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성인기 자해행동

        함경애(Ham, Kyong-ae),김서영(Kim, Seoyoung),이동귀(Lee, Dong-gwi),손하림(Sohn, Harim)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자해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성인 516명 중 자해 경험이 있는 1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응답자들의 초발 자해행동은 평균 15.70세(SD = 3.11)에 시작되었고, 고의로 자신을 때리거나, 깨물거나, 벽이나 책상 등에 머리를 부딪히는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해행동 시작 계기에 대한 다중응답분석결과, ‘우연히 자해라는 것을 발견해서(45,7%)’가 가장 많았다. 셋째, 자해 경험이 있는 집단이 비(非)자해집단에 비해 의사소통기술을 제외한 심리부적응 관련 변인(정서강도 및 반응성, 분리 상실 경험, 파국화, 고통감내력 부족, 감정표현 불능, 사회적 문제 해결 부족)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자해행동을 판별해주는 예측변인을 탐색한 결과, ‘정서강도 및 반응성’이 높을수록, ‘분리 상실 경험’이 많을수록, ‘고통감내력’이 부족할수록 자해경험이 있는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았다. 다섯째, 수정된 통합적 자해행동모형(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nonsuicidal self-injury; Jacobson & Batejan, 2014)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한 결과, 정서강도 및 반응성은 고통감내력 부족을 통해 자해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분리 상실 경험은 자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ngagement mechanism of self-injury based on multifaceted risk factors suggested by the revised version of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the total of 516 participants, 132 young adults who reported self-injurious behavior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with self-injury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ly more signs of psychological maladaptation (e.g., higher trait affect intensity and lower distress tolerance) than the group without engagement in self-injury. Among the risk factors, trait affect intensity, childhood separation or loss experience and low distress tolera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The path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affect intens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via low distress tolerance, while the childhood separation or loss experience directly predicted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모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함경애(Ham Kyong ae),신지영(Shin Ji Young),이동훈(Lee Dong H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한 모 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모 양육태도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8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76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자료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73부를 제외하고, 총 72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양육태도 중 돌봄은 충동성 및 인터넷 중독과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적 양육태도는 충동성 및 인터넷 중독과, 충동성은 인터넷 중독과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 양육태도 중 돌봄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약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모 양육태도 중 통제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의 약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충동성의 수준에 따라서 모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On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es' perceived maternal rearing attitudes and internet addictions. The other wa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rearing attitudes and internet addictions. A total of 800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of which 760 of them were collected. Among them, 727 were usable for this study, and was analyzed using SPSS 20.0.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aring rearing attitudes of mother were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mpulsivity and internet addictions. Controlled rearing attitudes of moth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mpulsivity and internet addictions, and impuls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net addiction. Second, the weak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was observed between caring rearing attitudes of mother and internet addictions. Third, the weak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was observed between controlled rearing attitudes of mother and internet addictions. In short,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on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s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ulsiv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완벽주의와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자동 사고의 매개효과

        함경애(Ham, Kyong-A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완벽주의와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자동 사고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울산 소재에 재학중인 초등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발표불안, 부정적인 자동 사고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초등학생의 부정적인 자동 사고가 완벽주의와 발표불안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불안과 완벽주의 및 부정적인 자동 사고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완벽주의와 부정적인 자동 사고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인 자동 사고는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인 자동 사고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Speech Anxiety Children’s. The research conducted survey abou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peech anxiety, academic self-efficacy scale by 312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Kyung-nam province, Ulsa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between Perfectionism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betwee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peech Anxiety respectively. Seco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Thir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 한부모의 행복증진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강경란 ( Kang Gyeong-ran ),함경애 ( Ham Gyeong-ae ),천성문 ( Cheon Seong-moon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지역과 세계 Vol.40 No.3

        본연구의 목적은 여성 한부모의 행복 증진을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본 프로그램 취지에 동의한 P시의 한부모 여성 20명 중 실험, 통제 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무선배정 하여, 총 8회기, 회기당 240분의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사전-사후 검사가 두 집단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종결 후 실험집단 참여자 각각 120분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만족도를 살펴보았을 때 프로그램의 내용뿐만 아니라 진행방법, 후속 프로그램 참여 여부 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해 전체적으로 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여성의 행복증진에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 on the Happiness of the Woman Single Paren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were 20 woman single parent in Busan and divided into two groups; 1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led group. The group cinematherapy program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240 minutes one times a week (total 8 times). Each group was measured two times, a pre-test and a post-test. Participants were given scales measuring self-esteem, parent-child relationship, depression and happin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ased on the reports on changing experiences from participants along with observations on behaviors in each session, a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a content analysis was don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level of happiness while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depression after this cinema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program was found generally high regarding the way to conduct this program and request on involvement in a follow up program as well as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rated positively. Consequently,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 program could be a proper alternative for the happiness of woman single parent.

      • KCI등재

        부모의 부부갈등과 결혼안정성과의 관계에서 부부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황지인(Hwang, Ji-In),함경애(Ham, Kyong-Ae),천성문(Cheon, Seong-Moo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본 연구는 부모의 부부갈등과 자녀의 결혼안정성과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부갈등대 처방식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기혼남녀 371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부부갈등, 부부갈등대처방식, 결혼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의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부모의 부부갈등과 결혼안정성의 관계에서 부부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Version 19.0 프로그램과 AMOS Version 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부부갈등과 부부갈등대처방식의 하위영역 중 이성적 대처 및 기혼자녀의 결혼안정성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부부갈등과 회피적 대처와 부정적 감정·행동표출 대처와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부갈등대처방식의 하위영역중 이성적 대처는 결혼안정성과 정적인 상관관계, 회피적 대처와 부정적 감정·행동 표출은 결혼안정성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부부갈등과 기혼자녀의 결혼안정성간의 관계에서 기혼자녀의 부부갈등대처방식 중 이성적 대처와 회피적 대처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married children’s coping methods for couple conflicts on relations between parents’ couple conflicts and married children’s marriage stability. For that purpose, the study surveyed 371 married men and women in the Busan area and measured them in parents’ couple conflicts, coping methods for couple conflicts, and marriage stability. All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Version 18.0 AMOS Version 7.0 programs.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couple conflicts and married children’s marriage stability. Parents’ couple conflict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rational coping of the subareas of married children’s coping methods for couple conflicts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voidant coping and negative emotions and acts. Marriage stabil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rational coping of the subareas of coping methods for couple conflicts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voidant coping and negative emotions and acts. Secondly, rational and avoidant coping turned out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parents’ couple conflicts and married children’s marriage s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은퇴를 앞 둔 중년남성의 은퇴준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건강한 부부관계에 의해 조절된 은퇴불안의 매개효과

        박지희(Jihui Park),함경애(Kyongae Ham)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은퇴를 앞둔 중년남성의 은퇴준비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건강한 부부관계를 통한 은퇴불안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406명의 은퇴를 앞둔 남성들의 은퇴준비, 삶의 만족도, 은퇴불안, 건강한 부부관계를 측정하였고, SPSS 21.0와 PROCESS(모델 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퇴를 앞둔 중년남성들의 은퇴준비는 건강한 부부관계 및 삶의 만족도와의 정적 상관이, 은퇴불안과의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은퇴를 앞둔 중년남성의 은퇴준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은퇴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은퇴불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건강한 부부관계가 조절하였다. 넷째, 은퇴준비가 은퇴불안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건강한 부부관계가 조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en who were near retirement. A total of 406 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retirement preparation, life satisfaction, retirement anxiety, and healthy marital relationship wer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3.4.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tirement prepar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y marit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ir retirement prepar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tirement anxie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was modulated by the subfactors of healthy marital relationships. Fourth, healthy marital relationships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retirement anxiety.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순남(Lee Soon nam),함경애(Ham Kyong 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일반계와 전문계 남ㆍ여 고등학교 학생 413명 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부모 공감,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수준을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부모공감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공감 중, 부공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부모공감 중, 모공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measuring parents' empathy,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were completed by 413 students who were given to female and male students in both a general and a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Busan. The process of the data was estimated by SPSS 18.0. To verify the effects,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s' empathy and self-este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 father's and a mother's empathy,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s empathy and school adjust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self-esteem.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empathy and school adjustment was completely by mediated by self-esteem. The limitations and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 KCI등재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아동의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신정민 ( Jeong Min Shin ),박명숙 ( Myeong Suk Park ),함경애 ( Kyong Ae Ha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아동의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 울산 소재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발표불안,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및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부분매개 모형(연구모형)과 완전매개 모형(경쟁모형)을 비교한 결과, 부분매개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표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스스로 해낼 수 있다는 믿음과 자신감이 아동의 발표불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Children`s. The research conducted survey abou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peech anxiety, academic self-efficacy scale by 312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Kyung-nam province, Ulsan. The collected data for analysis was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 The research confirm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the higher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he more child`s speech anxiety increase, bu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s able to reduce speech anxiety using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finding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협동학습을 적용한 도덕수업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지나 ( Gi Na Lee ),김은경 ( Eun Kyung Kim ),함경애 ( Kyong Ae Ham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1 동서정신과학 Vol.14 No.2

        본 연구는 협동학습을 적용한 도덕교과 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북구에 있는 Y중학교 1학년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이들을 각각 실험집단(35명), 통제집단(35명)으로 배정한 후 한 회기마다 45분씩 총 20회기의 협동학습을 적용한 도덕 수업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dow 17.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해 밝혀진 협동학습을 통한 도덕수업의 효과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협동학습을 적용한 도덕수업은 중학교 1학년 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협동학습을 적용한 도덕수업은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협동학습을 적용한 도덕수업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학습동기를 높이고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verification of moral education instruction by cooperative learning effect on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the stage of treatment and evalu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5 in an experimental group, 35 in a controlled group from Y middle school in Buk-gu, Busan participated. SPSS/Window 17.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statistical method, ANCOVA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results regarding an effect of the moral class that applied cooperative learning to have become clear through this study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al class which execu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to an education motive elevation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cooperation educations learning. The second, the moral class which executed in this study was also effective to a self-efficacy elevation of 1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cooperation educations learning.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moral class program that applied cooperation learning is effective to raise a learning motive and to improve a self-efficacy of a middle school student. In the last,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next studies were described.

      • KCI등재

        학업성취도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 차이

        송연주(Song, Yeon-Joo),이동훈(Lee, Dong-Hun),함경애(Ham, Kyung-Ae),이상수(Lee, Sang-So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본 연구는 초, 중학생의 학업성취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21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877명과 20개의 중학교 1, 2, 3학년 692명의 학생들과 학생의 담임교사들이다.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대한 지표는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교에서 지원받는 급식비 지원 유무를 사용하였다. 학생은 인터넷 중독 성향 척도에 응답하였고, 교사는 학업성취도 수준과 급식비 지원을 묻는 문항 및 학교적응 척도에 응답하였다. 학업성취도 수준은 우수집단과 보통이하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업성취 우수집단과 보통이하집단 간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급식비 지원집단과 미지원집단 간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지원 집단은 학업성취 우수/급식비 지원 집단, 학업성취 우수/급식비 미지원 집단 및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미지원 집단보다 학교적응을 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성향은 학업성취 우수/급식비 미지원 집단이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지원 집단 및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미지원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의 인터넷 중독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의 상호작용에 따라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and home economic status. Home economic status was measured by free school meals. For this study, self-report data was collected from elementary 4-6t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measuring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ir class teachers also completed checklists on academic performance, free school meals, and school adjustment.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bove-average and low-aver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and whether to apply for free school meals or no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two-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n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between the above-average and the low-average group of academic performance groups. Second, differences on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whether to apply for free school meals or not were revealed. Third, those who were in the low-average group of academic performance with receiving free school meals were more likely to have on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compared to other group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home economic status.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