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섬유근육통 환자에서의 건성안

        장혜정 ( Hye Jung Jang ),안정명 ( Jung Myung An ),박종률 ( Jong Ryul Park ),이진호 ( Jin Ho Lee ),김산 ( San Kim ),악설정 ( Seol Jung Ak ),이지현 ( Ji Hyun Lee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5

        목적: 건성안은 눈물의 부족 및 눈물막의 과도한 증발로 눈의 불쾌감 및 자극증상을 일으키는 눈물막의 질환이다. 건성안이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막 궤양과 섬유화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섬유근육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병리 기전에 따른 건성안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환자군에서 건성안의 정도와 섬유근육통 증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 류마티스 내과를 방문한 환자 중에서 1990년 개정된 미국류마티스학회(ACR)의 진단기준에 의해 섬유근육통으로 진단받은 50명의 환자군을 선정하여 Korean Fibromyalgia Impact Questionnaire (KFIQ),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Schirmer test와 Tear Break Up Test (TBUT)를 시행하였다. KFIQ와 OSDI로 섬유근육통 증상과 건성안 증상 정도를 각각 평가하였다. Schirmer test와 TBUT로 눈물의 부족과 눈물막의 과도한 증발에 의한 건성안의 유병률을 각각 조사하였다. 그리고 OSDI, Shirmer test, TBUT, 나이, 유병기간이 KFIQ와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건성안의 유병률은 Schirmer test로는 12.0%, TBUT로는 92.0%였다. OSDI는 KFIQ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6). Schirmer test는 KFIQ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p=0.024), TBUT는 KFIQ와 통계학적 연관성이 없었다(p=0.493). 결론: 이 연구에서 건성안은 섬유근육통 환자에서 흔하게 나타났으며, 눈물의 부족보다는 눈물막의 과도한 증발에 의한 것이 더 많았다. 그리고 건성안 증상이 심할수록 섬유근육통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Dry eye is a disorder of the tear film caused by reduced tear production or excessive tear evaporation. A high incidence of sicca symptoms has been noted in fibromyalgia (FM) patients resulting in serious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cidence of dry eye by pathogenic mechanism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ry eye and symptom severity in FM patients. Methods: Fifty patients that visited Maryknoll Hospital between March 2006 and December 2006 were included in the study. Enrolled patients underwent a Korean fibromyalgia impact questionnaire (KFIQ),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Schirmer test and tear break up test (TBUT). The KFIQ and OSDI are used to assess the severity of fibromyalgia symptoms and dry eye symptoms, respectively. The Schirmer test and TBUT are used to assess reduced tear production and excessive tear evaporation, respectively. We assessed the OSDI, Schirmer test, TBUT, age and disease duration in terms of the KFIQ. Results: The incidence of dry eye was high in FM patients (12.0% by the Schirmer test and 92.0% by the TBUT test). The OSDI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KFIQ (p=0.006).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Schirmer test and the KFIQ (p=0.024), but not between the TBUT and the KFIQ. Conclusions: In this study, dry eye was found to be common in FM patients. Excessive tear evaporation was a more common cause of dry eye than reduced tear production. The patients with more severe dry eye symptoms tend to have more severe FM symptoms.(Korean J Med 73:519-524, 2007)

      • KCI등재

        신이식 후 이식신을 침범한 전신성 아밀로이드증의 1예

        황지연 ( Ji Yeon Hwang ),이동렬 ( Dong Ryeol Lee ),안정명 ( Jung Myung An ),김성준 ( Sung Jun Kim ),김동규 ( Dong Kyu Kim ),박민기 ( Min Gi Park ),박수호 ( Su Ho Park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0 No.6

        본 증례에서는 안정된 이식신장 기능을 가진 신장 이식수여자에서 우연히 발생한 단백뇨 검사로 이식신 아밀로이드증이 발견된 1예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Amyloidosis is characterized by the extracellular deposition of amyloid in various tissues and organs, particularly the kidney and heart. The estimated incidence of systemic amyloidosis is at least 8 per million population per year. However, few cases of systemic amyloidosis in renal allografts have been reported. A stable renal transplant recipient was admitted with proteinuria and dyspnea on exertion. The M-peak was found on serum and urine protein electrophoresis, and lambda (λ) dominance was confirmed by serum and urine free-light-chain test.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systemic amyloidosis of a renal allograft, by allograft biopsy, at 22 years after renal transplantation. We report a case of AL amyloidosis in a stable renal allograft and review the medical literature. (Korean J Med 2016;90:545-54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