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족의 지지가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익섭,윤경아,Lee, Ick-Seop,Yoon, Kyeong-A 한국사회복지학회 2001 한국사회복지학 Vol.45 No.-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provide a ground necessary to improve it. Research was conducted on 167 elderly with hearing, visual and physical disabilities aged over 60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Pusan. Telephone survey, sign language and interview, in accordance with types of disability, were adopted to collect data effectively. That is telephone survey was used for elderly with visual impairment whereas face-to-face interview for physical impairment and sign language for hearing impairment by volunte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two different models, direct effect model and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ppeared to be low in general among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emotional family support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empirically supported that emotional family support buffered the negative effect of economic limitations on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effects of economic limitations as stress factor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support, howev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decreased at a mercy of the stress factor of economic limitations with the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emotional support. Finally, this paper attempted to provide some alternatives to effectively improve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with disabilities based on empirical findings.

      • KCI등재

        활동보조서비스 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익섭(Lee Ick-Seop),김경미(Kim Kyung-Mee),김동기(Kim Dong-Ki)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보조서비스의 성과 및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한국적 적용가능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전국 10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로부터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중증장애인 201명에게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첫째, 장애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향상되었고, 둘째, 심리적 자기의존도가 증가하고,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셋째, 지역사회참여 및 취업이 증가하고,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된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활동보조서비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심리적 자기의존의 경우 월평균 가구 소득이 높고 1회 평균이용시간이 길수록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 심리적으로 의존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참여의 경우, 연령이 낮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지역사회에 참여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의 경우, 장애지속기간이 길고 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취업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고,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취업/고용유지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범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활동보조서비스를 국가적으로 제도화할 수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predict outcomes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PAS). A pho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1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used PAS services through 10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Participants reported an increase i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ssociated with use of PAS. Participants also reported increased psychological self-reliance as a consequence of using PAS, and high satisfaction with PAS in general.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reported increased active participation in their communities, increased employment, and high self-confidence in getting or maintaining jobs as outcomes of PAS. Among influential factors predicting the outcomes of PAS, high monthly income and more mean hours of for PAS were positive predictors of psychological self-reliance. Younger age, lower income, and longer duration of servi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Longer duration of disability and service use were positive predictors of employment status. Less severe disability and high monthly income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elf-confidence related to getting or maintaining a job.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nsuring the availability of PAS to all Koreans with disabilities who are interested in these services.

      • KCI등재
      • KCI등재

        중증 지체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욕구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이익섭(ICK SEOP LEE),최지선(Ji Sun Choi),김동기(Dong Ki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지체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ICF 분석틀을 적용하여 검증함으로써 한국의 활동보조서비스 판정체계 개선에 필요한 근거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2006년 11월 국가인권위원회가 중증장애인생활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고,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1급 지체장애인 344명이다. 활동보조서비스의 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 및 장애요인과 배경요인을 검증한 결과,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 전신마비인 경우, 사회참여가 활발한 경우, 중소도시 및 농어촌에 거주하는 경우, 물리적 환경에서 어려움에 많이 직면할수록 활동보조서비스의 욕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중증장애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서비스 판정과정에서 신체적 기능 뿐 아니라 사회참여 수준과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eys factors influencing need for personal assistances services, and look specifically at the ICF(WHO,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framework. We used secondary data collected via a survey of life status in severely disabled people by the Korea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2006). This study investigates two dimensions of factors which include function and disability factors, contextual factor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344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finding shows that absence of chronic disease, presence of tetraplegia, high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living in small cities or rural areas, perceived severity of physical environmental barrie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increasing need for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The relative size of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in terms of their association with dependent variable was followed by perceived severity of physical environmental barriers,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others. It is important that policy makers understand what factors influence need for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and consider this into their service delivery. It implies that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included as important determinants in service assessment process to meet the physically disabled s needs for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 KCI등재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의 의의와 한계

        이익섭(Ick Seop Lee),최정아(Jung Ah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3 No.-

        본고는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극복과 관련하여 가지는 의의와 한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빈곤 개념과는 달리 역동적이고 다차원적이며, 시민적 권리가 강조되는 사회적 배제의 관점으로 장애 문제를 조명해보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해보는 것은 그동안 이루어져왔던 기존의 접근방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 진행 중에 있는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의 추진 과정 및 내용을 검토해 봄으로써 장애인의 진정한 사회 통합(social inclusion)을 위한 출발점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은 장애인의 인권에 대한 기존 접근방법의 한계와 비판에서 출발함으로써 그 추진과정에서 장애인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담아내고자 하였으며, 그동안 간과되었던 사회 환경의 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 있는 것 역시 부인할 수 없다. 이는 국제조약이 가지는 구속력이나 효력의 한계와 관련된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보완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국제장애인권리조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들의 구체적 실현을 위한 정책이나 제도, 법 등의 제정 역시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국제장애인권리조약은 장애인들의 진정한 사회통합을 위해 장애인 정책이나 제도가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hich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in relation to social exclus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ocial exclusion, a new concept or paradigm that replaces the concept of poverty, has been accepted and applied for social policy in Europ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that the latter is dynamic, multidimensional, and right-based. Therefore, it can be meaningful to analyze problem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try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rough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especially in overcoming limitations of existing solutions. The term ‘social exclusion’ was used to refer primarily to those who slipped through the social insurance system in France. However, its meaning has been extended to be related to civil rights. The concept ‘social exclusion’ is understood as violating or not ensuring basic rights of citizen and the protection for the rights is sought as a solution for social exclus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Comprehensive and Integral Convention on Promo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s and Dign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a starting point for social inclus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for the convention, efforts to reflect the opin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convention targets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at have been underemphasized. We can find significance and meaningfulness of the convention in such efforts and purposes.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to solve to achieve social inclusion based on the convention. Those problems are associated with limitations of enforcement which international conventions generally have. Thus, the supports of institutional system is needed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It is also needed to establish institutions, policies, and laws to realize the contents and purposes of the convention. Despite such limitations, we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convention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r goal that the disability policy and institution should pursue for social inclusion of perso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만성질환을 가진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사회적 지원과 삶의 질 : 성별, 질환별, 거주지역별 비교

        이익섭(Lee Ick-Seop),홍영수(Hong Young-Su)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2

        본 연구에서는 2003년 12월 현재 고혈압, 관절염, 당뇨병, 뇌졸중 등의 만성질환을 가진 성인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N=221)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원과 삶의 질 정도, 그리고 사회적 지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국자료를 토대로 성, 연령, 질환명 및 거주지역 등을 고려한 층화표집방법에 의하여 선정하였으며, 분석에는 기술통계와 회귀분석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이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원과 삶의 질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간의 질환별, 거주지역별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지원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에 의한 정서적 도움이 유효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변인의 관계는 성별, 질환별, 거주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을 가진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의 사회적 지원과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ocial support, quality of life, and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among medicaid recipient with chronic illness such as hypertension, arthritis, diabetes, and stroke in Dec, 2003(N=221). Subjects were collected using stratified sampling by sex, age, diagnosis, and domicile on national data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Descriptive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performed. <br/> Results showe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as very low and social support was different in diagnosis and domicile, and social support, especially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positively impacted on quality of life. The relationship of the two variables showed the differences in sex, diagnosis and domicile.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oretical bases for enhancing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mong medicaid recipient with chronic illness.

      • KCI등재

        지방이양에 따른 지방정부의 장애인복지자원 변화추이 및 장애인복지의 과제

        이익섭(Ick Seop Lee),김동기(Dong Ki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복지사업의 지방이양으로 인해 지방정부의 장애인복지자원 중 자주 재원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장애인복지의 발전을 위해 지방이양에 따른 향후 장애인복지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초자료수집과 우편조사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의 장애인복지자원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2004년 약 5,060억 원, 2005년은 약 5,764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약 704억 원 정도 증가했고, 2006년은 5,960억 원으로 전년도 대비 약 196억 원 정도 증가했다. 둘째, 지방이양에 따른 장애인복지 과제를 살펴보면, 우선 장애인복지자원관련 분권교부세의 차별적 지원, 분권 교부세 사용용도의 명확한 지침마련, 지방이양사업의 재조정 및 지방재정 자립도 향상 등이 있다. 또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방이양관련 역할로는 교육에 대한 부분과 업무매뉴얼 및 시책에 대한 부분인데, 중앙의 경우 지방이양사무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지자체에 대한 업무매뉴얼을 만드는 것이 원활한 지방이양사업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고, 지방의 경우에도 담당공무원의 충분한 교육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재정확보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방이양에 따른 장애인복지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ansition-related devolution of independent resources of disability welfare resources to local government and explore the next disability welfare problem-related devolution for the growth of disability welfa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use two methods, basic data collection and mail surve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s: First, examining transition of welfare resources to local government, it is estimated about 506 billion won in 2004. And it is estimated about 576.4 billion won in 2005, with 70.4 billion won increasing by contrast with the previous year and it is estimated about 596 billion won in 2006, with 19.6 billion won increasing by contrast with the previous year. Second, examining disability welfare problems-related devolution, first of all, they include the differential support of the decentralization grant tax-related disability welfare resources, preparation of clear guide about the use of the decentralization grant tax, readjustment of devolution and improvement of the degree of local financial independence and so on. Also, the role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s the part of education and manual. In the case of central government, the important roles are sufficient education of devolution work and delivery of manual to local government and I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 sufficient education to public officials in charge and long-term plan establishment for guaranteeing finance. Through this result, we suggest politic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isability welfare relating devolution.

      • KCI등재

        한국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 평가와 향후 과제

        이익섭(Lee Ick-Seop),김경미(Kim Kyung-Mee),윤재영(Yoon Jae-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2

        본 연구는 2005년에 실시된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시범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개선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립생활센터 프로그램의 평가는 결과 중심의 성과평가 방식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성과평가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논리모델의 준거틀을 활용하였다. 논리모델의 구성요소에 따라 자원(투입), 활동(과정), 산출, 성과 등 4개 범주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자립생활센터소장 10명과 센터 이용자 231명을 대상으로 면접 및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68.8%의 이용자가 자립생활센터 서비스를 통해 지식(기술)을 습득하였으며, 87.0%가 삶의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82.9%가 서비스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센터서비스 이용 후 자신감 및 일상생활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용상태 및 자립생활실천 사례에 있어서도 상당한 성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전 장애영역 및 읍·면지역으로 자립생활서비스 확대의 필요성, 자립생활센터의 제도화, 자립생활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자립생활센터 연합체의 역량강화,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핵심서비스의 매뉴얼 개발 등을 제안한다. The study aim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CILs) demonstration program and to recommend future directions for CILs in 2006. The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is a logic model, which facilitates outcome-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The measures associated with the logic model include input, activity, output, and outcom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 executive directors of 10 CILs and conducting telephone survey with 231 consumer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found that 69% consumers acquired new knowledge and skills for independent living.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87% consumers experienced the positive changes in their lives and 83%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of the Centers. After using the services, consumers reported significant increases in self-confidence, and in the number and the level of involvement in the activities.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consumers was improved, and the number of persons who were living in institutions was decreased. The study supports the advancement of policy to institutionaliz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and points to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capacity of the Association of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to ensure high quality service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manual for these services is necessary, and that services should be provided across disabilities and throughout the country, especially in rur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