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과 도시: 문자로 그려지는 도시

        심지영 ( Shim Ji-young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한글이 도시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한글이 국내의 도시 이미지와 도시 환경을 만드는 데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크리스탱의 문자기호학적 테제라 할 수 있는 `면에 대한 생각 pensee de l`ecran`을 기반으로 문자 자체의 의미와 형태를 논하기 전에 문자가 쓰이는 면을 분석하면서 도시 문자의 매체에 대해 고찰한다. 아울러 퐁타닐이 강조했던 `기입표면`의 개념을 중심으로 도시를 이루는 요소들이 기입을 위한 표면이 될 수 있는 조건들을 분석하였다. 한편, 안상수의 한글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글의 이미지적 고향을 보여주는 사례를 분석하면서, 여백과 기호가 이루는 조화가 가독성과 조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타이포그래피가 담고 있는 코노테이션을 밝히며 서울의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 타이포그래피의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글은 넓은 기입표면을 가질수록 가능성이 커지며, 설명적 담화를 최소화할수록 조형성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타이포그래피가 바탕 면과 조화를 이룰수록 한글 타이포그래피가 도시 환경을 위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what kind of role Hangeul is playing in establishing city image and unban environment, based on the question how Hangeul is living in the city. To do this, the study examines the media of city letters, analyzing the screens on which the letters are used, before dealing with the meanings and forms of the letters themselves, on the basis of `thought based on the screen`, Christin`s semiotic theme on letters. With thi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onditions that make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city `writing surface`, the concept asserted by Fontanille. On the other hand, based on Sangsu Ahn`s study on the typography of Hangeul, it deals with the cases that show the home of images of Hangeul and how the harmony of space and signs influences the readability and formativeness. Lastly,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s of city typography focusing on the cases of Seoul, examining the connotations typography contains. In conclusion, the wider writing surface Hangeul has, the more esthetic potential it has, and the less informative discussion Hangeul uses, the more formativeness it achieves. And also, the more harmonious the proper Hangeul typography is with the foundation space, the more positive role it can play for city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르네그르 에서 네그리튜드의 현대미술로: 프랑스 미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본 불어권 흑아프리카 미술의 정체성 문제

        심지영 ( Ji Young Shim )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09 불어문화권연구 Vol.19 No.-

        L`art africain, longtemps meprise et considere en France comme un trophee colonial conserve dans les musees ethnologiques et non dans les musees d`art, semble aujourd`hui renaitre dans le monde de l`art contemporain avec un nouveau dynamisme artistique dote de la revendication de son identite culturelle. Depuis 1989, l`annee qui a vu l`exposition du Centre Pompidou intitulee 《Magiciens de la Terre≫, passant par 《Africa Remix》du meme lieu en 2005, jusqu`aux premieres expositions du musee de quai Branly y compris l`exposition 《Bouche du Roi》en 2006, consacree a Romuald Hazoume, il nous semble que l`art africain contemporain commence a etre enfin reconnu et apprecie sur le plan francais dans l`art contemporain. Pourtant, meme si cet art voit la reconnaissance occidentale par son expression franche sur les problematiques de l`Afrique contemporaine, nous remarquons toujours que le marche de l`art africain n`est pas libere de l`empreinte du colonialisme: par exemple, en 2006 a Drouot, la vente posthume de la collection privee de Picasso d`objets traditionnels africains a battu le record mondial du marche de l`art africain. Ces anciens objets, ayant une valeur importante dans le marche sont tres recherches et apprecies avec un romantisme nostalgique pour l`epoque coloniale francaise. C`est pourquoi le pillage des objets de valeur continue dans le continent noir, ou les musees sont dessaisis de leurs plus belles pieces. En considerant la situation contradictoire de l`art africain en France, qui resulterait de la realite de rupture de la culture africaine entre tradition et contemporaneite, engendree par l`histoire de la colonisation, nous avons tente d`eclaircir d`abord comment l`art africain a ete recu en France, en partant de l`importation de l`《Art negre》 au debut du XXe siecle. Les artistes cubistes, notamment Vlaminck, Derain, Picasso, et Matisse, ont decouvert les masques traditionnels africains venus des pays colonises par la France, puis ils se preoccupent de la chasse au 《negre》 avant d`en representer les inspirations. L`analogie plastique entre les oeuvres picturales de ces artistes et les objets traditionnels africains demontrerait l`influence de l`art africain. Tout particulierement, Les Demoiselles d`Avignon, oeuvre de Picasso qui marque un tournant esthetique par son aspect plastique revolutionnaire, est consideree comme impregnee des influences que l`artiste a pu recevoir a travers la visite du musee d`ethnographie du Trocadero et la decouverte des objets traditionnels africains par l`intermediaire de Derain, bien que l`artiste lui-meme ait nie toutes ces references. Si l`art africain etait alors pour Picasso une reference plastique, il etait pour Vlaminck et pour Derain, dans leur processus createur, une ressource d`inspiration exotique de par ses aspects 《instinctifs》 et 《sauvages》. Malgre l`importance de son role, 《l`art negre》 des artistes cubistes de l`epoque, comprend ses limites, par rapport a la reception de l`art africain, dans la mesure ou le concept meme des termes 《primitivisme》 et 《art negre》 ne cachent pas leur connotation raciste derivee d`une vision colonialiste.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ce que represente Picasso dans le monde africain de l`art contemporain ne peut qu`etre problematique, comme nous l`avons examine a travers la polemique suscitee par Sandile Memela qui a constate que 《cette exposition nous revele que picasso ne serait jamais devenu l`artiste reconnu qu`il a ete s`il n`avait pas vole et adapte les oeuvres d`artistes africains anonymes》 lors de la premiere exposition personnelle de l`artiste dans le continent africain. Conscient de la position ambivalente de l`art africain notamment dans le milieu artistique francais, Cherie Samba a pose la question de l`avenir de cet art dans une serie de trois peintures, intitulee Quel avenir pour notre art. En tant que l`un des artistes africains les plus importants de l`art contemporain, Samba n`hesite pas d`exprimer les revendications claires et nettes en integrant l`ecriture d`un propos direct au sein de ses toiles. Par ailleurs, en s`inscrivant dans une nouvelle generation de l`art du continent noir, reconnue et revelee a travers l`exposition du Centre Pompidou en 1989, 《Magiciens de la Terre≫, Samba montre une identite culturelle africaine livrant un message souvent provocateur. Comme l`artiste n`est pas la seule a faire valoir une 《negritude》 dans le monde de l`art contemporain, nous avons examine brievement quelques artistes africains parmi les plus importants d`une telle representation. Les artistes comme Romuald Hazoume, Frederic Bruly Bouabre, et Samuel Fosso, expriment alors l`identite culturelle africaine d`une facon tres differente les uns par rapport aux autres. Ce nouveau dynamisme des artistes contemporains et ce desir d`exprimer leur revendication artistique devraient etre mis en valeur davantage et approfondis dans nos prochaines etudes, car nous croyons que c`est la ou pourra se trouver l`esprit de la negritude de l`Afrique francophone de l`ere post-coloniale.

      • KCI등재

        미술감상교육의 유추능력 증진 효과와 시각적 사고 전략(VTS)의 교과과정화 방안 연구

        심지영(Shim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미래 핵심역량의 필수요소인 유비적 추론능력(유추능력) 신장을 위한 융합적 교수법 연구의 일환으로서 주요 이론 및 실질적 사례에 근거하여 미술감상교육의 효과와 학교에서의 구체적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유비추론과 유추전이 과정 및 시각화의 과학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미적 지각과 체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수 방법으로서의 Broudy의 미적 정사(esthetic scanning), 그리고 Housen의 미적 발달단계를 포함한 VTS의 이론적 배경과 원리를 고찰한다. 실질적 사례로는 의학 분야에서 시행된 예일대학교 의과대학의 통합적 관찰력 및 유추력 향상과 미술감상교육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뇌의 활성화와 미술감상의 밀접한 연관성을 뇌영상기술(fMRI)로 입증한 사례 및 데페이즈망을 이용한 미술작품감상과 뇌의 활성화에 대한 뇌신경미학 선행 연구 사례를 고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분야적 연구를 통해 미술감상교육의 효과가 증명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현장 교수자들의 지도 방법과 이해의 부족 등으로 인해 이를 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뉴욕 현대미술관(MoMA)과 인지심리학자들이 고안한 시각적 사고 전략(Visual Thinking Strategy: VTS)의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VTS는 비교적 쉬운 형식과 방법에 비해 사고력과 유추능력 발달 효과는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밝혀졌고 국내외에서 그 원리가 도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VTS의 원리와 실천 사례 분석을 통해 교과과정화를 위한 개선점을 검토하여 미술감상교육을 현 학교의 상황에 맞추어 사고력 발달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on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as a future competency based on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First, this study examines major preceding researches in medicine and cerebral neuroesthetics to present practical and scientific grounds of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that stimulates power of observation and brain working memory, an integral factor of analogical reasoning. Next, considering teachers difficulties to actively apply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schools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nd principle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Visual Thinking Strategy(VTS) contriv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MoMA in New York and cognitive psychologists, as a effective method. With an analysis of a good example of VTS approach, this study conclusively looks for improvement aspects of VTS as well to be applied in school curricula in order to efficiently and creatively strengthen future core competencies of learners.

      • KCI등재

        비주얼 컬처를 위한 기호학 방법론 고찰 -포스트모던 예술과 시각기호학

        심지영 ( Ji Young Shim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현대 비주얼 컬처의 고정 이미지를 분석함에 있어서 기호학이 적절한 방법론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며, ‘시각기호학’이라고 불리는 여러 분석 이론들의 한계와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시각기호학에 대한 대표적인 텍스트라 할 수 있는 롤랑 바르트의 광고 이미지 분석방법론과 미술사적 분석에서 가장 대표적인 에르빈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는데, 이 두 방법에서는 공통적으로 이미지에 비해 언어에 우위를 두는 로고스중심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방적인 재현이 이미지의 본질이라 생각하는 이와 같은 전통에 대해, 안느-마리 크리스탱은 이미지가 무엇을 재현하는지(형태)를 먼저 보기보다는 이미지가 어디에 표현되었는지(바탕)를 먼저 보는 ‘면’에 대한 사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고흐의 구두 그림에 대해 하이데거와 샤피로가 벌인 논쟁에서 데리다가 취한 입장과 궤를 같이한다. 이렇듯, 대부분의 전통적인 이미지에 대한 담론들은 도상성과 조형성의 대결 구도에서 늘 도상성에 우위를 두었는데, 이는 그레마스 학파의 장-마리 플로슈가 칸딘스키의 비구상적 회화를 분석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이와 같은 시각기호학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 그룹 뮤(Group μ)의 시도였으며, 이미지의 수사학을 정립하기 위해 조형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미지의 의미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살펴본 오늘날의 포스트모던 이미지들의 경우, 여전히 기호학은 분석의 방법론으로서 충분한 해답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두 가지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기존의 방법론들이 적극적으로 포괄하지 못하는 영역은 전통적인 기호학의 개념에서 메시지의 발신자와 관련이 있는 ‘포이에틱’(작품의 창작 원리에 대한 연구)의 영역과 수신자와 관련이 있는 수용자의 사회 문화적 조건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포스트모던 기호학의 수용자와 관련한 부분에서는 마크 같디너의 사회학적 기호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였는데, 포스트모던 이미지에 대한 분석이 단순히 텍스트의 내적인 분석이나 재현 형태에 대한 분석으로 끝나서는 안 되며, 의미는 시니피앙의 자유로운 놀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호와 기호 사용자간의 관계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on the question of whether semiotics is appropriate as a method of analysing still images of contemporary culture, the limits and the possibility of visual semiotics. We firstly looked into the logocentrism of Barthesian thinking about the image (for example, the text on the advertising Panzani) and iconology of Panofsky. The tradition of mimetic representation based on the metaphysics of presence, which is found in the theories of Barthes and Panofsky, was criticized by the thought of the screen, a concept proposed by Christin, as did Derrida during the controversy over Gogh`s painting.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iconicity and plasticity, it was always the former who won even in the analysis of Floch from Greimasian school on non-figurative painting of Kandinsky. This more or less deficient visual semiotics was complemented by the attempt of the Group μ that seeks to develop rhetoric of image, with more elaborate theory of a plastic point of view. Despite the diverse semiotic proposal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images, we have met the challenge of adapting semiotics to the examples of postmodern art: the insufficiency of this methodology comes from the lack of the study on the process of creation (sender side) or o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reception (receiver side). In other words, the elements outside of traditional semiotics such as the ``poietique`` and social semiotics proposed by Gottdiener might be more crucial for reading postmodern images.

      • 프랑스어 교과서를 통해 본 세네갈의 문학교육

        심지영 ( Shim Ji-you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1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

        Dans cet article, nous avons essayé d'analyser les obstacles et les problèmes de l'éducation sénégalaise dans les disciplines de la langue franaçaise et de la littérature de l'expression française, à travers l'examen des programmes que proposent les manuels scolaires sénégalais. L'étude de l'enseignement du français dans l'éducation nationale sénégalaise présuppose des connaissances concernant la situation linguistique générale dans la société et dans le domaine de l'éducation du pays qui a été longtemps influencé par la politique d'assimilation culturelle et linguistique de la France colonisatrice. Nous avons ainsi relevé la particularité de la place qu'occupe l'enseignement du français au Sénégal : dans un pays multilingue, le français est l'unique langue officielle, celle qui est employée dans l'administration et dans l'enseignement formel. Etant donné que l'accès à l'éducation publique est forcément lié à l'apprentissage du français comme langue étrangère, les difficultés des élèves qui arrivent à l'école possédant les structures linguistiques d'une autre langue (parmi plusieurs langues nationales) sont facilement compréhensibles, notamment par des fautes d'interférence. Considérant cette situation difficile, nous avons ensuite examiné les manuels scolaires du français, où le français qui ne s'utlise guère dans la vie quotidienne sénégalaise, s'apprend à travers les dialogues du quotidien ; le fait que pratiquement aucun enfant sénégalais n'a le français comme langue maternelle n'est pas pris en compte dans les manuels. La situation difficile de l'éducation nationale sénégalaise qui vacille entre l'enseignement d'une langue unificatrice, et celui de l'identité culturelle traditionnelle exprimée par les langues nationales a été examinée par la revue des programmes de l'éducation littéraire de l'expression française proposé pour les élèves du cycle moyen. En guise de la conclusion, nous avons constaté la nécessité d'instituer une autre politique qui puisse prendre en compte la demande des sénégalais en matière de l'éducation linguistique.

      • KCI등재후보

        교과서를 통해 본 세네갈의 프랑스어 교육 문제

        심지영 ( Ji Young Shim )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1 불어문화권연구 Vol.21 No.-

        Dans cet articLe, nous avons essaye d`analyser Les obstacLes et Les probLemes de L`education senegaLaise dans Les disciplines de La Langue franacaise et de La Litterature de L`expression francaise a travers L`examen des programmes que proposent Les manuels scoLaires senegaLais. L`etude de L`enseignement du francais dans L`education nationaLe senegaLaise presuppose des connaissances concernant La situation linguistique generaLe dans La societe et dans Le domaine de L`education du pays qui a ete Longtemps influence par La politique d`assimiLation culturelLe et Linguistique de La France colonisatrice. Nous avons ainsi reLeve La particuLarite de La pLace qu`occupe L`enseignement du francais au Senegal : dans un pays multilingue, Le francais est L`unique Langue officielLe, celLe qui est employee dans L`administration et dans L`enseignement formel. Etant donne que L`acces a L`education publique est forcement Lie a L`apprentissage du francais comme Langue etrangere, Les difficultes des eLeves qui arrivent a L`ecoLe possedant Les structures linguistiques d`une autre Langue (parmi plusieurs Langues nationaLes) sont faciLement comprehensibLes, notamment par des fautes d`interference. Considerant cette situation difficiLe, nous avons ensuite examine Les manuels scoLaires du francais, o? Le francais qui ne s`utlise guere dans La vie quotidienne senegaLaise, s`apprend a travers Les dialogues du quotidien ; Le fait que pratiquement aucun enfant senegaLais n`a Le francais comme Langue maternelLe n`est pas pris en compte dans Les manuels. La situation difficiLe de L`education nationaLe senegaLaise qui vacilLe entre L`enseignement d`une Langue unificatrice, et celui de L`identite culturelLe traditionnelLe exprimee par Les Langues nationaLes a ete examinee par La revue des programmes de L`education litteraire de L`expression francaise proposes pour Les eLeves du cycLe moyen. En guise de La conclusion, nous avons constate La necessite d`instituer une autre politique qui puisse prendre en compte La demande des senegaLais en matiere du multilinguisme et integrer La richesse des Langues nationaLes dans Le programme de L`education nationaLe senegaLaise.

      • KCI등재후보

        프레데릭 브륄리 부아브레: 아프리카 베테 문자의 발명과 역사 그러기(1)

        심지영 ( Ji Young Shim )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0 불어문화권연구 Vol.20 No.-

        Inventeur d`une ecriture specifiquement africaine, notamment celle de l`ethnie Bete de la Cote d`Ivoire, auteur d`une religion qui sera baptisee ≪l`Ordre des Persecutes≫ par revelation, Frederic Bruly Bouabre est un personnage enigmatique a multiples facettes, qui est aujourd`hui renomme sur le plan international par son invention de l`ecriture hieroglyphique et par ses oeuvres picturales singulieres. En y associant les signes scripturaux et picturaux, les oeuvres de Bruly Bouabre se presentent tantot comme une encyclopedie illustree, tantot comme une histoire mythique dessinee de son ethnie, du monde voire de sa vie. L`ordre de ses inventions ainsi suivant celui de la creation d`une `civilisation` a la maniere de l`Occident, sa creation artistique pourrait etre interpretee comme un univ-ers redecouvert par ses propres signes dotes de l`identite culturelle traditionnelle, ou l`artiste-prophete restaure la memoire collective en ecrivant et dessinant ses histoires et celles de son peuple. Nous avons pourtant remarque que les oeuvres de Boua-bre se voient reapproprier du regard porte par les artistes occidentaux du debut du XXe siecle sur `l` art negre` comme Picasso, dans la mesure ou ses creations ne manq-uent pas de montrer l`empreinte de l`aura primitive. Une sorte de reappropriation de l`orientalisme, la quete de l`ecriture hieroglyphique et ≪La fetichisme de la lettre≫, si nous reprenons l`expression de Jean-Loup Amselle, apparai-ssent d`une maniere evidente dans les oeuvres de Bouabre ainsi que dans les creations de nombreux artistes africains contemporains. Le souci d`elaborer les ecritures proprement africaines se presente chez les artistes africains ainsi sous forme de la creation des signes pictographiques a la fois scripturaux et picturaux, non sans touches du primitivisme. Ce reve d`ecritures, souvent hieroglyphiques, que nous remarquons a travers le cas de Bouabre, refletent la realite complexe de l`Afrique francophone postcoloniale qui est a l`entredeux langues et l`effort de l`artiste pour renouveler l`image du continent `sans ecriture` image faussement jugee par les occidentaux appuyes sur la culture de l`alphabet latin phonographique.

      • KCI등재

        시각예술을 이용한 교육 -프랑스의 교육자료 TDC지에 나타난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 연구

        심지영 ( Ji-young Shim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이미지를 통한 교육 방식에 있어서, 프랑스의 국립교육자료원의 교사를 위한 잡지 TDC(『수업을 위한 텍스트와 도큐먼트』 : Textes et Documents pour la Classe)가 시각예술 작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교과 교육 방식을 제안하는 전략에 주목하여,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DC가 시각예술 작품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식은, 이미지가 다른 텍스트와 어떤 관계에 놓이느냐에 달려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는 기호학의 주된 연구 분야 중 하나로서, ``텍스트``와 ``이미지``라는 개념이 갖고 있는 중의적 성격으로 인해 다양한 담론이 생산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퍼스나 바르트를 비롯하여 베르나르 부이유, 알랭 몽탕동 등 여러 연구자들이 텍스트와 이미지의 기호학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이러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우리는 이미지가 텍스트에 대해 기능할 수 있는 여러 측면을 고려하여 프랑스의 TDC 잡지에 나타난 예술 작품의 활용방식을 네 가지로 분류해 보고자 한다. 우선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식으로, 설명적 기능을 하는 이미지이다. 역사책에 등장하는 삽화가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는데, 특히 예증의 기능을 하는 사진 작품이 자주 등장한다. 두 번째로는 서양의 에크프라시스 전통을 연상시키는 이미지의 기능이라할 수 있는, 묘사의 대상으로서 이미지이다. 국어 교과나 예술 교과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예술 작품은 늘 언어적 묘사와 표현의 대상이 된다. 국내 교육 자료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관찰력과 표현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 방식이다. 두 방식은 모두 이미지-텍스트 관계가 유사하나, 어떤 요소가 선행되는가에 차이가 있다. 세번째 이미지의 기능은, 상상력의 원천으로서 이미지이다. 이미지를 보고 직접적인 묘사나 설명의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고, 시를 쓰거나 작품이 말하게 하는 등 우회적인 관계에 있는 텍스트를 써 보는 방식으로 그림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이미지는 텍스트와 관계를 맺지 않으며 조형적 창작의 결과물로 활용되는 경우가 있다. 즉, 주어진 작품과 같은 원리로 작품을 만들어 보는 방식이다. 미술사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내러티브가 들어있는 서양의 전통 회화는 문학이나 역사 등 다른 교과와 관련 맺기에 유리한 배경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실험의 현대 예술작품이 창작되고 있는 오늘날, 국내의 박물관/미술관의 교육 자료를 살펴보면 이런 시각 예술 콘텐츠를 창의적인 교육방식으로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미술은 미술 교육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처럼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점이다. 발전된 ICT기술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나 시청각을 모두 활용하는 디지털 교육콘텐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의 경우도 이미지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자료들이 만들어져야 하며 특히 시각예술 작품을 충분히 활용하여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교육법이 계속적으로 고안되어야 한다. This paper, dedicated to the study of the ways of using images in the TDC journal, wants to show the multidisciplinary aspects of the French nation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art works. The TDC journal (Texts and Documents for the class), which aims at the teachers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s presented as a particular example of the possible extension of the use of artistic images to other disciplines, such as literature, history or science. To understand the ways of using images in the TDC, a few issues of the journal were reviewed and analyzed. We then tried to establish the types of images`` roles, considering their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text, as the combination of artistic subject to other disciplines inevitably requires understand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relations between text and picture. Four types of using images that can be found in the TDC journal, are then defined: explanatory and illustrative images, images as sources of descriptive writing - as seen in the traditional western practice of ekphrasis. images as sources of imagination and images as a model of another artistic creation. The first type of images, explanatory and illustrative, related to the traditional role of illustration, can replace or illustrate the text. But what interested us more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of the language, is the second type of images, the image as sources of descriptive writing. Just as all pictorial works require formal and iconic analysis before being commented, art works have been first used in the mastery of language such as vocabulary development and writing a descriptive text. As for the images as sources of imagination, an art work can inspire students by making dialogues with the creator and a poetic title for example. Finally, an artwork can be a model of another artistic creation. That is, after understanding creative process, students can make their own artworks in the same way. We then noticed that the expanded use of images come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art, which has a long tradition of narrative painting, and of the particular connection between painting and literature. Finally, we find that, as the example of the TDC, the art works can be an ideal way to link different disciplines and produce multidisciplinary education which is still missing in Korea. We hope to see the next research in Korea on the possibility to adapt art works in various disciplines.

      • KCI등재

        액션페인팅의 학습 내적동기 유발 기능을 적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효과 탐색

        심지영(Ji-Young, Sh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학습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내적재미(intrinsic interest) 강화를 위한 미술교육프로그램 연구의 일환으로서 액션페인팅의 교육적 기능과 효과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교과과정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액션페인팅은 치유적 기능과 함께 신체활용과 드리핑 방식으로 드러내는 조형놀이의 유희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행위가 만들어내는 시각적 결과물의 우연적이고즉흥적인 측면은 상상력과 창조성 계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결성 이론에 기초하여 액션페인팅의 자율적·자발적·유희적 측면과 전면회화방식을 활용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액션페인팅 수업의 내적동기(자결성) 상승 효과를 탐색하였다. 액션페인팅은 자율성이 강조되는 특성 때문에 학교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방임적 현상과 안정상의 문제, 수업운용의 통제·관리의 균형 등이 중요하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적용을 감안하여 개방과 통제의 균형을 갖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대두되는 메이커 교육 학습모형 중 TMSI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개인적 차원에서는 자율성과 자신감 충족에 의한 내적동기 상승, 사회적 차원에서는 소속감과 유대감 충족에서 오는 관계성 부분에서 액션페인팅 수업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확장된 미술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교과과정에 필요한 행정적 뒷받침과 교사의 노력과 역할을 제언하였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demonstrate the educational impact and function of Action Painting with an applicable teaching method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and experiment art education program for school curriculum. First, I discuss the therapeutic and amusing aspects of Action Painting involving typically the free and dripping, dribbling, or throwing paint on canvas in relation to theory of spontaneity, which sets out the possibility of Action Painting classroom for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growth empowering intrinsic interest of learner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y of spontaneity,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Action Painting with TMSI teaching model, which i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of Maker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balance of control and openness of classroom. The result exhibits the positive effect of TMSI-based Action Painting classroom on both personal and social level of learners. With the result, this study conclusively proposes the administrative and economic improvement and teachers’ roles as well to be applied in school curricula to efficiently examine Action Painting classroom for strengthening future competencies of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