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준만삭아의 신생아기 임상 경과에 대한 연구

        나보미 ( Bo Mi Na ),송창주 ( Chang Ju Song ),김미정 ( Mi Ju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2

        목적 : 본 연구는 재태 기간 35+0주에서 36+6주 사이의 준만삭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들을 조사 하고, 이들에 대한 적절한 관리 기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충북대병원에서 출생한 준만삭아 113명과 만삭아 13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 준만삭아군에서 만삭아군에 비해 낮은 아프카 점수를 보였으나 분만 방식과 남녀비에는 두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준만삭아의 산모에서 조기양막파수와 자간전증이 많았다. 준만삭아군은 만삭아군에 비해 황달(46.0% vs. 11.6%), 호흡곤란(20.4% vs. 10.9%), 수유장애(19.5% vs. 5.8%), 수액요법, 패혈증 진단을 위한 검사, 예방적 항생제 치료 등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저혈당증, 무호흡, 저체온, 패혈증의 빈도는 두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준만삭아군에서 만삭아군에 비해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68% vs. 28%)과 퇴원 지연(60% vs. 27%)이 많았으며, 재원 기간(7.77±5.63일 vs. 4.67±3.17일)도 길었다(p<0.001). 결론 : 준만삭아는 만삭아에 비해 더 많은 임상적 문제들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 퇴원이 지연되거나 재입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준만삭아에 대해 만삭아와 차별화된 관리기준과 진료지침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며, 아기나 산모의 건강 때문이 아니라면 임신 35~36주에 의도적, 선택적으로 유도 분만하는 것은 피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document the common medical problems and clinical outcomes of near-term infants who were delivered between 35+0 and 36+6 weeks of gestation, in order to promote optimal health outcomes for these infant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of 113 near-term infants and 138 term infants as control, who were born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2003~2004. Results : When compared with term infants, near-term infants had a significantly lower Apgar scores (7.7 vs. 8.7 at 1 minute) and higher frequency of prolonged rupture of membrane (19.8% vs. 6.7%), preeclampsia (20.9% vs. 4.4%), jaundice (46.0% vs. 11.6%), respiratory distress (20.4% vs. 10.9%), feeding problems (19.5% vs. 5.8%), intravenous fluid infusion (63.7% vs. 24.6%), diagnostic work-up for possible sepsis (68.1 % vs. 26.1 %), and use of antibiotics (58.4% vs. 22.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requency of cesarean section, hypoglycemia, hypothermia and clinical sepsis. More near-term infants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68% vs. 28%) and delayed in discharge home (60% vs. 27%) with longer hospital stay (7.77±5.63 days vs. 4.67±3.17 days). Conclusion : Near-term infants showed significantly more neonatal problems and longer and repeated hospital stays than full-term infants. Optimal care guidelines for near-term infants including scrupulous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omplications and meticulous follow-up after discharge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임상 ; 한국 산모와 신생아의 비타민 D 영양 상태 조사

        나보미 ( Bo Mi Na ),노소정 ( So Jung No ),김미정 ( Mi Jung Kim ),한헌석 ( Heon Seok Han ),정은환 ( Eun Hwan Jeong ),한영희 ( Young Hee Han ),현태선 ( Tai Sun Hyeun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목적: 한국 산모와 신생아의 비타민 D 영양 상태를 조사하여 비타민 D 부족의 발생률과 그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출산한 총 181쌍의 산모와 건강한 만삭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만시 산모와 제대혈의 혈청 25-OH 비타민 D3(25OHD3), alkaline phosphatase (AP), 칼슘(Ca), 인(P), 부갑상선 호르몬(PTH)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모성 면담과 설문 조사를 통하여 자외선 조사량과 비타민 D의 일일 평균 섭취량을 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 산모와 신생아의 혈청 25OHD3 농도는 각각 23.4±9.9과 16.9±7.5 ng/mL이었다. 2) 8 %의 산모와 22%의 신생아가 비타민 D 결핍 상태였으며, 70%의 산모와 신생아에서 부족 상태를 보였다. 3) 산모와 신생아의 25OHD3 농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7270, p<0.0001). 4) 산모와 신생아의 비타민 D 영양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출산 계절로 하절기(6~11월)에 높았다. 5) 다중회귀분석 결과, 산모에서는 출산 계절과 분만 방식이, 신생아에서는 산모의 25OHD3와 분만 방식이 비타민 D 농도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 산모와 신생아는 비타민 D 영양 결핍이나 부족 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출산 계절이 비타민 D 영양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vitamin D nutritional statu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mothers and their newborn infants. Methods: Maternal (n=181) and cord blood (n=180) serum concentrations of vitamin D (25OHD3), calcium, inorganic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intact parathyroid hormone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delivery. We defined vitamin D deficient, insufficient, and sufficient as 25OHD3 <11, 11~30, and >30 ng/mL, respectively. Using questionnaires, average duration of sun-light exposure (minutes/day) and dietary intake of vitamin D (μg/day) were obtained. Results: 1) The mean 25OHD3 level in mothers was 23.4±9.9 (range 4~71.6) ng/mL, and in newborns, 16.9±7.5 (range 0.9~53.6) ng/mL. 2) 8.3% of mothers and 22.2 % of newborns were vitamin D deficient, and 70% of both mothers and newborns were insufficient. 3) Maternal 25OHD3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cord blood 25OHD3 (r=0.727, p<0.001). 4)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low 25OHD3 levels was the season of birth (June through November) in both mothers and newborns. 5)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eason of birth and the mode of delivery remained significant for maternal vitamin D status, whereas maternal 25OHD3 and the mode of delivery remained significant for neonatal vitamin D status. Conclusion: In conclusion, vitamin D deficiency or insufficiency was relatively common in Korean mothers and their newborn infants, and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low vitamin D status was the season of birth.

      • KCI등재

        모유 수유아의 철 결핍과 조기 저용량 철분보충요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

        노소정,나보미,김미정,Noh, So-Jung,Na, Bo-Mi,Kim, Mi-J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1 No.2

        목 적: 건강한 모유 수유아의 경우 생후 6개월까지는 철분 결핍이 일어나지 않으며 6개월 이전에는 철분을 보충할 필요가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건강한 모유 수유아에서도 생후 6개월 이전에 철 결핍과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후 6개월과 12개월 영아들의 철 영양상태를 알아보고, 생후 2개월부터 조기 저용량 철분보충요법을 시행하여 철 결핍과 철 결핍성 빈혈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8월부터 2005년 7월까지 만 1년간 충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만삭으로 출생한 건강한 신생아 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생후 2개월에 분유 수유군(A군), 모유 대조군(B군), 모유 보충군(S군, 철분 5 mg/일 보충)으로 나누어 출생 시(제대혈), 생후 6개월, 12개월에 저장철(ferritin), 혈청 철(iron), 총철결합능(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트랜스 페린 포화도(transferrin saturation rate, TFSAT)와 헤모글로빈(hemoglobin), 헤마토크릿(hematocrit), 평균적 혈구용적(mean corpuscular volume, MCV), 평균적혈구혈색소량(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적혈구분포폭(red cell distribution width, RDW)을 측정하였다. 결 과: 1) 생후 6개월에 측정한 저장철, 혈청 철, TFSAT, 헤모글로빈은 세 군 중 모유 대조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총철결합능과 적혈구분포폭은 가장 높았다. 저장철 고갈, 철 결핍, 철 결핍성 빈혈의 빈도는 모유대조군에서 각각 33, 33, 30%로 분유 수유군의 0, 5, 8%나 모유 보충군의 1, 7, 5%보다 높았다. 2) 생후 12 개월의 저장철, TFSAT, 헤모글로빈, MCV, MCH는 세군 중 모유 대조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총철결합능과 적혈구분포폭은 가장 높았으나, 혈청 철과 헤마토크릿은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저장철 고갈, 철결핍, 철 결핍성 빈혈의 빈도는 모유 대조군에서 각각 73, 64, 50%로 분유 수유군의 4, 4, 3%나 모유 보충군의 9, 9, 7%보다 높았다. 결 론: 철 결핍 상태와 철 결핍성 빈혈은 모유 수유아에서 분유 수유아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철분 보충 없이 모유 수유만 했던 영아의 경우 생후 6개월에도 철 결핍과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하였으며, 조기 저용량 철분보충요법은 모유 수유아에서 철 결핍과철 결핍성 빈혈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early low-dose iron supplementation in term breast-fed infants. Methods: Eighty-seven healthy term inf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 formula-fed; B, breast-fed only; S, breast-fed with iron supplementation (5 mg/day from 2 months of age). We measured ferritin, iron,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transferrin saturation rate (TFSAT), hemoglobin (Hb), hematocrit (Hct), mean corpuscular volume (MCV),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and red cell distribution width (RDW) at birth, 6 months of age, and 12 months of age. Results: 1) At 6 months of age, ferritin, iron, TFSAT, and Hb in Group B were the lowest among the 3 groups, whereas TIBC and RDW were the highest. The incidences of iron deficiency (ID) and iron deficiency anemia (IDA) in Group B were 33% and 30%, respective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seen in Groups A (5% and 8%, respectively) and S (7% and 5%, respectively). 2) At 12 months of age, ferritin, TFSAT, Hb, MCV, and MCH in Group B were the lowest among the 3 groups, whereas TIBC and RDW were the highest. Iron and Hct did not differ among the 3 groups. The incidences of ID and IDA in Group B were 64% and 50%, respectively, again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seen in Groups A (4% and 3%, respectively) and S (9% and 7%,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revalences of ID and IDA were higher in breast-fed infants than in formula-fed infants, even at 6 months of age. Early and low-dose iron supplementation in breast-fed infants improved iron status and lowered the incidence of iron deficiency anemia in early infancy.

      • 영아 급성 출혈설 부종 1례

        나보미,이진석,하태선,윤태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4 忠北醫大學術誌 Vol.14 No.1

        영아 급성 출혈성 부종 (acute hemorrhagic edema of infancy, AHEI)은 4개월에서 2세 사시의 소아에서 주로 얼굴과 사지에 국한된 염증성 부종과 특징적인 자반성 피부 병변을 보이는 백혈구 파쇄성 혈관염으로, 내부 장기의 침범 없이 급성의 피부 병변을 보이며 대게 1-3주 내에 자연 치유되는 양성질환이다. 이 질환은 비슷한 임상양상이나 조직소견을 보이는 다양한 질환들과의 감별이 필요한데, 특히 소아에서는 Henoch-Schonlein 자반증과의 감별이 특히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자반성 피부병변과 얼굴과 사지의 부종 등의 특징적 피부증상과 피부 병리소견을 통하여 AHEI로 진단한 17개월 남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cute hemorrhagic edema of infancy (AHEI) is a variant of leukocytoclastic vasculitis which is characterized by edema and pupuric skin lesions involving mainly the face and extremities. However, there is usually no visceral involvement. The onset of the disease is acute but self-limited, bearing a benign clinical course within 1 to 3 weeks. The main differential diagnosis of AHEI is Henoch-Schonlein purpura. We report a 17-month old boy with AHEI presenting purpuric skin lesions, edema on face and extremities, and leukocytoclastic vasculitis on skin pat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