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동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발생한 폐혈전색전증 1예

        박병도 ( Byoung Do Park ),김형길 ( Hyung Gil Kim ),정현정 ( Hyun Jung Jung ),최용준 ( Yong Jun Choi ),김상구 ( Sang Gu Kim ),김수한 ( Soo Han Kim ),권계숙 ( Gye Sug Kwon ),신용운 ( Yong Woon Shin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1

        Inflammatory bowel disease often involves extra-intestinal organs. Cerebral thrombosis, portal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thrombosis have been reported. Deep 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thromboembolism are significant causes of mortality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48-year-old woman was diagnosed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on colonoscopy and histology. We used hydrocortisone and mesalazine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Nineteen days later, she complained of abrupt dyspnea. Pulmonary CT angiography revealed a thromboembolism in right pulmonary arteries. After the treatment of heparin therapy, follow-up pulmonary CT angiograph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previously thrombosed pulmonary arterie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48-52)

      • KCI등재

        나마즈에[鲶繪]에 나타난 일본의 지진신앙과 그 변모

        박병도(Park, Byoung-D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 No.40

        1855년 음력 10월 2일 현재 일본의 도쿄 지역인 에도에서 규모 7을 넘는 강진이 일어났다. 이른바 ‘안세이 에도 지진’으로 불리는 이 지진이 일어나고 삼일 뒤부터 카와라판이라는 재해 신문을 통해 나마즈에(??)가 시장에서 유통되기 시작했다. 이른바 ‘메기화’라고 부를 수 있는 이 민속화는 안세이 지진에 대한 민중들의 지진신앙이 회화적으로 표출된 것이었다. 나마즈에에는 지진을 일으키는 메기와 이 메기를 카나메이시로 통제할 수 있는 카시마대명신이 그려져 있다. 이러한 지진신화를 표현한 나마즈에 속에서 메기는 사람들에게 맞거나 먹히거나 사과하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하지만 나마즈에에는 오랜 시간을 두고 형성되어온 지진신화의 구조와는 전혀 다른 주제도 나타난다. 메기가 신의 사자로서 잘못된 세계를 꾸짖거나 부자들의 돈을 빼앗고 지진으로 피해를 본 서민들을 도와주기도 하는 것이다. 나마즈에에는 기존의 지진신화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 신화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전복시킨 주제까지 함께 표현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상징의 충돌과 구조적 변화는 세계의 재생 또는 세계의 변혁을 뜻하는 ‘요나오시[世直し]’라는 용어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1855년의 지진 재해를 겪은 이들은 지진을 계기로 두 가지 차원의 현세의 변화를 꿈꾸었다. 하나가 지진 이전의 풍요롭고 평화로운 세계로의 재생과 회복 즉 ‘재생과 회복의 요나오시’였다면, 다른 하나는 불평등한 경제적 질서를 변혁시켜 평등한 세계를 꿈꾼 ‘변혁의 요나오시’였다. 이러한 두 차원의 요나오시의 열망이 기존의 지진신화의 구조마저 변형시켜 나마즈에 속에서 상징적으로 표현되었던 것이다.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examine the diversity of religious recognition of and practice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by looking Japanese earthquake disasters. Especially, I focus on the Ansei Edo Earthquake(安政江戶地震) that occurred in 1855 and namuzu-e(염繪), which are folk paintings that appeared after the earthquake in Edo. Through this work, I present how and why these recognitions have changed by employing the approach of the symbolic interpretation of the anthropology of religion. On the second day of the tenth month of 1855(November 11 in the solar calendar), an earthquake with a magnitude of 7 shook Edo and the resultant estimated deaths amounted to 10,000. Three days after the initial earthquake, namazu-e, which means ‘catfish paintings’ were distributed in markets and gained explosive popularity. Namazu-e mainly featured three elements: Namazu(염, catfish), Kanameisi(要石) and Kashima-daimyojin(鹿島大明神, God of Kashima). Basically, catfish in the namazu-e were described as ringleaders of disaster and they were suppressed by Kanameisi and Kashima-daimyojin. In this context, catfish were beaten and even eaten by people and sometimes catfish apologized to sufferers for causing earthquakes. On the other hand, interestingly, the different structure of the stories was also depicted in the namazu-e. In these paintings, catfish were no longer the cause of earthquakes. Catfish became independent agents who try to accomplish another purpose through earthquakes. As messengers of Kashima-daimyojin, catfish punish greedy rich people or deprive them of their money. Furthermore, catfish even help those who suffer after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From these dual types of namazu-e, we can find the clash and transition of symbolism. The motivation behind such a symbolic reversal could be explained by the term ‘Yonaoshi(世直し)’ which literally means the renewal of the world, the recovery of the world or the reform of the world. In namazu-e, we can find not only the ‘Yonaoshi of Renewal and Recovery’ but also the ‘Yonaoshi of Reform’, which pursues social equality through redistribution of wealth as a consequence of the reformation of society. In conclusion, the earthquake in 1855 was a unique case that showed the idea of world reform through folk paintings as a reinterpretation of then existing mythology.

      • KCI등재

        근세 일본의 재해사자와 사원 : 1657년의 대화재와 에코인(回向院)

        박병도(Park, Byoung-Do) 일본사학회 2022 일본역사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근래 점점 주목을 받고 있는 재해 연구사 흐름 속에서 근세 일본 재해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서 ‘재해사자의 처리와 위령’이라는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사례로 살펴보는 것이 1657년의 메이레키 대화재이다. 메이레키 대화재는 에도 시가지의 60%를 태웠고 이후 에도 도시 구조를 크게 개편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지적이 있었지만 재해사자의 문제는 ‘10만’이라는 숫자가 제시되었을 뿐 대량의 신원 불명 사자를 누가 어떻게 처리했고 매장했으며 살아남은 이들은 죽은 이들을 어떻게 위령하고 기억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것이 없었다. 본 연구는 막부의 기록 등 당시 상황을 기록한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4대 쇼군 이에쓰나의 보좌역 역할을 하고 있던 호시나 마사유키가 재해사자의 처리에 깊게 관여했음을 밝히며 히닌(非人)들에게 사자의 운반과 매장을 담당케 했음을 지적했다. 재해사자들의 집단매장지로 선택된 곳은 당시 에도의 변두리 지역인 우시지마였는데 이 집단매장지에 막부는 ‘에코인’이라는 사원을 세워 재해사자를 위령토록 했다. 재해사자의 집단매장지에 위령을 위해 탄생한 이 사원의 처음의 명칭은 ‘쇼슈산 무엔지 에코인(諸宗山無緣寺廻向院)’이었다. 이 명칭과 초기 기록의 불명확함 때문에 에코인은 처음에 여러 불교 종파의 승려들이 참가하는 위령 의례가 이루어지는 초종파적인 사원으로 인식되었고 에도 시대, 근대, 현대를 거쳐 오늘날까지도 그러한 인식이 남아있다. 하지만 당시 사원신축과정과 위령 의례의 모습, 이후 정토종 사원으로 기록되고 산호가 ‘고쿠호잔(國豊山)’으로 변경된 점을 보건대 에코인은 처음부터 정토종의 사원으로 건립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오히려 처음의 사원 명칭은 ‘여러 종파(諸宗)에 속한 신원 불명 사자 즉 무연(無緣)의 재해사자가 극락왕생하기를 비는(回向) 사원’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에코인은 이후 에도 시대를 통해 메이레키 대화재의 재해사자를 위령하는 공간뿐만이 아니라 에도 시대의 지진, 기근, 화산분화의 재해사자의 위령의 공간, 이상사자와 동물의 위령공간으로까지 위령의 대상을 확대해나간다. 에코인이라는 사원은 막부의 명령과 비용부담에 의해 막부의 보리사의 주도에 의해 건립되었다는 점에서 근세 일본의 대표적인 공공적 위령 공간으로 평가하는 시각도 존재하나 ‘유일한 국가 위령 공간’이라는 시각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메이레키 대화재에 관해서는 독점적인 위령 공간으로서의 위치였지만 이후 에도 시대의 다른 재해사자 위령에서는 정토종을 대표하는 사원으로 다른 종파의 사원들과 함께 위령에 참가했기 때문이다. This paper analyzes through a case study of disaster deaths of early modern Japan, how disaster victims were treated and memorialized. The Great Fire of Meireki began at Honmyōji in Edo on the eighteenth day of January in 1657. The fire lasted for three days and destroyed more than sixty percent of Edo, the capital of Tokugawa causing a hundred thousand deaths. Analyzing various types of public and private records about the fire revealed that Hoshina Masayuki, the adviser to the 4th shogun, had suggested to the Shogun and Rōjū to build a mass burial of the dead at a single site. Usizima was chosen as the site of the mass burial and the temple for the dead. The Jisha-bugyō, supervisor of shrines and temples, went to Zōzōji and ordered the abbot to build a temple for memorial services. This was called Shoshūsan Muenji Ekōin, where memorial services began to be held. One of the interpretations of the name Shoshūsan Muenji Ekōin was the Ekōin was built as a trans-sectarian temple and it became a branch temple of Zōzōji, the great main temple of Pure Land Buddhism.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Ekōin was originally a Pure land Buddhism temple, and the name of temple was derived from consideration for disaster victims. The name Shoshūsan Muenji Ekōin means that the place for commemorating unidentified disaster victims of various Buddhist sects. Thereafter, Ekōin became a representative temple for disaster victims of Edo period, for disasters such as the Great Eruption of Mount Asamayama in 1783, the Great fire of Bunka in 1806, and the Ansei Edo Earthquake in 1855. Throughout the history of Ekōin in early modern Japan, it appeared that Ekōin was the exclusive national memorial temple for disaster victims. However, it was not the only temple for disaster victims funded by nation but one of temples among various Buddhist sects in many disaster cases.

      • KCI등재

        농업생태계 깔따구 유충의 다양성 및 우점종 닙폰깔따구를 이용한 유기물 분해능 평가

        심하식 ( Ha Sik Sim ),박병도 ( Byoung Do Park ),이영보 ( Young Bo Lee ),최영철 ( Young Chol Choi ),김종길 ( Jong Gil Kim ),박해철 ( Hae Chul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7 No.1

        농업생태계의 환경별로 깔따구류의 분포를 밝히고 우점종을 이용한 유기물 분해능을 평가하고자 대단위경작지, 친환경농업지, 생활하수 유입지, 축산폐수 유입지 및 주변수로 등의 5개 서식처별로 나누어 `04~`06년까지 각 구획을 대표하는 총 78개 지점에서 깔따구과 및 공서 무척추동물을 정량 채집하였다. 그 결과, 농업지대의 깔따구류는 총 16종으로 동정되었다. 서식지 유형별로 출현한 종수를 보면, 축산폐수 유입지에서 11종, 대단위농경지는 8종, 농경지 주변수로는 7종, 친환경농업지는 6종, 생활하수 유입지는 2종으로 조사되었다. 구획별로 나타난 우점종을 보면,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대단위경작지(A), 생활하수 유입지(C) 및 축산폐수 유입지(D)에서는 닙폰깔따구(C. nipponensis), 유기물 함량이 낮은 주변수로(E)에서는 숲아기깔따구(C. sylvestris), 친환경농업지(B)에서는 서산장부깔따구(Tanytarsus sesanensis)였다. 수질과 군집지수는 논주변의 수로에서 높았고, 대단위경작지, 친환경농업지, 생활하수 유입지, 축산폐수 유입지는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저질내에서 닙폰깔따구의 유기물 제거능력은 무처리구와 대비하여 90개체 처리구에서 18% 증가하였다. To recogniz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of chironomid midge in agroecosystem and evaluate removal capacity of organic matter using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m. Chironomid midge and invertebrate cohabitants were quantitatively collected at 78 representative stations of five habitat types (in arable land during 2004~2006) A, paddy fields of the large scale arable land; B, paddy fields of the environmental friendly arable land; C, influent of domestic waste water; D, influent of waste water by livestock; E, the irrigation ditch of paddy area. The total sixteen species of chironomid midges at arable land were presented. And also chironomid midges were recognized by five habitat types: eleven species in D, eight in A, seven in E, six in B, and two in C. We confirmed dominant species in each habitat types as followings: Chironomus nipponensis in A, C, and D; Cricotopus sylvestris in E; Tanytarsus seosanensis in B. Water quality and community index were high in E, but low in A, B, C, and D. Comparing with non-treatment, removal activities of organic matter in bottom by C. nipponensis were increased 18% in 90 individuals treatment.

      • SCOPUSKCI등재

        금속 코일 색전술로 치료된 기관지 확장증이 동반된 기관지 동맥류

        정현정 ( Hyun Jung Chung ),조재화 ( Jae Hwa Cho ),박병도 ( Byoung Do Park ),류정선 ( Jeong Seon Ryu ),곽승민 ( Seung Min Kwak ),이홍렬 ( Hong Lyeol Lee ),전용선 ( Yong Sun Jeon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6

        Bronchial artery aneurysm (BAA) is a rare entity that requires early diagnosis and immediate treatment due to the possibility of a life-threatening massive hemorrhage through rupture. The standard treatment is a surgical resection of the aneurismal artery. However, various embolization techniques, including coil embolization, are currently used as the optimal treatment because they are less invasive. A 65-year-old woman was referred for the treatment of intermittent hemoptysis. A chest CT scan showed an approximately 2 cm sized vascular mass with strong contrast enhancement originating from the right bronchial artery on the bronchiectatic parenchyma. On the angiogram, the inferior portion of the bronchial artery with a hypertrophic aspect and a huge bronchial artery aneurysm was detected on the left side branch. The bronchial artery aneurysm was embolized successfully with coils at the proximal and distal portion of the aneurysm. After coil embolization, the selective bronchial angiogram confirmed complete occlusion. We report this case of a bronchial artery aneurysm that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coil embolization. (Tuberc Respir Dis 2008;65:546-549)

      • KCI등재

        Deep Cutaneous Ulcer Caused by Serratia marcescens after Fresh Water Exposure

        Son, Dongwook,Lee, Jin-Soo,Cheong, Moon-Hyun,Lee, Kwangsoo,Park, Byoung Do,Lee, Moon-Hee,Kim, Jin Ju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6

        Serratia marcescens causes various diseases. Skin ulcer is one of S. marcescens related diseases, but it is rare clinical syndrome. We experienced a case of skin ulcer caused by S. marcescens in a woman with alcohol induced cirrhosis. After exposure to fresh water while trimming the codfish, she developed deep ulcer on her right hand and bacteremia by S. marcescens. S. marcescens should be considered as a specific etiology of skin infection presenting after fresh water expo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