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천연기념물 매(Falco peregrinus)의 번식생태에 관한 연구

        백충렬(Chung-Ryul Baek),오수길(Su-Gil Oh),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2004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약 3년간 우리나라 서해 무인도서 및 공주대학교 조류사육장에서 사육을 통한 매(Falco peregrinus)의 관찰치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매는 산란기, 포란기 및 육추기가 약 85-90일이 소모되는 번식생활사를 갖는다. 둥지는 일반적으로 해안가 바위 절벽의 오목한 곳으로 비에 젖지 않는 곳을 선호한다. 둥지 장소의 높이는 해발 105.05±19.50m (n=10)이었으며, 부화율은 91.67±14.43%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소율은 77.78±19.25%로 나타났다. 알의 크기는 장경이 4.91±0.25㎝, 단경이 4.05±0.17㎝이고 무게는 45.90±2.08g이었으며, 형태지수는 82.35±2.28으로 타원형이었다. 새끼의 성장 중에서 부리와 부척은 성장 기간 중에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으며, 깃털의 영향을 받는 전장, 꼬리, 날개는 깃털이 자라는 15-20일 사이에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We conducted the breeding ecology of the Peregrine Falcon at Western Sea of Korea and the aviary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from March 2004 to February 2007. Peregrine Falcon have 85-90 days life-cycle including nesting to fledgling period. The height of nests were 105.05±19.50m (n=10) above the sea level. The hatching rate was 91.67±14.43% and fledgling rate was 77.78±19.25%. The eggs size were 4.91±0.25㎝ in major axis, 4.05±0.71㎝ in minor axis and 45.90±2.08g on weight. The egg shape was oval close to circle as a shape index, 82.35±2.28. Comparing 3 day chicks from hatching date with fledgling, the length of bill and tarsus of chicks was not different between 15-20 day from hatching date. But, total, tail and wing length were different between 15-20 day from hatching date.

      • KCI등재후보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의 번식생태와 서로 다른 두 서식지에서의 번식성공률 차이

        백충렬(Chung-Ryul Baek),이진희(Jin-Hee Yi),염광석(Kwang-Suk Yeom),노선호(Sun-Ho No),이상덕(Sang-Duk Lee),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2009년 3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공주대학교 교내·지역과 계룡산국립공원에서 번식하는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오목눈이의 둥지는 이끼류와 거미줄을 이용하여 길쭉한 타원형의 호리병 모양으로 만들며, 둥지의 크기는 장경이 223.49±16.52mm, 단경이 96.45±11.98mm, 깊이가 109.46±9.54mm였다. 오목눈이의 한배산란수는 8.63±1.21개이며, 부화율은 95.73%, 이소율은 75.79% 그리고 번식성공률은 72.56%로 나타났다(Mann-whitney Utest P<0.05). 알의 크기는 장경이 14.50±0.93mm, 단경이 11.20±0.37mm, 무게가 1.23±0.18g 이였으며, 알의 형태지수는 78.45±1.25%로 타원형에 가까웠다. 포란기간은 16.89±1.29일이며, 육추기간은 16.24±1.25일 이였다. 오목눈이 유조의 성장은 완만한 S자형 곡선을 이루었다. 부리와 부척에 관한 성장에서 비교적 고른 성장을 보였고, 깃털의 영향을 받는 전장, 꼬리, 날개는 초기 이후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공주대학교 교내·지역과 계룡산국립공원에서의 번식성공률은 각각 80.80%와 60.00%(Mann-whitney U test P<0.05)로 나타났으며, 오목눈이의 번식성공률은 서식지의 조건(먹이자원 등)보다 천적의 밀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We surveyed about breeding ecology of Long-tailed Tit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Gye-ryong Mountain from March 2009 to October 2010. Long-tailed Tit Aegithalos caudatus spent about 59-66 days on nesting, laying, incubating and fledging. Its nest was made of the moss type and the spider web and its shape was like a longish elliptical calabash. It had 223.49±16.52mm in outside diameter of nest, 96.45±11.98mm in inner diameter and 109.46±9.54mm of thickness. The number of the clutch size was 8.25±1.14 and hatching success was 95.73%, fledging success was 75.79%, breeding success was 72.56% (Mann-whitney U test P<0.05). The eggs were 14.50 ±0.93mm of length, 11.20±0.37mm of width, 0.90±0.44g of mass and 78.45±1.25% of shape index. The mean incubation period was 16±1.23days and parental care period was 15.75±1.14 days. The growth of the chicks was gentle S curve drew. The growth of the bill and tarsus was relatively shown gentle growth, and the total length, the length of tails and wings which are influenced by feathers were grown rapidly. I guess that its breeding success rate was more affected by the habitat density of the natural enemy than the condition of the habitat density (food resources etc.)

      • KCI등재후보

        수위변동에 따른 오리류의 서식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백충렬(Chung-Ryul Baek),이진희(Jin-Hee Yi),오태훈(Tae-Hoon Oh),염광석(Kwang-Suk Yeom),한일훈(Il-Hoon Han),정진우(Jin-Woo Jung),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2007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 6개월 동안 충남 공주시를 가로지르는 금강에 위치한 소학섬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는 수면성 오리류(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흰뺨 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원앙 Aix galericulata, 쇠오리 Anas crecca)와 잠수성 오리류(흰죽지 Aythya ferina, 댕기흰죽지 Aythya fuligula, 흰뺨오리 Bucephala clangula, 비오리 Mergus merganser)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7년 조사지역의 평균수위는 장마와 태풍 등에 의한 급격한 수위변동을 제외하면 1m 이하로 나타났으며, 2008년 6월 이전까지도 평균수위는 1m 이하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2008년 6월 돌보를 쌓은 이후로는 평균수위가 약 3m 정도로 높아졌다. 돌보를 쌓기 이전인 2007년 11월의 겨울철 수면성 오리류는 최대 2,059개체였으나 돌보가 완성된 2008년 11월에는 585개체로 개체수가 약 1/4(25%) 감소하였으며, 12월에는 420개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2008년 동계에 실시된 공주지역의 수렵허가 등의 원인도 있으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높아진 수위라 판단된다. 예비조사 기간인 2006년과 2007년 동절기에 월동하는 수면성 오리류의 총 개체수에는 거의 변동이 없었으나, 2008년 돌보를 쌓은 후에는 동절기에 도래하는 수면성 오리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돌보를 쌓음으로써 높아진 수위가 소학섬 인근의 많은 사구들을 유실시켰고, 또한 수면성 오리류가 휴식을 취하는 강변의 둔치 역시 높아진 수위로 인하여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하여 깊은 수심을 선호하는 잠수성 오리류 및 일부 기타 조류들은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o-hak Island in Gong-ju from September 2007 to February 2009. This area is surrounded by Gum-river passing through Gong-ju. We can expect the change of wintering bird's distribution because of a dam constructed underneath of the Gong-ju bridge. We studied the number of dabbling ducks such as mallard (Anas platyrhynchos),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and mandarin duck (Aix galericulata). When we check the water level in 2007, it was under 1m deep expect the rainy season and typhonic season. And the average of water level has been maintained lower than 1m until june 2008. However the depth of river became 3m deep in June 2008 after the dam construction. In November 2007, when the dam was not constructed yet, we found 2,059 dabbling ducks. After constructing the dam, the number of ducks were deceased by 75% (585) in November 2008. It can be affected by many different factors, but the main reason is the risen water level. There were little individuals changes in wintering dabbling ducks during 2006 and 2007. After dam construction, we have found rapid decrease of the number of wintering dabbling ducks since 2008. Because the risen river level has destroyed sand dunes around So-hak island and it also has destroyed the water edges where many ducks can take a rest. Contrastively, diving ducks have increased because they prefer deep river.

      • 한국에서 서식하는 소쩍새(Otus sunia stictonotus)의 번식생태 및 둥지특성에 관한 연구

        노선호 ( Sun Ho No ),백충렬 ( Chung Ryul Baek ),이형석 ( Hyeong Seok Lee ),조삼래 ( Sam Rae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본 연구는 2011년 3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한국에서 서식하는 소쩍새(Otus sunia stictonotus)를 대상으로 둥지특성에 따른 번식생태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쩍새는 느티나무(Zelkova serrata, 4그루),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3그루), 팽나무(Celtis sinensis, 1그루), 왕버들(Salix chaenomeloides, 1그루), 수양버들(Salix babylonica, 1그루),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1그루),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1그루), 양버즘 나무(Platanus occidentalis, 1그루)의 딱다구리류 둥지 (woodpecker``s nest hole, 46. 1%),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natural tree hole, 38. 5%), 인공둥지(artificial wood box, 15. 4%)에 둥지를 틀었다. 수고(H)는 10~16. 3m, 흉고직경(DBH)은 0. 2~1. 2m였다. 특히, 인공둥지를 달아놓은 경우에는 수고와 흉고직경이 상대적으로 낮은 나무 (10. 0m<H<10. 7m, 0. 2m<DBH<0. 4m)에서도 번식하였다. 나무의 상태는 죽은 가지가 달린 살아있는 나무(69. 2%)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줄기와 가지가 모두 살아있는 나무(23. 1%), 고사목(7. 7%) 순 이였다. 그리고 둥지구멍은 죽은 가지가 달린 살아있는 나무의 줄기(54. 5%)와 가지(45. 5%) 부위에 주로 위치하였다. 소쩍새의 부화율은 91. 4%, 이소율은 83. 0%, 번식성공률은 75. 9%였다. 번식실패요인은 미부화(unhatched, 7. 1%), 둥지포기(abandon, 28. 6%), 추락사(falling, 57. 1%) 그리고 사망의 원인을 특정지을 수 없는 경우(etc. , 7. 1%)가 있었다. 둥지유형별로는 딱다구리류 둥지는 새끼의 추락사로 인하여 이소율(69. 2%)이 낮았으며,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은 둥지포기와 미부화로 인하여 부화율(79. 2%)이 낮았다. 한편, 인공둥지에서는 모든 개체가 부화와 이소에 성공하여 부화율, 이소율, 번식성공률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인공둥지는 2개를 대상으로 연구되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할 수는 없지만, 자연둥지의 단점을 보완하고 번식성공률을 높일 수있는 장점 들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인공둥지가 번식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설치 장소, 높이, 형태, 크기, 구멍의 크기에 따른 장기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월악산에서의 물까치 Cyanopica cyana의 번식생태 및 개체군 변동에 관한 연구

        오태훈(Tae-Hoon Oh),백충렬(Chung-Ryul Baek),이진희(Jin-Hee Yi),정진우(Jin-Woo Jung),염광석(Kang-Suk Youm),조현준(Hyun-Jun Cho),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2005년 3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월악산(충북 제천시 한수면 덕주골 계곡)에 분포하는 물까치의 둥지 장소 선택, 개체수 변동, 성장률, 먹이 종류 등 번식생태 및 개체군 변동에 영향을 주는 방해 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관찰된 개체수는 2005년 104개체, 2006년 63개체, 2007년 107개체, 2008년 142개체, 2009년 205개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소목은 특정수종을 선호하지 않고, 서식하는 지역의 식생을 이용하였다. 영소목의 수고는 12.79±1.98m이었고 참나무류를 주로 이용하였으며, 영소목에서의 둥지의 높이는 3.91±0.56m이었다. 둥지와 계곡과의 거리는 20.90±12.17m였고, 과수원과의 거리는 41.83±11.74m이었다. 둥지 재료는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등 주변의 작은 나뭇가지를 이용하였다. 번식시기는 4월 중순∼6월 초순경이며 한배산란수는 6.9±1.06개, 포란기간은 17.90±1.30일, 그리고 비동시 부화일수는 1.86±0.78일로 나타났다. 먹이는 양서류 및 파충류 그리고 곤충 등 동물성과 연한 식물 및 견과류 등을 먹는 잡식성으로 나타났다. 번식 실패의 주요인은 날씨와 먹이로 나타났다. 부화성공률은 90.82%, 이소성공률은 88.30%, 번식성공률 80.19%로 다른 까마귀과 조류에 비해 높았다. 물까치는 잡식성이며, 무리생활을 하여 포식자에 대한 위협에 대처하고 있으며, 최근 천적 및 경쟁종이 감소하고 있어 연구대상 지역 일대에서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have researched population change, preference of nest tree and breeding ecology-growth rates, food materials, factors of disturbance-of Azure-winged Magpie’s Cyanopica cyana at Deok-ju valley, Worak Mountain, Chungcheongbuk-do, Korea from March, 2005 to October, 2009. There were mountain streams, grasses, bushes and fruit trees which supply food to Azure-winged magpie. With these good environments, the number of Azure-winged magpie gradually increased 104 individuals in 2005, 63 individuals in 2006, 107 individuals in 2007, 142 individuals in 2008 and 205 individuals in 2009. Azure-winged magpie made their nest in the Oak Community. This result suggested that Azure-winged magpie don't use specific trees. The height of nest tree was 12.79±1.98m. And the nest was positioned 3.91±0.56m from ground. The distance from nest to mountain stream was 20.90±12.17m and nest to orchard was 41.83±11.74m. The clutch size of Azure-winged magpie was 6.9±1.06. They lays its eggs during April to early of June and incubated for 17.90±1.30 days. The food materials was animals which includes insects, larva, amphibians, reptiles and plant materials like fruits and berries, etc. The hatching rate of Azure-winged magpie was 90.82%, fledgling rate was 88.30% and the rate of breeding success was 80.19%. The population of Azure-winged magpies are increasing because of the number of enemies are decreasing. And they defend enemy with another members of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의 참매 Accipiter gentilis 번식생태 연구

        이진희(Jin-Hee Yi),백충렬(Chung-Ryul Baek),정진우(Jin-Woo Jung),염광석(Kang-Seok Youm),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2007년 4월 초부터 2009년 8월 초까지 충북 충주시 일대에서 번식이 확인된 멸종위기종인 참매 Accipiter gentilis의 번식 생태에 대해 연구하였다. 참매의 포란기간은 38.3±1.66일이었다. 참매의 한배 산란수는 총 9개의 둥지에서 3.1±0.78개 였으며, 총 28개의 알의 크기는 장경이 53.3±1.61㎜, 단경이 40.8±0.96㎜, 무게는 43.7±1.60㎜로 나타났다. 알의 색깔은 엷은 청색을 지니고 있었다. 부화율은 28개의 알 중에서 26개가 부화하여 92.9% 로 나타났으며, 이소율은 부화한 새끼 26마리가 모두 이소에 성공하여 100% 로 나타났다. 포란 기간과 육추 기간 중 참매의 암컷은 둥지를 거의 이탈하지 않고 포란과 육추에 집중하였으며 수컷은 암컷이 먹이를 섭취하고 있는 동안만 잠시 포란을 할 뿐 대부분 먹이를 사냥해 둥지 인근에서 암컷에게 전달하는 역할만 하였다. 육추기간 중 시기별 먹이를 볼 때 전체적으로 새끼에게 공급하는 먹이는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였으나, 4주 이후 청설모 Sciurus vulgaris와 다람쥐 Tamias sibiricus의 양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urvey is on the breeding ecology of Goshawk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inhabiting in Eomjeong-myeon, Chungju-si, Chungcheongbuk-do from April 2007 to August 2009. Laid of eggs starts incubation period 38.3±1.66 days. Total number of eggs laid 28, and 3.1±0.78 in clutch size. The eggs had 53.3±1.61 ㎜ of length, 4.08±0.96 ㎜ of width, and 43.7±1.60g of weight. The color of the egg was light blue. Hatching success rate among 28 eggs was 92.9% (26 eggs), and fledgling success rate was 100% (26 birds). During the breeding period, the female barely left but concentrates on her mission and the male hunts a variety of mammalian; Eurasian red squirrels Sciurus vulgaris (8%), and avian species, Rufous turtle dove Streptopelia orientalis (28%), and feeds his family around its nest. The male also incubates eggs when the female-bird left for a while. After 4weeks from incub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hunted mammalian is increased.

      • KCI등재
      • 진우도의 동계 조류상

        오태훈(Tae-Hoon Oh),오수길(Su-Gil Oh),백충렬(Chung-Ryul Baek),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08 한국조류학회지 Vol.15 No.1

        2006년 1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총 8회에 걸쳐 1966년에 문화재청에서 낙동강하구 일원(부산구포대교-가덕도 동쪽하단)에 포함되어 천연기념물 제 179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지역인 진우도에서 관찰되는 조류를 대상으로 멸종위기야생동물(조류), 서식형태 및 방해요인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조류는 총 10목 23과 77종 5,103개체였으며, 종다양성지수(H')는 3.31로 나타났다. 우점종으로는 민물도요(Anser fabalis), 쇠제비갈매기(Sterna albifrons), 혹부리오리(Tadorna tadorna), 재갈매기(Larus argentatus), 갈매기(Larus canus) 순이었다. 서식형태별로는 텃새가 23종, 여름철새가 9종, 겨울철새가 31종 그리고 나그네새가 14종으로 확인되었다.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하거나 학술적 빛 문화적으로 보호가 요구되는 종으로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천연기념물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천연기념물 제243-4호), 매(Falco peregrinus, 천연기념물 제323-7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천연기념물 제323-6호) 및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천연기념물 제323-8호) 등이 관찰되었으며, 환경부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인 검은머리갈매기(Larus saundersi), 말똥가리(Buteo buteo), 알락꼬리마도와(Numenius madagascariensis), 솔개(Milvus migrans), 물수리(Pandion haliaetus) 등이 관찰되었다. The bird surveys were conducted in Jin-woo Island from December 2006 to May 2007. Total 77 species and 5,103 individuals were recorded including forest, shrub-grassland and water birds in the study area. Among the total 77 species, 23 resident, 9 summer visitor, 31 winter visitor and 14 passenger migrant were identified in migration pattern. Dominant bird species were Anser fabalis, Sterna albifrons, Tadorna tadorna, Larus argentatus and Larus canus. Shannon-Weaver species diversity indices (H') was 3.31. Natural monuments and endangered birds were 10 species (Haliaeetus albicilla, Haliaeetus pelagicuss, Buteo buteo, Circus cyaneus, Milvus migrans, Falco peregrinus, Falco tinnunculus, Larus saundersi, Numenius madagascariensis and Pandion halie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