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사회 교과 ICT활용 교육에서 탐구수업과 연계한 자원중심학습 모형 개발

        박용조 ( Park Yong-jo ),정호범 ( Cheong Ho-bhum ),김영석 ( Kim Young-seog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ICT가 가장 광범위하고 구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사회과에서 탐구 수업과 연계한 RBL(Resource Based Learning:자원중심학습) 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탐구 수업과 RBL의 연계 과정에서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수집되는 교수 · 학습 자료들은 탐구 수업을 역동적이면서 순환적인 과정으로 나아가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RBL 모형은 설명의 논리에 터한 탐구 수업을 기본적인 교수 · 학습 방법(method)으로 하고 ICT는 하나의 수업 기법(techniques)으로 활용하였다. 순환적 탐구 과정에 터하여 RBL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현장의 수업에 투입하였다. 개발된 RBL 모형을 수업에 투입한 결과, 학생들의 사회과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 그리고 5, 6학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면에서 개발된 RBL 모형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개발된 RBL 모형의 발전적 적용을 위해, 학년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RBL 모형이 개발되어야 하고, 내용 영역별로 RBL 모형 교수 · 학습 지도안들이 구안되어야 하며, RBL 모형에 현장 체험 학습의 형태를 보완하여 적용될 필 요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sourse based leaming(RBL) model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could be most broadly utilized.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s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man’s inquiry model and RBL.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d a new instructional model in which students could perform an inquiry with various forms of resource provided with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sson plans and learning materials(CD-Roms) based on the instructional model. The third part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the new instructional model in the real classroom situation. Six classes were selected from fourth to six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is model is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model turned out to be more appropriate to the higher grade students.

      • KCI등재

        법적 추론의 원리와 교육적 활용 방안 - 사회과 수업을 통한 합리적 분쟁해결방법의 습득 -

        박용조 ( Park Yong-jo ),김영석 ( Kim Young-seog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2 사회과교육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inciples of legal reasoning and to provide a way of their educational utilization. This study especially put an emphasis on the principles of dialectical reasoning in the legal process. Dialectical resoning invloves argumentation for the resolution of legal dispute in the situation that no unshakerble premises and evidences arc given. Dialectical resoning presupposes several principles and conditions for the rational argumentation and the effective communication. These principles include not only participants’ obligation of presenting both their argument and evidences in a reasonable way but also their behavior codes for a cooperativ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Using these principles and conditions, we can plan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for the study of controversial social issues. In this class, teacher takes the role of the judge and imposes basic principles of discussion on the class discussion. In sum, principles of legal argumentation could be utilized for the classroom discussion.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 관련 내용 분석

        박용조 ( Park Yong-jo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1

        본 고에서는 초등학고 사회과 교실에서 학습자의 학습 환경의 기본적인 부분으로서 사회과 학습의 기초 자료인 교과서의 내용(text)이 ‘인권적(pro-human rights)’인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4, 5학년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관련 내용 분석의 결과는 첫째, 비인권적인 내용이 전 영역에서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인권적인 서술이 미진한 부분은 양성 평등과 관련해서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제재의 주어진 목표 달성에 열중한 나머지 인권과 관련된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내용을 서술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적극적 · 명시적 인권 침해보다는 인권을 소극적으로 배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인권을 고려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교과서 본문(text) 내용 서술에서 발견되는 문제보다는 이를 보조해주는 삽화에서 비인권적인 문제가 많이 나타났다. 교과서 내용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사회과에서 바람직한 인권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부터 비인권적이거나 반인권적인 내용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교과서 심의 과정에 인권의 관점에서 교과서를 전문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반영한다든지, 또는 현장 교사들의 인권에 관한 바람직한 관점을 형성하고, 인권 관련 내용을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도록 교사 인권교육 관련 연수 등을 고려해 나가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conten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ic component parts of learning environments, coincide with contents of human rights or not. On the basis of these explorations, this study presents contents related to human righ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4th and 5th graders, suggests directions of textbook development for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for considering human rights in all these aspects, the professional consideration process related to human rights needs to be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textbook development. Second, in making descriptions of the equality of the sexes in textbooks, many of contents are insufficient to human rights, therefore, we must prepare the alternatives which exclude these prejudices from the process of textbook development. Third, because of purpose-oriented manners in constructing contents, texts which are insufficient to human rights show tendencies to increase. Fourth, in constructing texts which are insufficient to human rights, its form is not the positive description but the negative exclusion. Fifth, questions related to human rights appear more in illustrations than in texts.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we must prepare the process for considering textbooks in the view of human rights and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reconstructing contents related to human rights.

      • KCI등재

        龍樹(Nāgārjuna) 空思想의 論理的 접근

        박용조(Park, Yong-Jo)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4 가톨릭신학 Vol.5 No.-

        It is not too much say that a Buddhist creativity is derived from the idea of the Emptiness(Sunya). An idea of the Emptiness is early formulated. but systematization is by the unique perception and theory of Nagarjuna(龍樹). About the emptiness of Buddhism In-sun(印順) Buddhist teacher spoke that is the emptiness of Agama(阿含) emphasizes to polish the way of liberation(解脫道), and the emptiness of several branch(部派) s studies the true meaning, and the emptiness of Prajna(般若) is the emptiness as a profound experience, and the emptiness of the Nagarjuna integrates false names, the nature of the emptiness, a rising from conditional causation(緣起) and the golden mean.(中道) Thereby, the emptiness of the Nagarjuna is called as the golden mean. This does not stay the emptiness idea on scientific aspect of epistemology or logic. and because grasping contradictiveness of speculation in the perception and logical aspect preferably, can know that escape from confrontation and discord and is connoting religious side view that intend the absolute world. If examine little more concretely. the essential dogma of Buddhism in a viewpoint of no ego(無我) points all of all by mutable thing and impermanence(無常). And it saw that disappear while also what occurred in relation of only individual elements. This is A rising from conditional causation(緣起說) that is view of the world of Buddhism justly. However, thereafter, the better part of several branches in Abhidharma Buddhism(部派佛敎) can directly recognize the real(Dharma; 法) existence that is objective existence in sensibility or spoke that can know to indirect deduction. and as a result. professed the false view of Hinayana the things(法有) that recognize the dharma as objective real existence. Nevertheless, the real existence in Mahasamghika(大衆部) that become Mahayana(大乘佛敎) relationship foundation that is no more than in idea. Genuine real existence transcends over the idea, which is unconcerned with idea. Approaching to the real existence is not based on awareness in intelligence but in practice. So, this that effected bodhisattva(菩薩) with arambha that is the starting point becomes prajnaparmittam-sutra(般若經) s subject by an ideology that the emptiness nuts and bolts side is formed being emphasized. Prajnaparamitlam-sutra criticized The false view of Hinayana the things seeing things through several braches s dharma. Dharma denied situation of the false view of Hinayana the things thoroughly and that could not see real image of things because of the idea s production. This negation means transcendence as expression that is paradoxical not that means simple negation. That is, because flowing through negation, it is that must deny the subjective cognition and the objective object connected with it as well as phenomenon of all and time and space throughly as that go forward by positive and the truth that all is emptiness. The emptiness of the prajnaparamitam-sutra is World everything does emptiness.(一切皆空) by a word. This is a more developed meaning of nothing has a perfect selflessness.(諸法無我) that is rooted in the foundational dogma of Buddha. Nothing has a perfect selflessness. denies all things(一切法) simply, but world everything does emptiness. derives self-reflection as well as show an unreal and false(虛妄不實) of all things . This means that is magnified for practice and religious side. A person who reclaim newly and develop Buddhism in philosophical and religious aspect accepting this prajnaparamitam-sutra s the emptiness is nagrjuna. He made plain clearly through thoroughly demonstration that prajnaparamitam-sutra s emptiness has contradictory meaning and affirmative meaning at the same time, but do not have theoretical system. 불교의 독창성은 空(Sunya)思想에서 유래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공에 대한 관념은 불교의 초기부터 형성되었으나 체계화된 것은 龍樹(Nagarjuna)의 독특한 認識과 論理에 의해서였다. 불교의 空에 대해 印順 法師는 “阿含의 공은 解脫道를 닦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部派의 공은 法義를 연구하는데, 그리고 般若의 공은 심오한 체험으로서의 공이며, 龍樹의 공은 般若經의 假名ㆍ空性과 阿含經의 緣起와 中道를 통합한 공이다.”라 하여 용수의 공사상을 中道라고 하는데, 이는 공사상을 인식론이나 논리학의 학문적인 면에만 머물지 않고, 오히려 인식과 논리적인 측면에서 사유의 모순성을 지적하여 대립과 갈등을 벗어나 절대의 세계를 지향하는 종교적인 측면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불교의 근본교의는 ‘無我說’의 견지에서 일체의 모든 것들은 변화하여 영속하지 않는 無常한 것으로 보았다. 그 어떤 것도 오직 개별적인 요소들의 ‘관계’에서만 생겼다가 사라지는 것으로 보았다. 이것이 바로 불교의 세계관인 緣起說이다. 그러나 이후 아비다르마(abhidharma)불교의 대부분의 부파들은 감각으로 객관적인 존재인 實在를 직접 認知할 수 있다거나 또는 간접적인 推論으로 알 수 있다고 하여 객관적인 실재로서의 ‘法(dharma)’을 인정한다는 ‘法有思想’을 표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大乘佛敎의 토대가 된 대중부(Mahasamghika)에서는 실재라고 하는 것은 관념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진정한 실재는 사유에 의한 구성에 조금도 포함되지 않는 사물, 즉 實在란 觀念을 떠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실재에 대한 접근은 결코 知性으로서가 아니라 실천을 통한 깨달음이 그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 출발점인 ‘發菩提心’을 바탕으로 菩薩思想을 성립시켰는데 이는 공의 실천적인 면이 강조되면서 형성된 사상으로 반야경의 주제가 된다. 일단 반야경은 여러 부파들의 法을 통해 사물을 보는 ‘법유론’을 비판하였다. 법은 思惟의 所産기에 사물의 실상을 제대로 볼 수 없다하여 法有的인 입장을 철저히 부정하였다. 이때의 부정은 단순한 부정을 나타낸 것이라기보다는 역설적인 표현으로서 곧 超越을 뜻한다. 즉 철저한 否定을 거쳐 絶對肯定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일체현상은 물론이고 그것과 관련된 주관인식 및 객관대상 그리고 時ㆍ空까지도 철저히 부정할 뿐 아니라 一切가 空이라는 그 사실까지도 부정해야한다는 것이다. 반야경의 공사상은 한마디로 ‘一切皆空’사상이다. 이는 붓다의 근본 교의인 ‘諸法無我’의 의미를 한층 발전시킨 것으로, 제법무아가 일체법을 단순히 부정하나 ‘一切皆空’은 一切法의 虛妄不實함을 드러낼 뿐 아니라 자기반성까지도 유도한다. 이것은 공이 실천 및 종교적인 면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반야경의 공사상을 수용하여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면에서 불교를 새롭게 개척하고 발전시킨 이가 용수이다. 그는 반야경의 공이 否定的인 意味와 肯定的인 意味를 동시에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론적으로 체계를 갖추지 못한 것을 철저한 論證을 통해 명백하게 밝혔다. 그의 저서인 중론(Mdhyakakarika)에서 밝힌 용수의 논증은 형식적으로는 서구의 변증법과 비슷하나 추구하는 바는 歸謬法(prasnga)과 같다. 그가 사용한 논증은 ‘四句否定(Tetralemma)’의 논증형식으로 이는 中論 第18觀法品 8偈(MK, 18, 8)에 ‘일체는 진실이다. 진실이 아니다. 진실이기도 하고 진실이 아니기도 하다. 진실이 아니며 또 진실이 아닌 것이 아니다. 이것은 모두 부처님의 법이라 부른다.(一切實非實 亦實亦非實 非實非非實 是名諸佛法)’의 게송 중에 잘 나타난다. 앞의 세 命題들은 인간이 논리상으로 내어놓을 수 있는 견해들을 대표하는 논증 양식이다. 그러나 마지막 네 번째 명제는 앞의 명제들을 모두 否定하는 것으로 超越 내지는 無執着, 나아가 ‘如實 즉 있는 그대로를 드러내고자함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용수는 공의 논리를 중론 의 ‘八不’을 통해서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八不’은 일체 사물의 現存 양식을 여덟 가지로 대별하여 그것이 실체성을 지닌 것이 아니라 相互依存의 無自性, 즉 연기적인 것임을 드러냈다. 그리고 일체가 思惟로부터 생겨나는데 이러한 사유는 인간의 인식활동이며 언어에 의해 형성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언어와 그것이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실상은 결코 일치를 이룰 수 없기 때문에 言語나 槪念 및 定義 또한 이런 측면에서 보면 항상 오류를 가지게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LED조명의 거주성 평가에 관한 연구

        이진숙(Lee Jin-Sook),박용조(Park Yong-Jo),김원도(Kim Won-Do),김희동(Kim Hee-Dong),주형석(Joo Hyeong-Seok)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3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and LED lightings by measuring and comparing luminous characteristic and habitability and to examine proper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of LED by job types in an interior spa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ix steps as follows. 1) A full-size mock-up was built to control experiment variables in order to meet the study purpose. 2) Physical features of fluorescent and LED lightings were compared and analyzed. 3) Brightness and fatigue degree of the two lighting types by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were compared and analyzed. 4) The proper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ings on a work table by job types and the proper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ings by mood types were extracted. 5) Emotional image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LED lightings by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6)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quantity and habitability of LED lightings was analyzed.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LED lightings are felt brighter than fluorescent lightings as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are higher. And LED lightings showed higher fatigue degree than fluorescent lightings as time goes by. In the evaluation of brightness of LED lightings by job types, 600lx in 3000 to 3500k, 400lx in 6000 to 6500k, and 500lx in 4000 to 5500k were proper for an office room. For a meeting room, 600lx in 3000 to 3500k, 400lx in 5000 to 6500k, and 500lx in 4000 to 5000k were proper. For a lounge, 600lx in 3000 to 3500k, 400lx in 5000 to 6500k, and 500lx in 4000 to 5000k were proper.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in the emotional image evaluation showed two factor axes of "cheerful" and "comfortable", and the quantification type-1 analysi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color temperature had the most effect.

      • 유선방식으로 계량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FEP용 펌웨어 개발

        이봉길(Lee Bong-Kil),이강재(Lee Kang-Jae),박봉용(Park Bong-yong),안재승(Ahn Jae-seung),김명웅(Kim Myung-Woong),박용조(Park Yong-Jo)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전력거래 계량시스템은 회원사의 계량기가 생성한 계량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취득하고 이로부터 계량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시간대별 계량값을 타 시장시스템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전자상 거래 시스템과 연계하여 회원사 계량값을 공개하는 전력거래 핵심 시스템이다. 현재 계량데이터 취득 방식은 전용선 및 공중선에 기반한 유선방식 위주로, 복수 개의 전용선 모뎀을 취합하여 계량서버에 연계하기 위하여 FEP를 도입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운영 중인 FEP보다 향상된 FEP용 펌웨어를 신규 개발하고 있다.

      • SCADA Topology 알고리즘 분석

        최영민(Choi Young min),유현정(Yu Hyun-Jung),박용조(Park Yong Jo),김성학(Kim Sung Hak)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11

        최근 들어 전력 계통은 점차 복잡해지고 계통 규모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전력계통의 안정적, 경제적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전력거래소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를 통해 실시간 전력계통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기반으로 전력계통의 안정성과 경제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EMS의 다양한 기능 중 스카다(SCADA) 기능은 단순히 취득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뿐 아니라 인텔리젼트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데 이중 대표적 기능이 스카다 토폴로지(SCADA Topology)라 할 수 있다. 스카다 토폴로지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스카다에서 실시간 취득, 처리되는 아날로그와 스테이터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력계통에서 운용하는 각종 전력설비(발전기, 송전선로, 변압기, 조상설비 등)에 대한 가압 또는 무압 여부를 스캔주기(2초)내에 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현재 전력거래소는 100인치 화면 16장을 연결한 Rear Projector에 전국전력계통도 화면을 제작하여, 한눈에 전력계통의 가압 또는 무압상태를 표시, 실시간 감시에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국내에서는 스카다 토폴로지에 대해 소개된 논문이나 소개가 부재한 형편임을 감안하여, 본고는 스카다 토폴로지의 기본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국내 스카다 기능의 선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EMS NETWORK Topology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유현정(Hyun-Jung Yu),최영민(Young-min Choi),김민배(Min-bae Kim),김광호(Kwang-ho Kim),박용조(Yong-Jo Park),김성학(Sung-Hak Kim)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11

        최근 들어 전력 계통은 점차 복잡해지고 계통의 규모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전력거래소는 전력계통의 안정적, 경제적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으로 ‘01년 현재의 에너지관리시스템(EMS)를 도입하여 실시간 전력계통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기반으로 전력계통의 안정성과 경제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EMS의 대표적인 기능은 계통데이터의 수집(SCADA), 자동발전제어(AGC), 계통해석(NA) 등으로 대별되며, 이중 계통해석 기능은 프로그램 규모면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계통해석 기능은 또다시 상태추정 (SE), 상정사고분석(CA), 안전도해석(SENH), 고장해석 (SCT)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실시간 계통 해석을 수행하게 된다. 전력계통 해석은 먼지 대상계통을 수학적 모델로 정식화하기 전에 계통망의 기하학적 구조를 기술하는 단계가 필요한데 이를 토폴로지 처리라 고 하며, 보통 그래프이론인 노드(Node)와 마디(Branch)를 사용하여 전력계통망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연결관계를 정의하게 된다. 본고는 이론적 수준을 넘어 EMS의 계통해석 기능에서 실계통을 해석하기 위해 쓰이고 있는 토폴로지 처리의 기본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국내 전력산업 기술 선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