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이야기 이해특성

        윤혜련(Hea Ryun Yun),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3

        본 연구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이하, SLI)의 이야기 이해 결함의 특성을 고찰해봄으로써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이야기 중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를 위해 6;9 - 8;11세의 학령기 SLI 아동 15명, 이들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정상발달아동 15명(LA- M) 및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정상발달아동 15명(CA-M)을 대상으로 4가지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그 이야기에 대한 이해능력을 검사하였다. 이때 이해과제는 사실적 정보(literal information, LI), 텍스트 연결추론(text-connecting inference, TC) 및 빠진 정보추론(gap-filling inference, GF)의 세 가지 과제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세 집단 모두 LI, TC 및 GF의 순으로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 SLI 집단은 두 통제집단보다 낮은 이해수준을 나타냈다. 집단간 분석결과 SLI 아동은 LA-M 집단보다 TC 및 GF과제에서는 열등하였으나 LI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SLI 아동은 TC과제에서 두 통제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이해과제에 대한 오류 분석결과, 모든 집단에서 추론 오류유형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해수준이 높을수록 추론 오류유형 및 질문범위 오류유형의 집단내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질문이해 오류 및 엉뚱한 대답 오류는 SLI 아동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LI 아동의 이해특성과 관련된 추론과정의 문제점 및 중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tory comprehension of school-ag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Forty-fiv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5 children with SLI aged 6;9 - 8;11, 15 normal children matched by their chronological-age (CA controls) and 15 normal children matched by their language-age(LA controls). Three comprehension tasks were used: the literal information task(LI), the text-connecting inference task (TC), and the gap-filling inference task(GF). Each child was asked to perform the comprehension task after they had heard a story by the experimenter. Four stories were used to each child and the order of presentation was counterbalanced among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all three groups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 LI task and the lowest performance in the GF task. Compared to their CA controls, the SLI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inferior performance in all three comprehension tasks. In comparison with the LA controls, the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TC and GF tasks, but no group differences in the LI task. In the results of intragroup analysis, the SLI group and the LA controls showed different abilities in all three tasks, but the CA control group showed a difference only between TC and GF tasks. Second, error type analysis of the comprehension tasks showed that all groups produced more ‘inference errors’ than any other error types. Overall, ‘inference errors’ and ‘question scope errors’ were shown more in SLI, LA controls, and CA controls, in order, while ‘understanding errors,’ ‘odd response,’ and ‘don’t know response’ were shown in reverse order.

      • KCI등재

        이야기 평가 방법으로서의 구문복잡성(MLC-w)의 특성

        윤혜련(Hea Ryun Yu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아동 대상의 이야기 다시말하기를 통한 구문복잡성(MLC-w) 평가의 결과가, 이야기 이해력, 구성력, 회생율 등의 평가결과와 비교하여 어떤 특성을 갖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생활연령이 6;9~8;11세인 초등 저학년(1학년~3학년) 정상발달아동 27명을 대상으로, 이야기의 주제와 내용에 있어서 이해난이도가 다른 두 가지 이야기를 들려주고 각각에 대해 이해과제와 회상하여 다시말하기를 실시하였다. 이해과제는 사실적인 정보 이해 과제와 텍스트 연결 추론 과제로 구성하여 아동의 응답에 대해 0~2점으로 채점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시말하기를 한 내용은 구문복잡성, 이야기 회상구성력 및 명제회상율의 정의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때 구문복잡성은 MLC-w로 산출하였다. 결과: 첫째, 이해난이도가 다른 두 이야기 간 이해력, 구성력 및 회상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MLC-w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이해난이도가 다른 두 이야기 간 이해력, 구성력 및 회상율은 매우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MLC-w에서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이해하기 어려운 이야기에 서는 이해력, 구성력, 회상율 그리고 MLC-w 모두 생활연령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쉬운 이야기에서는 회상율과 MLC-w에서만 생활연령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이야기 다시말하기를 통해 산출한 저학년 아동의 MLC-w는 연령에 따라 값이 증가 하는 발달지표로서의 가치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MLC-w는 그 이야기 자체에 대한 아동의 이해능력과 이야기 구성능력 및 회상율 등의 이야기 대형구조에 대한 표현능력을 반영하지는 못하 였다. 이에, 학령기 아동의 언어평가를 위한 보다 효율적인 평가방법과 이를 근거로 하는 임상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yntactic complexity analysis through “story-retelling”. Methods: Participants were twenty-seven 1st to 3rd grade norm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Two stories were used to each child, one was easy and the other was difficult in the content severity. The study procedure was to tell children one story, asked them to retell it, and to conduct the comprehension task. The analysis of story recall was conducted in three ways: (1) the recall construction, (2) the rate of proposition recall, and (3) the syntactic complexity with Mean Length of C-unit in word (MLC-w). Results: First, story comprehension abilities, recall construction, and rate of proposition recal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asier story(“Frog’s story”) than the more difficult story (“Tiger’s story”), but MLC-w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stories. Second, there we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stories in story comprehension abilities, recall construction, and rate of proposition recal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MLC-w. Third, chronological age was correlated with all factors (comprehension ability, recall construction, rate of proposition, and MLC-w) strongly in “Tiger’s story”, but there was different result in “Frog’s story”.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LC-w is reliable indicator of language development in the lower grade children. But, MLC-w does not reflect on the ability of story comprehension, recall construction and rate of proposition.

      • KCI등재

        담화유형에 따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사용 특성

        이현정(Hyun-jung Lee),김영태(Young-Tae Kim),윤혜련(Hea Ryun Yu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1

        배경 및 목적: 저학년은 종속절의 발달을 통해 구문발달이 일어나고, 다양한 목적을 위해 여러 가지 담화를 학습하고 사용하는연령이다. 따라서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가는 다양한 담화 안에서 양적․질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상과 학교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대화(conversation)와 설명 담화(expository discourses)에서 어떤 구문 복잡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담화 유형을 확대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3학년의 단순언어장애아동 12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1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12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대화를 실시한 후 설명 담화를 유도하였다. 결과: C-unit 당 평균낱말길이(MLC-w), C-unit 당 평균 절의 수(MNC), C-unit 당 관형절 사용률, 부사절 사용률이 대화보다설명담화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C-unit 당 평균 절의 수와 C-unit 당 명사절의 사용률은설명 담화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C-unit 당 구문오류율은 대화와 설명 모두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구문오류유형도 담화유형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논의및 결론: 구문사용은 담화유형과 집단에 따라 양적‧질적으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을 적절하게 평가‧중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담화 유형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subordinative development and they use various discourse for diverse purpose. Thus various discourse genres need to use in evaluating in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yntactic complex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Two types of discourses (conversational and expository discourses) were selected because these are frequently used types in school and daily routin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2nd and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LI (SLI group), 12 chronological age matched children (CA group); and 12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LA group). Each participant engaged in two types of discourse (conversation and expository discourse) because these are frequently used discourse types in school and daily routines. Results: Mean length of C-unit in word (MLC-w), Mean number of clauses per C-unit (MNC), the percentage of C-units containing relative clauses and adverbial clauses were higher in expository discourse than conversational discourse. MNC and nominal clauses in expository discourse were lower in SLI group than in the CA control group. The percentage of syntactic errors per C-unit (both in expository and conversational disco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LI group than CA and LA control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group and discourse genre effect in syntactic complexity. These results have clinical implications. that different discourse genres could be used in evaluating and correcting language problems in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LI

      • KCI등재

        낱말 친숙도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른 학령기 읽기장애 아동의 받침철자 인식 및 쓰기 특성

        최윤정(Youn-Jung Choi),김영태(Young Tae Kim),윤혜련(Hea Ryun Yun),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2

        배경 및 목적: 최근 아동 및 청소년들의 철자의 수행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철자 수행 수준을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검사가 부족하다. 또한 기반이 되는 철자 연구에서 철자 수행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낱말 친숙도가 고려되지 않아서 친숙도가 철자 수행에 있어서 어떤 영향력을 미칠지 검증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학령기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친숙도 정도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라서 철자법에 맞게 낱말을 쓰는 능력과 지각하는 능력의 수행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읽기장애 아동들의 받침철자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받침철자 평가 및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4~5학년 읽기장애 아동 20명과 성별, 학년, 및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친숙도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라 문맥 안에서의 받침철자 쓰기와 인식과제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집단을 집단 간 요인으로 과제유형과 친숙도/음운규칙을 집단 내 요인으로 하여 3요인 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 친숙도에 따른 받침철자 정반응률과 과제 유형에 따른 받침철자 정반응률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집단 내 변인에서는 과제유형과 친숙도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상호작용은 친숙도와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만 유의하였다.(2)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른 받침철자 정반응률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집단 내 변인에서도 음운규칙 적용 유무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호작용은 모든 요인들 사이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읽기장애 아동은 친숙도가 낮은 낱말과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낱말의 받침철자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받침철자법에서 음운처리 능력의 문제도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받침철자 능력을 평가하고 중재할 때, 친숙도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과, 중재 시에 한국어 음운규칙 및 철자 발달단계에 대한 내용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uracy depending on the type of tasks and word familiarity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compared to those in the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2)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uracy depending on the task type and the existence of phonological rules between the groups, and 3) to investigate the types of spelling errors in the spelling dictation and recognition tasks i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the control group. Methods: A total of 40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20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RD) and 20 ag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The children were fourth- and fifth-graders from the same elementary school. Dictation and recognition tasks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each consisting of 42 words. The words were divided into familiar and unfamiliar word group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honological rules such as liaison, aspiration, neutralizatio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nd consonant assimilation. A three-way mixed ANOVA was computed with the group as a between-subject factor and the type of task and word-familiarity as within-subject factors. Results: 1.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the children with RD showing significantly worse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TD group, with better performance shown with the familiar words compared to that of the unfamiliar word. 2.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group, showing that children with RD performed significantly worse than did the age-matched control children, with better performance shown for words with phonological rules compared to that of words with no phonological rules. 3. Both groups showed similar error patterns in the final consonants, including those of both phonetic and replacement errors. However, children with RD showed more frequent errors in the words with final consonant clusters and final consonant rules than did the age-matched control group. Discussion & Conclusions: Greater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hildren with RD compared to that of those in the TD group as a function of task type and phonological rules. The error types regarding the phonological rule were consistent in RD children, whereas they were not consistent in the age-matched contro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