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임연옥(Yeon Ok Lim),윤현숙(Hyun sook Yoon),황지성(Ji Sung Hwa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자살의 강력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우울과 자살생각의 영향관계에서 보호요인으로써 가족관계만족도에 관심을 갖고, 부부관계만족도와 자녀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춘천 거주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비례할당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선정된 조사대상자 2,034명 중 배우자와 성인 자녀가 있는 노인 1,128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t-검증 및 ANOVA분석, 다중회귀분석, 일반선형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분석대상자의 자살생각은 평균 3.73점이었으며, 7.4%가 자살위험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우울 수준은 0점부터 30점 범위에서 평균 3.52점, 부부관계만족도는 5점 기준 평균 3.90점, 자녀관계만족도는 5점 기준 평균 4.06점이었다. 둘째, 노인의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수준도 높아졌으며, 마지막으로, 부부관계만족도와 자녀관계만족도 모두 노인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영향관계에서 부적조절효과를 보여 완충작용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자살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우울 스크리닝 강화와 노년기 부부관계의 재정립 및 노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atisfaction among family relationship that acts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2,034 elders above 65 years old, who reside in Chuncheon, were selected through using the ratio quota sampling method. Of thoses, 1,128 elders are selected based upon the study criteria: elders who have spouses and adult-childre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d general linear model were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ly, the suicidal thoughts among the subjects were 3.73 in average; mean of depression was 3.52 points; means of satisfaction in marital statu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were 3.87 and 4.06 points. Secondly, the degree of suicidal ideation was proportionate to the degree of depression. Finally, the satisfactions of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acted as negative moderate effects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elde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in order to decrease the suicide danger of elders: tightening depression screening, improving the marital communication skill and improving of marital relationship in later life through group counselling and intervening for solving the conflict between parent-adult children and etc.

      • KCI등재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에 심리적 번영감이 미치는 영향

        임연옥(Yeon Ok Lim),석재은(Jae Eun Seok),김여진(Yo jin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6 No.-

        본 연구는 개인의 정신건강상태를 보여주는 개념 ‘심리적 번영감’을 소개하고, 심리적 번영감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개인 외적 요인인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개인 내적 요인인 성격 특성을 통제한 상황에서 심리적 번영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다단계군집할당편의추출방법에 의해 표집된 전국 19세 이상 성인 121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7점 만점에 4.10점으로 중간수준이었고, 심리적 번영감은 5점 만점에 3.52점으로 중간 수준보다 조금 더 높았으며, 심리적 번영감 수준이 높은 사람의 비율이 13.8%이었다. 연구모형의 모형적합도가 양호하여 심리적 번영감이 클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질병 모델 중심의 정신보건 정책이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증진을 꾀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심리적 번영감을 높이기 위해 공동체 차원에서 긍정 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concept flourishing and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flourishing.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theoretical model is proposed. The model shows that flourishing affects life satisfaction, under controling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trai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employed to fulfill the study objective. Subject included 1,214 persons aged 19 and over in Korea who were sampled using multi cluster quato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Korean life satisfaction mean score is 4.10 out of 7 and flourishing mean score is 3.52 out of 5.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EM, the theoretical model is fit well to our data and flourish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in introducing the concept flourishing to Korean academic circles. Also,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approach to improve mental health is needed to promote flourishing.

      • KCI등재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초월적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연옥(Yeon Ok Lim),윤지영(Ji Young Yoon),석재은(Jae Eun Seo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인을 객관적으로 모두 갖추지 않을지라도 노후를 성공적으로 잘 보내고 있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선행연구에 주목하고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초월적인식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탐색적인 연구로 시도되었다. 다단계 층화표본표출법으로 표집된 전국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7월부터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인들은 신체적 건강과 정신 기능, 배우자와의 해로, 자녀와의 원만한 관계, 친밀한 친구의 존재, 경제적 자립, 사회활동, 지역사회에서의 거주와 같은 성공적 노화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적 한계에도 처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후를 잘 보낼 수 있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공적 노화에 대한 초월적 인식은 성별, 거주 지역, 학력과 배우자 유무와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어 자신이 처한 객관적인 상황과 초월적 인식이 관련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인을 객관적으로 갖추지 못할 경우 실패한 노년으로 규정하는 언론 매체나 노인복지학을 비롯한 노인교육, 또는 노후설계교육 등에 대해 경종을 울리고, 대안적인 시각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Reviewing literature that people report aging successfully even in the presence of chronic disease and functional disabilit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transcendental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1,000 subjects aged 20 and over in Korea were sampled using a multi-stag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data were collected by face-to-face interviews from July to August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Koreans believe that they will age successfully despite the absence of health, spouses, offspring, friends, social activities, financial security, and aging in pla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ranscendental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based on sex, education, region of residence and with/out spouse. Thus,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in presenting an alternative perspectives to the media and the gerontological education.

      • KCI등재

        지역사회 주민의 치매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도 간의 관계

        임연옥(Yeon Ok L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4

        본 연구는 지식-태도-행동(KAB) 모델과 치매에 대한 인식과 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바탕으로 치매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및 치매 환자에 대한 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2016년 춘천 지역주민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지식이 행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치매지식수준이 높아질수록 치매에 대한 인지적 태도를 매개로 치매환자에 대한 부정적 행동의도를 감소시켰다. 그런데 통제변수를 투입한 경우, 치매지식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인 정서적·행동적 태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부정적 행동의도도 증가함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치매지식이 태도의 유형에따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매지식이 정서적·행동적 태도에 따라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치매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residents regarding dementia and dementia patients. The research model was proposed based on the Knowledgeattitude- behavioral Model and previous researche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mploy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700 residents in Chuncheo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 of dementia knowledge on behavioral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also found that dementia knowledge reduced a negative behavioral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a rather positive cognitive attitude on dementia. However, in the model with a control variable, dementia knowledge was found to increase a negative behavioral intention indirectly through a more nega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s dementia. The results suggested dementia education and outreach campaigns for constructing a dementiafriendly environment which incorporate differential impacts of dementia knowledge.

      • KCI등재

        지역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고양시 사례를 중심으로

        임연옥(Lim, Yeon Ok),문정화(Moon, Junghw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3

        최근 삶의 질에 대한 지방정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지역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은 목적으로 하였다. 2018년 고양시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하여 확보한 데이터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을 구성하는 세 차원 중 삶의 만족에는 주거, 경제, 교통, 복지시설, 양성평등이, 심리적 번영감에는 고용, 경제, 자연환경, 교통, 안전이, 그리고 정서 경험에는 주거, 자연환경, 교통, 교육·보육, 양성평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local governments" interest in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local perception of living environment on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For this study,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00 adults over the age of 18 who lived in Ilsan-dong-gu, Ilsan-seo-gu, and Deokyang-gu in Goyang c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residential satisfaction, economic, transportation, welfare facilities, and gender equality affected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economy, natur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safety influenced psychological prosperity. In addition, residential satisfaction, natur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education and child-care, and gender equality were found to affect emotional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proposal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citizens of Goyang City were presented.

      •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하는 노인 암환자의 삶의 경험 과정

        임연옥(Lim, Yeon Ok)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4 한림고령사회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노인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 중 예비연구로써 노인 암환자가 암 진단부터 항 암화학요법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항암화학요법 치료 중이거나 치료 종료 후 경과관찰 중인 5명의 노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초점 면접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하는 노인 암 환자의 삶의 경험과정은 ‘마지막 길동무와 함께 무심하게 일상을 지내기’로 이해되었다. 본 연구참여자들은 건강 관리를 잘못한 내 탓과 병의 초기 발견을 놓치는 인과적 요인으로 인해 ‘어차피 가야 할 길’에 들어서게 되었다. 병원과의 접근 성과 치료비를 부담할 수 있는 재정적 능력을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치료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의사의 치료 에 그대로 따르며, 가족의 돌봄을 받고, 재가복지 서비스를 제공받지고 노인여가시설을 이용하지만, 친구들과의 만남은 피 하면서 암과 함께 더불어 생활하는 것을 일상생활화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큰 고통없이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 하기를 소망하면서 스스로 죽음을 준비하고 나름대로 삶에 의미가 있었음을 느낀다. 노인 암환자의 삶의 경험 과정을 다룬 본 연구는 노인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다양한 측면들을 제시해주 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designed as a preliminary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older cancer patients experience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uses the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on Strauss and Corbi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older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With the data analysis, 57 concepts and 15 categories were generated in open coding. In axial coding,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ollows: The causal condition was ‘Being my fault, and Missing an opportunity . The central phenomenon was ‘Final way to go’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Proximity to hospital’ and ‘Financial condi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Relationship between older patients and doctors , Family support’ and Friendship .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Taking the attitude to medical care’ and ‘Being everyday life. The internal consequence was ‘Taking the attitude to death’ and ‘Learning of life meaning’. The core category is ‘Living routinely with last fellow traveler . Through understanding the older cancer patients experience, it provides the basis to find the factors to influence of older cancer patient s quality of life.

      • KCI등재

        노인 암환자를 중심으로 노인 만성질환자 및 중년 암환자 간의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 비교

        임연옥(Lim, Yeon-Ok),김여진(Kim, Yo-Jin),윤현숙(Yun, Hyeon-Su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4

        본 연구는 Talyor(2012)의 스트레스-대응 과정 모델을 적용하여 노인 암환자의 삶의 질과 그 영향요인을 노인 만성질환자 및 중년 암환자 집단과 각각 비교하여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노인 암환자 197명, 중년 암환자 351명, 노인 만성질환자 30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응자원인 낙관성, 가족지지, 친구지지, 의사지지, 생활 스트레스, 경제적 상황과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 암환자의 신체건강 관련 삶의 질은 세 집단 중 가장 열악하였고,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은 노인 만성질환자에 비해 더 낮았으며, 의사지지를 제외한 스트레스 대응자원이 노인 암환자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 대응자원과 삶의 질의 영향 관계는 노인 암환자와 노인 만성 질환자, 노인 암환자와 중년 암환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의료 복지차원에서 낙관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친구와의 교제 권장, 경제적 지원의 확충, 생활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재가복지서비스와 가족상담의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Quality of life(QoL) of older cancer patients have not gained enough attention from researchers even when cancer i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of Korean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QoL of older cancer patients and factors related to it, applying Taylor(2012)’s Stress-Coping Process model, and by comparing with older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middle-aged cancer patients. Results indicated that physical health QoL of older cancer patients was the worst and their mental health QoL was similar with middle aged cancer patients. Multi-group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QoL and the stress coping resource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older cancer patients and older chronic disease group, as well older cancer patients and middle-aged cancer patients. Implications of results to improve the QoL of older cancer pati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임연옥(Yeon Ok Lim),윤현숙(Hyunsook Yoon)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3

        본 연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노인들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의 변화를 살펴보고, Andersen과 Newman(1973)의 행동주의 모델을 적용하여 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힘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수집된 한림고령자패널자료 중 60세 이상 노인을 분석대상으로 경로우대서비스, 여가서비스, 재가복지서비스 이용경험과 Andersen과 Newman(1973)의 모델에서 제시된 선행요인(성, 연령, 교육수준), 가능성요인(거주지역, 배우자유무, 월 용돈, 서비스 인지수준), 욕구요인(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귀회귀모형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모형을 만들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노인들은 경로우대서비스를 점차 보편적으로 이용하게 되었지만 여가서비스와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제한적이었다. 둘째, 경로우대서비스와 여가서비스에 대한 이용경험은 다음의 서비스 이용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이 조사시점마다 달라졌지만, 경로우대서비스 이용에는 선행요인인 연령과 가능성요인인 거주지역, 여가서비스 이용에는 가능성요인인 거주지역과 배우자유무, 그리고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에는 선행요인인 교육수준과 가능성요인인 서비스 인지수준이 5년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행연구들에서 서비스 이용에 욕구요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되어온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가능성요인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인 개인이나 가족의 특성보다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지역의 복지환경이 노인의 서비스 이용에 더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경로우대서비스와 여가서비스에 대한 복지자원과 재정에 있어서의 지역 간 격차를 줄이고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체계화하는 노력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elderly's welfare service utilization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utilization as time passed.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behavioral model presented by Andersen and Newman(1973) was applied. Using Hallym Aging Panel data consisted of 3 waves from 2003 to 2007, autoregressive modeling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for research purpo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s of welfare service utilization were increasing gradually. The complimentary service for the aged was utilized generally, but leisure service and community service were not used in common. (2) Past experience of service affected service utilization in the following times. (3) The factors affecting older adult's service utilization were different among the types of services. Nonetheless, the factors affecting continuously during the periods were found: age as predisposing factor and area as enabling factor in the complimentary service; area and existence of spouse as enabling factor in leisure service; education as predisposing factor and service cognition as enabling factor in community service. Enabling factor has affected more consistently than other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balanced regional arrangement for welfare resources and the public relation considering the elderly's intellectual leve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영성, 사회적 지지, 우울이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분석

        윤현숙(Hyunsook Yoon),임연옥(Yeonok Lim),고윤순(Yunsoon Koh),범경아(Kyoungah Beum)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3

        본 연구는 노년기 죽음불안과 영성, 사회적 지지, 우울 간의 관계를 이론 모형으로 제시하고, 검증된 이론 모형을 바탕으로 노년기 죽음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영성, 사회적 지지, 우울이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으로 설정하고, 이를 한림고령자패널 3차 자료 중 춘천노인 54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노인의 죽음불안, 우울과 영성이 남성 노인에 비해 더 높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회적 지지를 덜 받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영성이 우울과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삭제한 경쟁모형이 연구모형에 비해 실제 자료에 더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성과 죽음불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이중매개를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죽음불안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이론 모형을 제시하고, 이론 모형을 바탕으로 죽음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죽음준비와 함께 영성 수준을 높이기 위한 영성계발 프로그램을 병행해야 효과적일 수 있다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mediated effects of spirituality, social support, depression to death anxiety among older adults. The sample was 540 elderly living in Chuncheon, which were came from the 3rd wave data of Hallym Aging Study. Based on the literary reviews, the theoretical model and an alternative model are proposed. The results show that women had more death anxiety,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men. The alternative model was accepted. For the accepted model, spirituality had indirect effect to increase death anxiety through social support. Spirituality had dual mediated effect to death anxiety through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We suggest the integrated model with relationship of four variables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to decrease death anxiety among older adults by promoting spiritualty through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