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보 과학 기술 : 웹문서 분류를 위한 한국어 형태소 해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강원석 ( Won Seog Kang ),류태천 ( Tae Chun Ryu ),정영훈 ( Young Hoon Jung ),홍석호 ( Seog Ho Hong ),정부천 ( Boo Cheon Ju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1

        정보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신속히 찾기 위하여 정보를 미리 분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웹에 있는 웹문서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위한 형태소 해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한국어 형태소 해석 시스템은 최장일치와 휴리스틱 규칙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한다. 본 시스템을 일반의 형태소 해석 시스템과 비교실험한 결과 더 나음을 보였다. 본 시스템에 사용한 최장일치와 휴리스틱 규칙을 이용한 형태소 해석 시스템에 웹문서 분류 분야에 이용가치가 높다.

      • KCI등재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는 환자의 난포액 내 인슐린유사성장인자-2, 인슐린유사성장인자 결합단백질-1, 3과 누적배아지수와의 상관관계

        권혜은 ( Kwon Hye Eun ),홍석호 ( Hong Seog Ho ),박정열 ( Park Jeong Yeol ),김성훈 ( Kim Seong Hun ),채희동 ( Chae Hui Dong ),김정훈 ( Kim Jeong Hun ),강병문 ( Kang Byeong Mun ),남주현 ( Nam Ju Hye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5

        목적 : 체외수정시술 시 난소의 미세 환경을 조절할 것으로 생각되는 중요한 인자들 중 하나인 난포 내 인슐린유사성장인자-Ⅱ (insulin-like growth factor-Ⅱ, IGF-Ⅱ)와 인슐린유사성장인자 결합단백질-1, 3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3, IGFBP-1, 3의 임상적 의의와 이들과 누적배아지수 (cumulative embryo score)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과배란유도 (controlled ovarian hypersimulation, COH) 후 체외수정시술을 시행받은 18명의 환자, 21주기를 대상으로 하여 환자들로부터 난자채취 시 얻은 난포액을 원심분리한 상층액으로부터 IGF-Ⅱ, IGFBP-1, 3을 면역방사계측법 (immunoradiometric assay, IRM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이 결과를 임신군과 비임신군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IGF-Ⅱ, IGFBP-1, 3의 난포 내 농도와 누적배아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배아등급은 분할할구 (blastomere)의 모양과 크기의 균일한 정도, 절편 (fragmentation)의 퍼센트에 따라 5단계로 분류하였다. 높은 등급순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각 점수에 해당 배아의 분할구의 수를 곱한 후 이를 더하여 누적배아지수를 계산하였다. 결과 : 난포액 내 IGF-Ⅱ의 농도 (ng/㎖)는 임신군 (중앙값 ; 668.0, 범위 ; 243.0-1019.0과 비임신군 (중앙값 ; 635.5, 범위 ; 301.0-885.0)에서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 난포액 내 IGFBP-1의 농도 (ng/㎖)도 임신군 (중앙값 ; 100.0, 범위 ; 64.9-121.0)과 비임신군 (중앙값 ; 95.4, 범위 ; 13.3-131.0)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IGFBP-3 역시 임신군 (중앙값 ; 3242.0, 범위 ; 1006.0-4015.0)과 비임신군 (중앙값 ; 2926.0, 범위 ; 964.0-4977.0)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한편, IGF-Ⅱ의 농도와 누적배아지수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1). IGFBP-3와 누적배아지수는 상관관계의 경향성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갖지는 못했으며 (p=0.053), 자유형 IGF-Ⅱ (free IGF-Ⅱ)를 반영하는 IGF-Ⅱ/IGFBP-1와 누적배아지수도 상관관계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056).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난포액 내 IGF-Ⅱ 그리고 자유형 IGF-Ⅱ의 농도는 체외수정시술을 시행하는 환자에서 향후 임신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 좋은 난자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s of insuline-like growth factor-Ⅱ (IGF-Ⅱ), insuline-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Ⅰ, 3 (IGFBP-1, 3) in the follicular fluid and the cumulative embryo score (CES) in the patient who underwent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21 cycles of 18 patients which underwent IVF-ET cycle afte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Using immunoradiometric assay (IRMA),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in the follicular fluid.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group. The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in the follicular fluid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follicular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and cumulative embryo score were evaluated. Results were analyzed with Mann-Whitney U tes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follicular concentrations of IGF-Ⅱ, IGFBP-1, 3 between the pregnant group and non-pregnant group. There were signifiant correlation between the follicular concentration of IGF-Ⅱ and cumulative embryo score (p=0.001). There might be correlations between the follicular concentration of IGFBP-3, and free IGF-Ⅱ and cumulative embryo score (p=0.053, p=0.056,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follicular IGF-Ⅱ and free IGF-Ⅱ might have an influence to development of good-quality embryos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 전령리보핵산의 발현

        박정열 ( Park Jeong Yeol ),김정훈 ( Kim Jeong Hun ),홍석호 ( Hong Seog Ho ),이영진 ( Lee Yeong Jin ),홍승화 ( Hong Seung Hwa ),권혜은 ( Kwon Hye Eun ),김성훈 ( Kim Seong Hun ),채희동 ( Chae Hui Dong ),강병문 ( Kang Byeong M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3

        목적 : 본 연구는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자궁내막과 정상 위치의 자궁내막 그리고, 자궁내막증이 없는 환자의 자궁내막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VEGFR) 의 발현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양성 부인과 질환의 수술적 치료를 통하여, 자궁내막증으로 확인된 환자들을 실험군으로 하였으며, 자궁내막증이 없는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의 이소성 자궁내막조직 및 정상 위치의 자궁 내막조직과 대조군의 자궁내막조직내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의 전령리보핵산 (messenger ribonucleicacid, mRNA)의 발현정도는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응 이용하여 정량화하였고, ANOVA (analysis of variance)와 Kruskal-Wallis test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환자군의 경우 정상 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내 혈관내피성장인자수용체-1, -2, -3 mRNA 모두 증식기와 분비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해 있었다. 한편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1은 후기증식기에 비해 중간분비기때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의 경우엔 후기증식기에 비해 중간분비기때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특히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후기증식기 자궁내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은 대조군의 후기증식기 및 중간분비기 자궁내막조직에 비해서는 물론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 자궁내막에서의 후기증식기 및 중간분비기 자궁내막조직에 비해서도 뚜렷하게 높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자궁내막증의 발생에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 전령리보핵산의 발현 증가가 관여되어있음을 시사하고, 이들중 특히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1, 3은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혈관내피성장인자가 자궁내막증의 발생에 자가분비 및 주변분비 방식으로 관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은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의 증식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1, -1, and -3 (VEGFR-1, -2, and -3) mRNA in the eutopic and ectopic tissues in women with endometriosis. Methods : At the time of laparoscopy or laparotomy for endometriosis, infertility or other benign gynecologic conditions, a biopsy specimen was taken from the endometrial cavity and a peritoneal endometriotic implant simultaneously whenever appropriate. For control samples, endometri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women without visual evidence of endomtriosis. We employed real time quantitative RT-PCR to quantify VEGFR gene expression of these tissues. Comparisions between each group were made using ANOVA (analysis of variance) and Kruskal-Wallis tes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 The expression of VEGFR-1, -2, and, -3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endometrial tissues during both proliferative and mid-secretory phase. In ectopic endometrial tissue, VEGFR-1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mid-secretory phase compared to the proliferative phase. There was a marked increase especially in VEGRF-3 mRNA expression in ectopic endometriotic lesions during the proliferative phase but its expression decreased during the mid-secretory phase. Conclusion : mRNA for VEGFR-1, -2, and -3 in an endometriotic lesions might be differentially expressed and their expression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