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 - LAN 환경하에서의 완전한 SQL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 사용자 관계 DBMS

        조성배(Sung-Bae Cho),신동일(Dong-Il Sin),최윤철(Yoon-Chul Choy) 한국정보과학회 198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microcomputer용 관계 DBMS들에 비해 보다 완전한 SQL 들을 제공하는 Microcomputer용 relational DBMS를 설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IBM PC-XT들을 연결하는 Omni-net환경하에서 다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concurrency control을 simulate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 퍼지적분을 이용한 다중 신경망의 결합방법

        조성배(Sung-Bae Cho),김진형(Jin H.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을 효과적으로 학습시켜 좀더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학습된 신경망의 결과를 Sugeno의 퍼지적분 기법으로 결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론적으로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경망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지만, 현실적인 문제에서 단순한 구조의 신경망은 학습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학습된 신경망이 제대로 일반화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어진 문제에서 가능한 특성중 특정부분만을 고려하여 결정을 내리도록 각 신경망을 학습시킨 후, 이들의 결과를 일종의 퍼지척도로 보고 퍼지적분에 의해 통합하고자 한다. 제시된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온라인 필기문자를 인식하는 문제에 적용한 결과, 개별적인 신경망은 물론이고 그 밖의 여러 결합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개방형 혁신 연구동향 분석 및 정책 방향 모색

        조성배 ( Cho Sung-bae ),신신애 ( Shin Shin-ae ),강동석 ( Kang Dong-seok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정보화정책 Vol.25 No.3

        2018년 2월, 우리나라 정부는 ‘국민이 주인인 정부’를 실현하고자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 종합계획의 핵심은 국민 참여이며, 정부 내부의 역량만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닌 시민, 기업의 아이디어와 역량을 함께 모아 정부가 해결할 수 없는 사회 현안을 해결한다는 관점에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과 매우 유사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이 처음 발표된 2003년부터 2018년 4월까지의 영문 초록 데이터로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반의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개방형 혁신 연구 주제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주제간 토픽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의 추진과제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개방형 혁신에 대한 연구 주제와 주제간 관계를 도출하고, 그 결과를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과의 비교를 통해 개방형 혁신 관련 우리나라 정책의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February 2018,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Comprehensive Plans for Government Innov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people-centered government’. The core of the comprehensive plans is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hich is very similar to open innovation where social issues are solved by ideas and capabilities of the private sector rather than those of the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xtracting open innovation topics through topic modeling based on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as English abstract-data from 2003, when the plans for open innovation was first announced, to April 2018. Based on the extracted results, it also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omprehensive Plans for Government Innovation.” The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der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analyzes the present policies of Korea on open innovation and suggests directions for development.

      • 신경망의 기하학적 설계와 이의 Point Location Problem에의 적용

        조성배(Sung-Bae Cho),김진형(Jin-H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1

        최근에 단순한 기능을 하는 처리기들의 대규모 상호연결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신경망이 기존 계산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의 하나로 제안되어, 패턴인식이나 컴퓨터 시각과 같이 그 처리과정을 알고리즘화 하기 어려운 분야에서 크게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많은 신경망 방식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사전지식을 거의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신경망 기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주어진 문제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반영하는 신경망의 기하학적 설계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계산기하학의 대표적인 문제중의 하나인 Point Location Problem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한다. Point Location Problem을 제안한 기하학적 신경망으로 해결하는 경우에 전처리 시간 O(nlogn), 저장공간 O(n), 그리고 집의응답 시간 O(l)의 복잡도를 나타냄을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가로림 조력발전소 건설갈등의 장기화 원인분석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배(Cho Sung-Bae) 한국공공사회학회 2014 공공사회연구 Vol.4 No.2

        2007년, 가로림조력발전소 건설 사업이 추진되면서 충남 서산시, 태안군을 중심으로 갈등이 발생하였다. 2014년 현재에도 해결되지 못하고 주민 간 갈등으로 번져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가로림조력발전소 건설 추진에 따른 지역 내 갈등상황을 분석하여 장기화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에 대한 심층인터뷰 조사와 갈등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갈등이 장기화 되는 이유를 살펴보면, 우선 갈등배경으로 과거부터 조력발전소 예정지역으로서 지역개발이 쉽지 않았고, 어획량 감소와 더불어 생존 위기의 심화 등, 상대적 박탈감이 상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업자 측은 발전소 건립에 대한 주민간 견해차가 발생했음에도 발전소 건립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삶의 지속성에 대한 우려와 불안 해소를 위한 노력이 부족하였다. 실제로 제대로 된 정보가 공개되지 못하였거나 편향적으로 제공되었고, 그로 인해 반대 측 주민들로부터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등 제대로 된 대화의 구심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가로림조력발전소를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이제는 지역사회와 주민관계에 치명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와 광역지자체의 역할을 주문하고, 찬반 간 논의기구 구성을 제안한다. 또한 더 나아가 우려되는 지역주민 간 갈등 해결을 통한 공동체 회복을 추진하고 지역경제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시화지속가능발전위원회와 같은 미래 지역발전을 위한 협의회 구조의 논의기구로의 전환을 주장한다. In 2007, the social conflict takes place in Taean-goon and Seosan-si in Chungnam province(S.Korea) with proceeding to the Garorim Tidal Plant(GTP). Nowaday, the conflict can’t be solved and it makes conflicts extended over a long period among residents. As we analyze conflict situation in the region from constructional promoting the GTP, this study propose that understand the conflict causes which is extended over a long period and suggest to solve the problem politically. For this, this research is tried to conduct depth interview research and conflict analysis to the persons interested. The result can be found the reasons why the conflict is extended over a long period. Because it’s not easy for that city to have regional develop before because of conflicts based in society. Moreover there was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like reducing the number of fish caught and deepen survival crisis. Although there was a wide difference views with constructional promoting the GTP, related businessman doesn’t effort to solve economical, environmental, sustainable life’s concern and anxiety. Actually, hard facts about proceeding tge GTP can’t be open and it is offered biasedly. So they can’t find a focal point of the conversation as losing trust to opposed residents. the conflicts about proceeding the GTP being extended over long period, it is going to have critical problem with residents relationship. To solve this conflict proble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ould do their own parts. And we propose launching a body to discuss the matter between pros and cons. Also, we want to promote community recovery from solving the conflicts among residents and to turn the discuss apparatus to the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 long term development.

      • 미래 공공데이터 생태계 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성배(Cho, Sung-Bae),신신애(Lee, Hun-Jung),이헌중(Shin, Shin-Ae) 한국IT서비스학회 2020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

        우리나라 공공데이터 정책은 OECD 공공데이터 평가에서 3회 연속 1위를 달성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얻었으나, 쓸만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문제점과 더불어 기술 및 법제도 환경 변화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기존 데이터 생태계 및 데이터 생애주기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공공데이터 생태계 모델을 제안 한다. 또한, 제안된 공공데이터 생태계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최근 이 슈된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 개방 사례를 적 용해보았으며, 산·학·연 전문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 구성요소간 상대적인 중요도가 보완된 공공데이터 생태계 모델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의 갈등관리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배(Cho, Sung-Bae) 한국공공사회학회 2015 공공사회연구 Vol.5 No.2

        2013년,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자마자 밀양 송전탑 갈등을 계기로 중앙정부와 공공기관은 기존 갈등관리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대단위 개발 등 공공사업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는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갈등관리시스템의 개선과 대응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현행 갈등관리는 어디까지나 대통령령에 의해 사업을 추진하는 공공기관의 장의 자의적 판단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모든 사업에 적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정치적인 상황, 결정권자, 사업진행단계, 사회적 상황 등이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공공갈등은 대부분 사업화 과정에서 발생하였으므로 산하기관이 갈등관리 역할을 수행하였고 그 수장의 판단으로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공공정책과 공공사업이라는 영역 속에 중앙정부와 산하기관으로 업무가 분리된 현행 시스템에서 공공갈등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예방과 해결이라는 차원에서의 갈등관리의 책임 주체는 누가 되어야 하는지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산하기관 차원의 갈등관리는 진행 중인 공공갈등을 해소하게 하기도 하고 오히려 증폭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중앙정부 산하기관의 갈등관리 상황을 조사?분석하여 효과적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부처를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로 한정하도록 한다. 주로 갈등이 발생하는 사업으로는 도로, 철도, 수자원, 주택개발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 사업의 설계 및 공사 실무를 수행하는 산하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하겠다. 조사방법은 산하기관별 갈등관리 실태 조사와 갈등관리 대상 사업에 대한 조사로 분리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하기관별 갈등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갈등관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에 대한 종합적이며 전략적 대응 어려운 상황이다. 둘째, 갈등관리의 기능과 역할이 중복되어 그 대응에도 한계가 있다. 셋째, 갈등관리 총괄담당부서 혹은 담당자의 비전문성을 들 수 있다. 넷째, 산하기관 차원의 갈등관리는 사업추진에 주안점을 두어 실시하므로 역할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갈등관리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사업절차별 갈등관리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담당자에 대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사업초기부터 이해당사자 대상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협의체는 실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With conflicts of a transmission tower in Miryang city, the central government and a public institution finds an improved method about current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2013. After this, it proceeds to improve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s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MOLIT) and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that are mainly working on a public enterprise like a major development. However current conflict management system is not for every development project because the head of public organizations who works their development projects by a Presidential decree does the projects by their arbitrary decisions. The reasons that various factors as political conditions, decision makers, level of projects proceeding and social conditions effect on their situations. Also, solving public conflicts in these days is made by the head of state agencies that manages the public conflicts by themselves because it mostly happens to process of that development projects. But now, it is an issue that the subject will be on management public conflicts with this situation that the public conflicts happen to current system which is separated from state agencies and central government in area between a public policy and a public enterprise. State agencies"s public conflict management likes this solving the conflicts or aggravating conflicts badly. This study is for suggesting how to manage the public conflicts effectively as researching and analysing the management conflicts situation of state agencies. For this, this study limits an subject to the MOLIT. Especially, there are many public projects with highway, railway, water resources, housing development which mainly has a public conflicts. So this study has some state agencies as study subjects which design these public projects and do construction practice. This study surveys public conflicts management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and the subject projects of public conflicts management. This study makes a depth interview with the person in conflicts management charge for each state agencies. After analyzing this, current conflicts management has a problem like below. Firstly, it has no condition for comprehensive and strategic dealing with the conflicts. Secondly, there are limitations to deal with the conflicts because of overlapping function and duties with conflicts management. Thirdly, there are nonprofessional of the person or the department in conflicts management charge. Fourthly, the conflict management by state agencies always focuses on pushing forward the projects so they have a their limited role. This study suggests next things for solving problem of conflict management. First of all, it has to consolidate a function of conflict management. The second, it has to consolidate a relation of conflicts management in each project process. The third, it has to consolidate an a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Lastly, in the early stage of these projects, it does a fact-finding survey for all of the persons concerned. And the council will be formed by joining all of the persons concerned in that.

      • KCI등재

        공공사업에 대한 갈등관리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배(Cho Sung-Bae) 한국공공사회학회 2013 공공사회연구 Vol.3 No.1

        2012년 말 현재, 국내의 공공사업에 대한 갈등관리는 갈등이 발생하거나 예상되는 사업에 대하여 각 실무기관에서 자체 내규를 토대로 의사결정자 판단 하에 진행되고 있다. 그 이유는 현행 갈등관리가 대통령령 이외에 법ㆍ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그 시행기준도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법제도개선이 추진되었으나 실현되지는 못하였다. 이처럼 갈등관리가 선택적 판단과 추진이기는 했으나 이를 통해 일부 발생 가능한 갈등을 미연에 방지한 성과도 있었다. 그러나 갈등관리는 단편적으로 진행되어 종합적으로 정리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한계도 있다. 또한 사후 평가, 관련 자료의 활용, 차후 사업진행에 따른 적용 등 관련 제도 미비로 인한 선순환 구조가 이우러지지 못하면서 일부 성과에 대한 의문을 갖는 것도 사실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현행 갈등관리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초로, 국내 공공사업의 갈등관리의 실제 추진경과와 공과 실을 고찰하고 이후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 공공사업에 대한 갈등관리 사례가 많지 않고 보안을 요구하는 사업도 많아, 사례분석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적 규모’, ‘동일범주’, ‘연속적인 공공사업’으로 한정하여 갈등관리가 진행 중인 사업으로 한정한다. 이에 만족하는 사례로는 철도건설사업 중 ‘송ㆍ변전설비’ 사업을 들 수 있다. 본 사업은 국토해양부 산하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관할 아래 추진되고 있으며 2009년의 ‘호남고속철도 송ㆍ변전설비사업’, 2011년 ‘수도권고속철도 수ㆍ변전설비사업’에 대한 갈등관리가 이루어졌다. 또한 2012년 말 현재에는 ‘원주강릉 복선전철 송ㆍ변전설비사업’ 등에 대한 갈등관리가 진행 중으로, ‘동일범주내’ ‘연속성 있는’ 갈등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사례에 대한 갈등관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관리 성과와 문제점 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현행 갈등관리의 주요 성과와 한계를 최초로 제시한 연구이다. 둘째, 논자가 해당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각종 자료 및 지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로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철도 건설사업 송ㆍ변전설비 갈등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된 결과로서 국내 갈등관리 전체에 대한 평가에는 부족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타 사례의 갈등관리에 대하여 조사ㆍ분석 및 평가가 요구되며,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종국에는 공공사업에 대한 실천적이며 종합적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Conflict Management(CM) of public works projects has recently been going on a projects having conflicts or its possibility under each subordinate agencies’s control in south korea. That reason is that CM has no specific context and clear enforcement standards because there is not to support current CM through legal system excepting a presidential decree. There is to progress legal system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s until now, but it failed because the bill has not been passed National Assembly. For this reason, current CM is going on a choice of enforcement authorities and its decision by arbitrary judgment is making a limitation of conflict managing. It has effect to prevent some public conflicts which actually will be through CM although it was arbitrary. In fact, there is doubt to prevention in results which has no virtuous circle with the related system like using related data, post evaluation and project planning af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ctual CM’s progress and its merits and demerits in public works projects and suggest improved methods, based on a awareness of current CM in south ko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analyze cases because there are not yet many cases, and some projects are needed security. Accordingly, this study is limited under ‘nationwide scale’, ‘same category’ and ‘continuous public projects in conflict managing now’. As a result of these, I suggests that Railway Projects of Transmission Lines and Substations(RPTLS) is suitable to analyze case of this study. Because this project already had a CM to two public projects which is ‘Honam High-speed RPTLS’ in 2009 and ‘Capital High-speed RPTLS’ in 2011. Also, in late 2012, the conflict management is making progress on Wonju-Gangneung RPTLS that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 CM in same categor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ly, this is first study to suggest performance and limitation of current CM on RPTLS. Secondly, this is meaningful as a overall evaluation result from each data and knowledge in research of each case. However, this study has limits on evaluation over internal CM because it is evaluated result from only RPT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nother CM’s cases, and each cases are researched, analyzed and evaluated. After this, I expects it will be managed totally, also CM’s actual plan will be provided through conflict assessment analyzed from each public works projects.

      • KCI등재

        서울시 도시재정비사업에 대한 갈등분석 연구 : 종로구 창신·숭인재정비촉진지구를 사례로

        조성배(Cho Sung Bae) 한국공공사회학회 2012 공공사회연구 Vol.2 No.1

        지난 10년간 부동산경기 호황에 힘입어 전국적으로 도시재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경기 하락 등으로 뉴타운 사업은 한계에 이르고 있다. 그 결과 뉴타운사업에 따른 주민 간 갈등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관련 정책을 발표하는 등 문제해결을 위한 출구전략을 발표하는 등 사태 진정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도시재정비사업에 따른 주민반발의 이유와 갈등상황을 분석하고 이후 전개를 예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갈등영향 분석법을 사용하였고, 연구사례는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창신·숭인도시 재정비촉진지구로 한정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뉴타운으로 대표되는 재개발 갈등이 단순히 찬반 간의 갈등해결뿐만이 아니라, 정책을 통한 문제해결 이후 사업추진 과정에서 남겨진 주민 간 관계갈등 등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성과는 도시재정비사업에 대한 서울시 정책발표에 따른 갈등상황과 그 추이를 파악하여 이후 관련조례 마련과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With a boosting of real estate sector cycle in last 10 years, Newtown projects has been progressing all over the country. After U.S. financial crisis, however, Newtown projects in South Korea has reached its critical point. It result in becoming a social problem for conflicts among residents. Hence, Seoul city in South Korea makes efforts on publishing a related policy. This study is for analysing the reason of resident's opposition and conflict situation and estimating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For this, used a Conflict Assessment,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zone of Changsin-Sungin Newtown projects in South Korea. The key issues of this study is that the conflict of redevelopment is not also a conflict resolution between agreement and opposition but a needs of resolution which being lasted relationship conflicts in project's process after problem solving with public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