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농 잡곡의 몇몇 기능성 물질 비교

        윤성탁,김태호,남중창,김태윤,김혜림,조성훈,이승우,이명철,김민정,김성민,Yoon, Seong-Tak,Kim, Tae-Ho,Nam, Jung-Chang,Kim, Tae-Yun,Kim, Hye-Rim,Jo, Sung-Hoon,Lee, Seung-Woo,Lee, Myung-Cheol,Kim, Min-Jeong,Kim, Seong-Mi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최근 잡곡은 웰빙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어 앞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잡곡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절실하지만 국내 조, 기장, 수수의 잡곡종자에 대한 기능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주식작물인 벼와 국내에서 유기농으로 재배 생산된 수종의 잡곡종자에 대한 지방산조성,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여 잡곡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1. 총 지방산 함량은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649% > 0.33% > 0.172% > 0.111%이었고, 불포화지방산 함량도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511% > 0.269% > 0.122% > 0.069%로 높았다. 2. 벼, 조, 기장 수수의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벼, 조, 기장에서는 안토시아닌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수수에서는 다량이 검출되었으며, 품종간에는 몽당수수에서 $137.5m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에서 $65.8m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3. 총 페놀 함량은 벼에서는 추청벼가 $13.70{\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안벼가 $10.07{\mu}g{\cdot}g^{-1}$로 가장 적었다. 조에서는 흰차조가 $25.8{\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강화조가 $22.3{\mu}g{\cdot}g^{-1}$으로 많았다. 기장의 경우는 벼룩기장이 $69.4{\mu}g{\cdot}g^{-1}$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검은기장이 $33.6{\mu}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수수는 찰수수가 $682.2{\mu}g{\cdot}g^{-1}$을 나타내어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가장 적은 품종은 재래찰수수로서 $237.9{\mu}g{\cdot}g^{-1}$을 나타내었다. 작물별 평균 총 페놀 함량을 보면 벼는 $12.25{\mu}g{\cdot}g^{-1}$, 조는 $16.95{\mu}g{\cdot}g^{-1}$, 기장은 $51.01{\mu}g{\cdot}g^{-1}$, 수수의 경우에서는 $447.4{\mu}g{\cdot}g^{-1}$을 나타내어 3작물의 총 페놀 함량은 수수가 평균 $447.4{\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양은 조의 평균치의 26.3배, 기장의 평균치에 대해서는 8.8배나 많은 함량이었다. 4. 벼, 조, 수수, 기장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효과는 벼에서는 추청벼가 3.6%로 가장 높았다. 조에서는 강화조가 4.78%로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올황차조가 0.08%로 가장 낮았다. 기장의 경우는 검은 기장이 13.4%로 특히 가장 높았다. 수수는 본 시험에 공시된 7품종의 범위가 88.47~90.11%로 품종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벼 3품종, 조 9품종, 기장 6품종, 수수 7품종의 평균항산화 활성을 보면 수수 > 기장 > 조 > 벼 순으로 각각 1.60% > 2.43% > 6.13% > 89.50%로 나타났다. 수수의 평균 항산화 활성은 조의 37배, 기장의 15배나 높았다. Miscellaneous grain crops has been appeared as a well-being food and the demand of them are increasing recently. It is urgent to study especially about the functional materials of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ion and comparison several functional materials of fatty acids, anthocyani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DPPH assay of rice, and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produced organically so tha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as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by using miscellaneous grain crops. Total content of fatty acids was in order of foxtail millet (0.649%) and common millet (0.33%), sorghum (0.172%) and rice (0.111%) respectively.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also in order of foxtail millet (0.511%) and common millet (0.269%), sorghum (0.122%) and rice (0.069%)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detec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rice, foxtail millet and common millet, sorghum showed high content of anthocyanin content. Sorghum of Mongdangsusu showed the highest anthocyanin content (137.5mg/g). In the total phenol content of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had high content ($13.70{\mu}g/g$) whereas Daeanbyeo was the lowest content ($10.07{\mu}g/g$). Foxtail millet of Hinchajo, common millet of Byeorukgijang and sorghum of Chalsusu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of $25.8{\mu}g/g$, $69.4{\mu}g/g$ and $682.2{\mu}g/g$ respectively. In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among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showed $12.25{\mu}g/g$, $16.95{\mu}g/g$, $51.01{\mu}g/g$ and $447.4{\mu}g/g$ of total phenol content respectively.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of sorghum was $26.3{\mu}g/g$. It is 36.3 and 26.3 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eds by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 for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foxtail millet of Ganghywajo and common millet of Geumeungijang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3.6%, 4.78% and 13.4%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ranged from 88.47 to 90.11%.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among four crop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sorghum (89.50%) and the next was common millet (6.13%), foxtail millet (2.43%), and rice (1.60%) in their order of antioxidant activity.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howed 55.9, 37.0 and 15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common millet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 KCI등재

        나이지리아의 농업개황(農業槪況)

        윤성탁,윤승길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0 No.1

        나이지리아는 농업생산조건(기후조건)이 좋으며, 또한 잠재가경지(potential arable land), 자연자원 및 인력자원이 풍부한 나라로서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밀도가 높고, 제한된 토지자원을 가진 나라에 있어서 금후 해외농업 진출시 해외농업생산기지 개발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같이 수출주도형인 국가에서는 결코 輕視할 수 없는 중요성을 가진 큰 시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비교적 농업생산기술이 낙후되어 있어 우리의 발전된 농업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농업적인 차원에서의 양국간 협력분야는 넓다고 보아 조사한 농업 개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나이지리아의 인구는 '96년 말 현재 1억 1천 5백만 명이 살고 있어 인구자원이 풍부한 나라이다. 농업기후조건은 열대수렴대(ITCZ)의 지배를 받으며, 나이지리아 최남부쪽은 3.500㎜, 최북단으로 올라갈수록 강우량은 적어져 500㎜이하가 되어 각양의 기후지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남부쪽은 우기가 9개월 북부는 4½개월로서 각종의 작물재배가 가능하다. 토양은 주로 4가지의 토양형태가 존재하며 비교적 척박하지 않아 관리만 잘 한다면 토양생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식량작물은 뿌리작물(얌, 카사바, 코코얌, 고구마)과 옥수수가 주로 남부 습윤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북부 강우량이 적고 일사량이 풍부한 지역에서는 옥수수, 기장 그리고 수수가 주로 재배되며, 이들 작물이 주요 주식작물로 되어 있다. 그 밖의 산업 및 환금작물은 목화, 사탕수수, 담배, Kenaf이며, 이들 환금작물은 나이지리아의 주요 무역품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 생산량이 미진하여 환금작물에 의한 국가수입은 지지부진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커피, 목화, 코코아, 고무 등은 전량을 외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을 미루어 볼 때 해외농업진출을 통한 대량생산으로 역수입을 할 수 있다면 농산물 수입에 의한 외화의 유출억제에 기여하리라고 생각된다. Nigeria has favorable climatic conditions, also large potential arable land, and man power resources for agriculture. Nigeria is, therefore, profitable not only for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but also for business market for a country that has high population density and restricted land resources such as Korea. As agricultural progress in Nigeria relatively lag behind and also they need our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ies, it is meeded that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in agriculture is promising. The reviewed agricultural status in Nigeria summarized are as follows. Nigeria has plentiful man power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of the population of 115 millions in 1996. Climate in Nigeria is affected mainly by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ITCZ) and there are various climatic zones. Rainfall of southernmost area has 3,500㎜, and it is reduced towards northernmost, area to 500㎜. Rainfall period in southernmost and northernmost area is 9 months and 4½ months respectively, therefore, various crops are adopted and cultivated There are four soil types and is not so infertile that the maintenance of soil productivity is possible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properly managed. Root crops such as yam, cassava, cocoyam, sweet potato and maize are cultivated mainly in the southern humid areas, and maize, millet and sorghum are cultivated chiefly in the northern areas where are small rainfall and plentiful insolation and they are major food crops in this country. Cotton, sugar cane, tobacco and kenaf are cash crops and they are major export crops in this country. But, production of these cash crop is not so much that export income from them is at a slow pace. Accordingly in view of the fact that our country is dependent on the import of almost all the amounts of coffee, cotton, cocoa and rubber, we could save foreign money if we could produce mass production in the foreign countries and reimport form the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