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4분과 : 야생동물 ; 섬진강 두꺼비 서식처 관리방안 연구

        노선호 ( Sun Ho No ),오명섭 ( Myeong Seob Oh ),조규태 ( Kyu Tae Cho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두꺼비(Bufo bufo gaugauizans)는 무미목(Anura) 두꺼비과(Bufonidae) 두꺼비속(Bufo)의 양서류로, 국내에 두꺼비속은 두꺼비(Bufo gargarizans)와 물두꺼비(Bufostejnegeri) 2종이 있음. 과거에 두꺼비(Bufo bufo gaugauizans)는 전국적으로 많은 개체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서식지개발, 기후변화, 도로건설로 인한 로드킬 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음. 특히, 본 연구지역인 동정호일대는 섬진강과 인접하는 하류 유역에 비교적 넓은 범람원을 형성하고 있으며, 현재는 농경지로 개간된 상태이지만 과거에는 동정호를 비롯해 여러 개의 배후습지들이 발달한 지역임. 따라서 두꺼비를 비롯한 다양한 양서·파충류들의 서식지 및 산란지로 이용되고 있음. 그러나 2011년 두꺼비산란지 중 한 곳인 봉대전의 하천정비 공사가 완료됨으로 인해 두꺼비 서식지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됨. 또한 2012년에는 주변산지에서 동정호 일대로 산란을 위해 이동하던 중 지방도 1003호선에서 110여 개체가 로드킬을 당함. 따라서 본 두꺼비서식지를 보호하고 개체군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2013년3월에서 2015년 3월까지 두꺼비 서식지의 생물상, 두꺼비의 산란 및 이동, 로드킬 현황을 조사하였다. 생물상조사결과 식물상은 총 32목 58과 195종이 확인되었으며, 동정호지역 137종, 봉대천 64종 황버들 군락 62종, 농경지 53종, 산림 26종의 순으로 조사됨. 식생조사결과 동정호 수역 내부 및 전이지대는 마름, 갈대, 이삭사초, 줄, 여뀌 등이 군락을 형성하고, 동정호 사면부 및 육역으로는 망초, 튤림, 환삼덩굴, 며느리배꼽, 돌콩, 강아지풀, 코스모스가 군락을 형성함. 왕버들군락은 정수식물로 갈대, 줄, 꽃창포군락, 습생식물로 이삭사초, 여뀌, 나도겨풀 군락, 부엽식물로 노랑어리연꽃, 마름 군락, 부유식물로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군락, 침수식물로 붕어마름 군락 등이 확인됨. 포유류는 총 2목 4과 4종이 관찰되었으며, 법정보호종은 수달, 삵 2종이 확인됨. 조류는 총 10목22과 32종이 관찰되었으며, 법정보호종은 황조롱이, 솔부엉이, 소쩍새 3종이 확인됨. 양서·파충류는 양서강 총2목 4과 9종, 파충강 총 2목 4과 5종이 관찰되었으며, 법정보호종은 남생이, 금개구리 2종, 생태계교란야생생물은 황소개구리 1종이 확인됨. 담수어류는 총 3목 5과 7종이 관찰됨. 법정보호종은 출연하지 않았으며, 생태계교란야생생물은 블루길 1종이 확인됨.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강 8목 17과 20종이 관찰되었으며, 왕버들군락 내 수생생물의 주요 먹이원은 물벼룩류와 종자벌레등으로 확인됨. 두꺼비의 산란 및 이동을 확인한 결과 매년 3월~4월에 왕버들 군락 내 웅덩이에서 수십만 개체의 유생이 관찰되고 있으며, 두꺼비는 동정호일대의 남서측 구릉성 산림과 왕버들 군락을 이동하며, 서식·산란하는 것으로 판단됨. 한편, 지방도 1003호선 일대에서는 2012년 이후 로드킬은 확인되지 않았음.

      • 인공둥지(Artificial Wood Box)에 서식하는 조류의 번식생태 및 둥지의 입구크기가 조류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선호 ( Sun Ho No ),김영진 ( Yeong Jin Lee ),남지연 ( Ji Yeon Nam ),심예은 ( Ye Eun Shim ),고준서 ( Jun Seo Koh ),정범준 ( Beom Jun Jeong ),최한이 ( Han I Choi ),조삼래 ( Sam Rae Cho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 충청남도 공주시, 금산시, 부여군, 충청북도 영동군, 옥천군 일대에 입구의 크기별로 제작한 인공둥지(150×150×250mm, 입구지름 40mm; 250×250×350mm, 입구지름 70mm; 300×300×400mm, 입구지름 100mm)를 설치하여 조류의 번식생태를 연구하고, 입구의 크기가 조류의 번식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인공둥지에서 번식이 확인된 조류는 참새(Passer montanus), 박새(Parus major), 곤줄박이(Parus varius), 파랑새(Eurystomus orientalis), 소쩍새(Otus sunia), 원앙(Aix galericulata) 총 6종이였다. 입구의 크기 별로 살펴보면 지름 40mm에서 참새, 박새, 곤줄박이, 70mm에서 박새, 곤줄박이, 파랑새, 소쩍새, 100mm에서 박새, 곤줄박이, 소쩍새, 원앙이 각각 번식하였다. 특히, 법정보호종(천연기념물)은 원앙과 소쩍새 2종이 번식하였다. 최초 번식시기는 박새와 곤줄박이 등 소형의 삼림성 조류가 가장빨랐으며, 상대적으로 참새, 소쩍새, 파랑새, 원앙이 늦었다. 번식성공률은 종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다양한 실패요인이 확인되었다. 주요 번식실패요인으로 박새는 곤줄박이와 원앙에 의한 둥지강탈, 곤줄박이는 원앙에 의한 둥지강탈, 소쩍새는 미부화, 원앙은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방해로 둥지포기가 확인되었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조류는 입구의크기가 큰 둥지를 선택하였을 때 대체로 번식에 실패하였으며, 같은 시기에 번식장소를 선택하는 조류에 있어서 종간경쟁이 상당히 치열했다. 특히, 원앙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높았으며, 소형조류가 둥지 내부에 이끼를 이용해 산좌를 깔아놓은 곳을 강탈하거나, 또는 알을 훼손하고 둥지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원앙은 민가와 인접한 지역에 둥지를 트는 경우가 많아 인간에 의한 갑섭이 크게 작용하였다. 연구결과, 각종 개발과 도로건설로 인하여 산림 및 나무의 훼손이 수반되어 자연생태계에는 조류가 산란할 장소가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짧은 번식기간 중 조류의 종간 및 종내 경쟁은 치열했다.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쟁에서 뒤쳐지는 소형의 조류는 번식실패와 개체수 감소가 심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입구의 크기를 달리 제작한 인공둥지를 설치함으로 다양한 야생조류의 대체 산란지를 제공하고 생물다양성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인공둥지(Artificial Wood Box)의 입구크기에 따른 번식조류의 경쟁구조 분석

        노선호 ( Sun-ho No ),고준서 ( Jun-seo Go ),신세영 ( Se-young Shin ),이정은 ( Jeong-eun Lee ),최한이 ( Han-yi Choi ),채주리 ( Ju-ri Chae ),신규철 ( Gyu-cheol Shin ),유영한 ( Young-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둥지의 입구크기에 따라 번식조류의 경쟁구조를 확인하고자 2015년에서 2016년까지 조류의 번식기간(4-7월) 동안에 주 2회 인공둥지를 모니터링 하였다. 인공둥지는 2015년과 2016년 2월에 충청남도 공주시, 금산시, 부여군, 충청북도 영동군, 옥천군 일대에 총 60개를 설치하였으며, 각각입구지름 40㎜(가로150×세로150×높이250㎜) 12개, 70㎜(가로250×세로250×높이350㎜) 12개, 80㎜(가로250×세로250×높이350㎜) 12개, 90㎜(가로250×세로250×높이350㎜) 12개, 입구지름 100㎜(300×300×400㎜) 12개를 설치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인공둥지에서 번식한 조류는 참새(Passer montanus), 박새(Parus major), 곤줄박이(Parus varius), 딱새(Phoenicurus auroreus auroreus), 파랑새(Eurystomus orientalis), 소쩍새(Otus sunia), 원앙(Aix galericulata)총 7종이였다. 입구의 크기 별로 살펴보면 지름40㎜에서 참새, 박새, 곤줄박이, 70㎜에서 참새, 박새, 곤줄박이, 파랑새, 소쩍새, 80㎜에서 박새, 곤줄박이, 딱새, 90m에서 곤줄박이, 딱새, 100㎜에서 박새, 곤줄박이, 소쩍새, 원앙이 각각 번식하였다. 번식실패요인은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주요 번식실패요인으로, 박새는 곤줄박이와 원앙, 소쩍새에 의한 둥지강탈, 곤줄박이는 원앙에 의한 둥지강탈, 소쩍새는 미부화, 원앙은 둥지포기와 미부화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인공둥지에서 번식하는 조류의 생태적 지위는 원앙이 가장 높았으며,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조류는 입구가 큰 둥지를 선택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큰 조류에게 둥지를 강탈당했다. 따라서 나무구멍에서 번식하는 조류에 있어서 입구의 크기를 달리 제작한 인공둥지를 설치함으로 조류의 종간 경쟁을 최소화 하며, 번식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대체 산란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한국에서 서식하는 소쩍새(Otus sunia stictonotus)의 번식생태 및 둥지특성에 관한 연구

        노선호 ( Sun Ho No ),백충렬 ( Chung Ryul Baek ),이형석 ( Hyeong Seok Lee ),조삼래 ( Sam Rae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본 연구는 2011년 3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한국에서 서식하는 소쩍새(Otus sunia stictonotus)를 대상으로 둥지특성에 따른 번식생태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쩍새는 느티나무(Zelkova serrata, 4그루),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3그루), 팽나무(Celtis sinensis, 1그루), 왕버들(Salix chaenomeloides, 1그루), 수양버들(Salix babylonica, 1그루),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1그루),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1그루), 양버즘 나무(Platanus occidentalis, 1그루)의 딱다구리류 둥지 (woodpecker``s nest hole, 46. 1%),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natural tree hole, 38. 5%), 인공둥지(artificial wood box, 15. 4%)에 둥지를 틀었다. 수고(H)는 10~16. 3m, 흉고직경(DBH)은 0. 2~1. 2m였다. 특히, 인공둥지를 달아놓은 경우에는 수고와 흉고직경이 상대적으로 낮은 나무 (10. 0m<H<10. 7m, 0. 2m<DBH<0. 4m)에서도 번식하였다. 나무의 상태는 죽은 가지가 달린 살아있는 나무(69. 2%)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줄기와 가지가 모두 살아있는 나무(23. 1%), 고사목(7. 7%) 순 이였다. 그리고 둥지구멍은 죽은 가지가 달린 살아있는 나무의 줄기(54. 5%)와 가지(45. 5%) 부위에 주로 위치하였다. 소쩍새의 부화율은 91. 4%, 이소율은 83. 0%, 번식성공률은 75. 9%였다. 번식실패요인은 미부화(unhatched, 7. 1%), 둥지포기(abandon, 28. 6%), 추락사(falling, 57. 1%) 그리고 사망의 원인을 특정지을 수 없는 경우(etc. , 7. 1%)가 있었다. 둥지유형별로는 딱다구리류 둥지는 새끼의 추락사로 인하여 이소율(69. 2%)이 낮았으며,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구멍은 둥지포기와 미부화로 인하여 부화율(79. 2%)이 낮았다. 한편, 인공둥지에서는 모든 개체가 부화와 이소에 성공하여 부화율, 이소율, 번식성공률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인공둥지는 2개를 대상으로 연구되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할 수는 없지만, 자연둥지의 단점을 보완하고 번식성공률을 높일 수있는 장점 들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인공둥지가 번식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설치 장소, 높이, 형태, 크기, 구멍의 크기에 따른 장기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두꺼비(Bufo bufo gaugauizans) 주요 산란지인 섬진강 일대 저수지의 보전과 관리에 관한 연구

        정진석 ( Jin-seok Jeong ),노선호 ( Sun-ho No ),고준서 ( Jun-seo Go ),신세영 ( Se-young Shin ),이정은 ( Jeong-eun Lee ),최한이 ( Han-yi Choi ),채주리 ( Ju-ri Chae ),신규철 ( Gyu-cheol Shin ),유영한 ( Young-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조섬진강 일대에 서식하는 두꺼비 및 두꺼비서식처의 보호방안을 모색하고자 두꺼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은 하동군 악양면 일대로 총 14개의 습지가 발달해 있다. 그 중 노전소류지, 정서제, 입석상제 등 6개 지점에서 두꺼비가 산란하였다. 텃개소류지, 중간소류지 등 3개 지점은 매립되어 산란지 기능을 상실하였다. 용정소류지, 신대제 등 2개 지점은 두꺼비의 번식기인 2~4월 동안 일정수준의 저수량을 유지하지 못하여 두꺼비가 산란하지 않았다. 봉대천 하류, 동정호, 입덕하제 등 3개 지점은 일정수준의 저수량을 유지하였으나, 두꺼비가 산란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두꺼비의 주요 위협시기는 성체 두꺼비의 이동기인 2월과 아성체 두꺼비의 이동기인 5월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로드킬로 인한 피해가 컸다. 한편, 두꺼비 산란의 주요 위협요인은 산란지의 감소 및 축소이다. 두꺼비는 이동성이 낮고, 생태특성상 산란지의 환경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두꺼비가 산란할 수 있는 저수지가 매립되거나, 두꺼비의 주요번식기동안 일정수준의 수량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그해에는 두꺼비의 번식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으로 두꺼비의 산란지로서 저수지의 보전과 관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의 번식생태와 서로 다른 두 서식지에서의 번식성공률 차이

        백충렬(Chung-Ryul Baek),이진희(Jin-Hee Yi),염광석(Kwang-Suk Yeom),노선호(Sun-Ho No),이상덕(Sang-Duk Lee),조삼래(Sam-Rae Cho)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2009년 3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공주대학교 교내·지역과 계룡산국립공원에서 번식하는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오목눈이의 둥지는 이끼류와 거미줄을 이용하여 길쭉한 타원형의 호리병 모양으로 만들며, 둥지의 크기는 장경이 223.49±16.52mm, 단경이 96.45±11.98mm, 깊이가 109.46±9.54mm였다. 오목눈이의 한배산란수는 8.63±1.21개이며, 부화율은 95.73%, 이소율은 75.79% 그리고 번식성공률은 72.56%로 나타났다(Mann-whitney Utest P<0.05). 알의 크기는 장경이 14.50±0.93mm, 단경이 11.20±0.37mm, 무게가 1.23±0.18g 이였으며, 알의 형태지수는 78.45±1.25%로 타원형에 가까웠다. 포란기간은 16.89±1.29일이며, 육추기간은 16.24±1.25일 이였다. 오목눈이 유조의 성장은 완만한 S자형 곡선을 이루었다. 부리와 부척에 관한 성장에서 비교적 고른 성장을 보였고, 깃털의 영향을 받는 전장, 꼬리, 날개는 초기 이후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공주대학교 교내·지역과 계룡산국립공원에서의 번식성공률은 각각 80.80%와 60.00%(Mann-whitney U test P<0.05)로 나타났으며, 오목눈이의 번식성공률은 서식지의 조건(먹이자원 등)보다 천적의 밀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We surveyed about breeding ecology of Long-tailed Tit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Gye-ryong Mountain from March 2009 to October 2010. Long-tailed Tit Aegithalos caudatus spent about 59-66 days on nesting, laying, incubating and fledging. Its nest was made of the moss type and the spider web and its shape was like a longish elliptical calabash. It had 223.49±16.52mm in outside diameter of nest, 96.45±11.98mm in inner diameter and 109.46±9.54mm of thickness. The number of the clutch size was 8.25±1.14 and hatching success was 95.73%, fledging success was 75.79%, breeding success was 72.56% (Mann-whitney U test P<0.05). The eggs were 14.50 ±0.93mm of length, 11.20±0.37mm of width, 0.90±0.44g of mass and 78.45±1.25% of shape index. The mean incubation period was 16±1.23days and parental care period was 15.75±1.14 days. The growth of the chicks was gentle S curve drew. The growth of the bill and tarsus was relatively shown gentle growth, and the total length, the length of tails and wings which are influenced by feathers were grown rapidly. I guess that its breeding success rate was more affected by the habitat density of the natural enemy than the condition of the habitat density (food resources etc.)

      • KCI등재

        한국에서 번식하는 오목눈이의 둥지장소 선택과 서식지 이용 특성

        백충열 ( Chung-yeol Baek ),이진희 ( Jin-hee Lee ),노선호 ( Sun-ho No ),장경희 ( Kyung-hee Jang ),조삼래 ( Sam-rae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5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오목눈이의 번식기에(2월에서 6월) 공주대학교 교내 및 인근지역과 계룡산국립공원 그리고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수행하였다. 총 98개의 오목눈이 둥지를 조사결과 15종의 수목에 둥지를 만들었으며, 특별히 선호하는 나무의 수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무의 수종을 생활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상록침엽교목과 낙엽활엽교목 그리고 낙엽활엽관목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상록침엽교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에 의해 오목눈이의 둥지가 가려진 정도인 은폐도는 공주대학교 교내 및 인근지역이 11.61±4.79%(n=29)로 나타났으며, 계룡산국립공원은 6.06±2.31%(n=43), 월악산국립공원은 4.38±2.19%(n=26)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이웃한 오목눈이둥지의 은폐도는 서로 비슷한 정도로 가려져 있었으나, 지역 간의 은폐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목눈이 둥지의 보호색 정도를 살펴본 결과, 오목눈이 둥지주변 환경의 색 코드 값에서 오목눈이 둥지의 색 코드 값을 뺀 평균은 26.52±16.14(n=32)로 나타났으며, 오목눈이의 둥지는 주변 환경에 따라서 보호색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목눈이 둥지의 영소목이 상록침엽교목이면 녹색의 이끼를 많이 물어와 둥지를 만드는 반면 관목이나 영소목이 균류 등에 의하여 노란색을 띠게 되면 마른이끼를 둥지 재료로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띠는 경향이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its neighboring area, Mt. Gyeryong national park and Mt. Worak national park in the breeding season of long-tailed tits Aegithalos caudaatus from 2008 to 2012. The result of the inquiry, the nests were found in 15 species of trees, and this result shows me it`s not choosy about them. But after having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features and analyzed them, long-tailed tits preferred evergreen needleleaf tree and deciduous broad-leaf tree and deciduous bush, especially evergreen needleleaf tree. The concealment rate of long-tailed tits` nests was 11.61±4.79%4.38±2.19%(n=29)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it`s neighboring area, 6.06±2.31%(n=43) in Mt. Gyeryong national park and 4.38±2.19%(n=32) in Mt. Worak national park. By regional groups, the concealment rates of neighboring nests were almost same, but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the areas. The average of the color codes was 26.52±16.14(n=32) that those of the nest subtract from those of surroundings of the nest. The nests were procryptic according to their surroundings, and if their nest in a tree were evergreen needleleaf trees, they were made of moss. while if the trees of nest in a tree were yellow because of fungus, made of dried moss, they were yellow,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