant primarily in urban populations. Furthermore, social media engagement and the social network size seem to marginally decrease the education-based knowledge gap. Our research fills the previous research gap by providing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in knowledge acquisition and dissemination in different social structures and environments. 지식 격차 가설과 정보 격차 가설은 사회적 불평등 해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도시와 농촌이라는 이중 구조를 가진 중국 사회는 오랜 기간 동안 두 지역 간의 사회적 자원 배분에 있어서의 격차를 경험해왔다. 특히, 인터넷이라는 중요한 자원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도시와 농촌에서의 미디어 사용 차이를 분석하는 것은 특정 집단이 인터넷의 이점을 더 많이 누릴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도시와 농촌의 정보격차, 미디어 이용 차이, 더 나아가 미디어 이용이 지식격차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도시 지역 558건, 농촌 지역 490건의 표본을 수집하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따라, 도시 인구가 농촌 인구보다 더 높은 인터넷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다. 사용측면에서는 도시 인구가 온라인 건강 관련 활동에 더 자주 이용하는 반면, 농촌 인구는 정치적 활동에 있어 더 높은 인터넷 사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OTT(Over-the-Top) 미디어 사용은 교육 기반 지식 격차를 악화시키는 반면 라디오 및 신문 와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는 정치적 지식의 맥락에서 이러한 격차를 완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 보인다. 소셜 미디어 사용은 지식 격차를 증가시키며 이 효과는 농촌 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수동적인 소셜 미디어 사용은 지식 격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러한 효과는 주로 도시 인구에서만 유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셜 미디어 참여와 소셜 네트워크 구성은 교육 기반 지식 격차를 약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사회의 다양한 구조와 환경에서 지식의 습득에 있어 차이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기여한다.

      • 가상인물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BAO WENHUA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359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more and more companies use virtual characters as models in advertisements. A virtual character is a virtual persona expressed in a simulated way by using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to integrate with reality. These virtual characters are visually indistinguishable from real characters. Although they do not exist in reality, they still receive a lot of attention on the Internet. Discussions about the use of virtual character models in marketing communication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companies are also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marketing effect of virtual character models. The advantage of using virtual character models is that the company does not need to take the risk of a possible scandal caused by the actual celebrity or artist, especially if there is a relationship dispute between a celebrity and a partner enterprise. The virtual character models show very strong stability of business cooperation (the design agency can fully have the management authority of the virtual character, so there will be no disputes due to itself). In addition, with the expansion of the "Meta-verse" and the improvement of graphic modeling technology. Compared with real celebrities, virtual character models have comparative advantages in terms of efficiency and economies of scale of industrial value. But there is not enough empirical research on the advertising effect of virtual character models. In this context, it will be meaningful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dvertising effect of virtual character models in this study. This article is a study of virtual character models through the "flow theory". The definition of immersion is different for each scholar. This study mainly uses 'flow' as the meaning of immersion for research.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advertising by examining the physical presence, social presence, charisma, and familiarity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and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mage consistency and flow. One advertisement featuring a virtual character as a model was select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06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received questionnaires through the Chinese professional statistics website (http://www.wjx.cn). Finally, 298 avail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or analysis. The data collection time is from October 22, 2022, to October 27, 2022, a total of 6 day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software in the following aspects: ①frequency, ②common method biases, ③Reliability, ④Validity, ⑤confirmatory factor, ⑥correlation of related variables, ⑦structural equation model, ⑧path, ⑨mediation effect Bootstrap tes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 that the virtual character model's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charisma, and familiarity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self-image consistency.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which consumers can hardly distinguish, the higher the degree of charisma and familiarity, the more positively the self-image consistency. 2.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and charisma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 on the flow effect of the advertisement, but the impact of familiarity is not significant. 3.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charisma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s, but familiarity i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Uncanny Valley theory, The concept suggests that humanoid objects that perfectly resemble actual human beings provoke uncanny or strangely familiar feelings of uneasiness and revulsion in observers. 4. Self-image consisten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flow. Self-image consistency is not only related to satisfaction but also closely related to flow in maintaining relationships. The higher the self-image consistency, the more positive impact on flow. 5. Self-image consisten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 6. flow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attitudes. When consumers watch advertisements, thei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will become more positive as the degree of flow increases. 7. Advertising attitud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8. According to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charisma, and the influence of familiarity on advertising attitudes. Self-image consistency has a mediating effect, indicating that self-image consisten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mediating effect. 9. According to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and charisma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the influence of familiarity on advertising attitudes. flow plays a mediating role, indicating that the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of the virtual character model, charisma has an impact on advertising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attitude, flow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 mediating effect, but in the influence of familiarity on advertising attitude,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is not significant. 10. Presence (physical presence/social presence), charisma, familiarity, and advertising attitude play a double mediating role in turn. This means that the more congruent consumers are with the virtual character model’s actual self-image, the more likely they are to flow themselves in the ad favorably. As the degree of flow increases, the effect of advertisement increas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of virtual characters as advertising models and hopes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diverse and specific discussions will be made in the field of virtual character models in the future. This paper points out the impact of different attributes of virtual character models on the effect of advertising when enterprises use virtual characters as models to make advertisements, and hopes to provide a reference for enterprises to choose advertising strategies in the future.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많은 기업들이 광고에서 가상인물들을 모델로 활용하고 있다. 가상인물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사용하여 현실과 융합함으로써 아주 진실적인 방식으로 표현되는 가상인물이다. 실제 사람과 거의 구분할 수 없는 가상인물 모델은 현실 세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상인물 모델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들도 가상인물 모델의 마케팅 효과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가상인물 모델을 사용함에 따라 이점은 실제 유명인 혹은 연예인이 야기할 수 있는 스캔들과 같은 위험을 부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가상인물 모델은 협력업체에 안정성을 보장한다(창작자가 계정 관리 권한까지 충분히 가지고 있어 모델자신의 원인으로 인해 나쁜 영향을 줄 염려가 없다). 또한, 메타버스의 유행과 그래픽 모델링 기술의 성장하면서 가상인물 모델이 실제인물 모델보다 산업가치 효율성과 산업 가치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게 되어었다. 그러나 가상인물 모델의 광고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가상인물 모델의 광고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는 것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몰입이론(Flow Theory)을 도입하여 가상인물 모델을 연구하였으며, 몰입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다. 본 연구는 주로 flow를 몰입의 의미로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가상인물 모델의 특성인 물리적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몰입의 매개효과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인물을 모델로 한 광고를 선정하여 중국 전문 통계 사이트인 问卷星(https:www.wjx.cn/)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수집 시간은 2022년 10월 22일부터 2022년 10월 27일까지 총 6일이다. 회수한 설문지 중 불확실한 데이터 등을 제거하고 총 298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과 AMOS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동일방법편의, 신뢰도분석, 타당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관련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분석, 매개효과의 Bootstrap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인물 모델의 특성인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은 자아 이미지 일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 실제 사람과 거의 구분할 수 없는 가상인물 모델의 실재감과 매력성, 친숙성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자아 이미지 일치성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상인물의 실재감(물리적/사회적)과 매력성은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친숙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상인물의 실재감(물리적/사회적)과 매력성은 광고 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친숙성은 광고 태도에 유의한 통계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의 로봇학자 모리 마사히로(Mori Masahiro)가 주창한 ‘불쾌한 골짜기’ 이론과 관련이 있다. ‘불쾌한 골짜기’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로봇 등이 인간을 닮을수록 좋아하지만 닮은 정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오히려 정서적 불쾌감 또는 비호감을 가진다고 한다. 넷째,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 이미지 일치성은 만족뿐 아니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는 몰입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즉 자아 이미지 일치성 정도가 높아지면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광고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몰입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소비자가 광고를 봤을 때 몰입의 정도가 높을수록 광고태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곱째, 광고태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가상인물 모델의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매개할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가상인물 모델의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몰입이 매개할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가상인물 모델의 특성인 실재감(물리적/사회적), 매력성, 친숙성이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칠 때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몰입이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 자들이 가상인물 모델과 실제적 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높을수록 호감을 가지고 광고에 몰입할 가능성이 크며 몰입의 정도가 높을수록 광고효과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광고모델로서의 가상인물의 의미를 밝히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보다 정교화된 가상인물 모델에 대한 논의가 향후 도전되어지길 기원한다. 향후 가상인물을 모델로서 한 광고를 제작할 때 어떠한 가상인물 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더욱 큰 광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에 대하여 실무자들이 참고할 만한 전략적 제안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