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 한국 산모와 신생아의 비타민 D 영양 상태 조사

        나보미 ( Bo Mi Na ),노소정 ( So Jung No ),김미정 ( Mi Jung Kim ),한헌석 ( Heon Seok Han ),정은환 ( Eun Hwan Jeong ),한영희 ( Young Hee Han ),현태선 ( Tai Sun Hyeun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목적: 한국 산모와 신생아의 비타민 D 영양 상태를 조사하여 비타민 D 부족의 발생률과 그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출산한 총 181쌍의 산모와 건강한 만삭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만시 산모와 제대혈의 혈청 25-OH 비타민 D3(25OHD3), alkaline phosphatase (AP), 칼슘(Ca), 인(P), 부갑상선 호르몬(PTH)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모성 면담과 설문 조사를 통하여 자외선 조사량과 비타민 D의 일일 평균 섭취량을 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 산모와 신생아의 혈청 25OHD3 농도는 각각 23.4±9.9과 16.9±7.5 ng/mL이었다. 2) 8 %의 산모와 22%의 신생아가 비타민 D 결핍 상태였으며, 70%의 산모와 신생아에서 부족 상태를 보였다. 3) 산모와 신생아의 25OHD3 농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7270, p<0.0001). 4) 산모와 신생아의 비타민 D 영양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출산 계절로 하절기(6~11월)에 높았다. 5) 다중회귀분석 결과, 산모에서는 출산 계절과 분만 방식이, 신생아에서는 산모의 25OHD3와 분만 방식이 비타민 D 농도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 산모와 신생아는 비타민 D 영양 결핍이나 부족 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출산 계절이 비타민 D 영양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vitamin D nutritional statu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mothers and their newborn infants. Methods: Maternal (n=181) and cord blood (n=180) serum concentrations of vitamin D (25OHD3), calcium, inorganic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intact parathyroid hormone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delivery. We defined vitamin D deficient, insufficient, and sufficient as 25OHD3 <11, 11~30, and >30 ng/mL, respectively. Using questionnaires, average duration of sun-light exposure (minutes/day) and dietary intake of vitamin D (μg/day) were obtained. Results: 1) The mean 25OHD3 level in mothers was 23.4±9.9 (range 4~71.6) ng/mL, and in newborns, 16.9±7.5 (range 0.9~53.6) ng/mL. 2) 8.3% of mothers and 22.2 % of newborns were vitamin D deficient, and 70% of both mothers and newborns were insufficient. 3) Maternal 25OHD3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cord blood 25OHD3 (r=0.727, p<0.001). 4)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low 25OHD3 levels was the season of birth (June through November) in both mothers and newborns. 5)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eason of birth and the mode of delivery remained significant for maternal vitamin D status, whereas maternal 25OHD3 and the mode of delivery remained significant for neonatal vitamin D status. Conclusion: In conclusion, vitamin D deficiency or insufficiency was relatively common in Korean mothers and their newborn infants, and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low vitamin D status was the season of bi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