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석축호안 보호공의 적정성 평가에 대한 연구

        박무종,최성욱,백천우,Park. Moo-Jong,Choi. Sung-Wook,Baek. Chun-Woo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5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해 하천에 설치된 제방과 호안이 자주 유실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제방을 보호하기 위한 대표적인 시설인 호안의 경우, 호안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공의 안전성과 적정성 분석을 위한 설계기준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8월 전라북도 구례시에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해 유실된 황전천의 석축호안 유실원인을 2차원수리해석모형인 SM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또한 계획 중인 석축호안 보호공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교각세굴보호공 설계방식과 호안공법 채택방식 및 하천설계기준에 의해 적합한 보호공의 제원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보호공의 제원과 계획안을 비교분석하여 계획 중인 석축호안 보호공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Recent climate changes have increased flood damage on bank and revetment. However design standard for revetment that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ility for flood protection is not enough in Korea. In this study, destruction of rock revetment in Guryecity caused by the flood on Aug 2007 was inquired by analysis using 2D hydraulic simulation model SMS and the propriety of established plan for protection of rock revetment was evaluated. For this purpose, the ranges of protection facility for revetment was calculated by two methods. The one is normal method to calculate range of pier scour protection facility, and the other is a method of the standard for river design in Korea. The results of both methods are compared to evaluate the established plan.

      • KCI등재

        지역별 재난관리를 위한 위험인자의 공간분포 해석: 1. 재해위험성 및 노출성 인자

        박무종,박민규,송영석,Park. Moo-Jong,Park. Min-Kyu,Song. Young-Seok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전국 59개 지점의 강우, 기온, 인구 자료를 이용하여 그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지역별 재난관리를 위한 재해위험성과 노출성 요인을 살펴보았다.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EOF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강수량, 기온 측면에서 가장 재해위험성이 큰 지역은 강원도 영동 이었으나 이 지역은 노출성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볼 때 노출성은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주변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수해를 유발하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단기간 및 장기간 연최대치 강우량계열을 구축하고 연최대호우사상의 지속기간과 강도특성을 EOF 해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규모가 큰 단기간(1시간) 집중호우의 경우 내륙지역 주로 소백산맥의 지리산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양상을 가지고 있었다. 연최대호우사상의 강도특성에 관한 EOF 분석에서 이 지역에서 집중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장기간(24시간) 최대강우량은 우리나라 3대 다우지역인 경기북부, 강원영동, 그리고 남해안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으며 연최대호우사상의 지속 기간 특성에 관한 EOF 분석에서 이 지역의 강우의 지속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In this study, rainfall, temperature and population data at 59 cities over the Korean peninsula are spatially analyzed for the assesment of hazard and exposure of the regional disaster management. The EOF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for spatial distributions of rainfall and temperature is applied. Youngdong region in Gangwon province was the most hazardous area when considering rainfall and temperature. However, the exposure factor, population is relatively greater in the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In order to assess the factors causing floods, the annual maximum rainfall depth series and the annual maximum storm event series are also analyzed using the EOF analysis. The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include 1 hour as the short duration and 24 hour as the long duration. The short duration maximum rainfall depth occurs at Jiri mountain region and it was analyzed as the reason for that phenomenon that the big intensity of the annual maximum storm event is focused around this area. The long duration maximum rainfall depth occurs at the northern area of Gyeonggi province, Yongdong region in Gangwon province and the region near the South sea. It is associated with this phenomenon that the duration characteristics of storm events have the strongest persistence at these areas.

      • KCI등재

        GIS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유사량 산정 및 유사발생과 침수위험도 관계 분석

        박무종(Park Moo Jong),전환돈(Jun Hwan Don),신민철(Shin Min Chul)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7 No.3B

        도시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사는 관거로 유입되어 통수능을 감소시켜 하절기에 발생하는 국지적인 내수 침수 위험도를 높이는 원인중 하나이다. 이러한 문제를 위한 관리방안의 수립을 위해서는 도시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사의 지역적 범위와 규모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사발생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소유역내 토지이용에 따른 면적을 산정해야한다. 그러나, 도시유역은 다양한 토지이용이 복잡하게 혼재되어 수작업을 통한 토지이용 추출이 거의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의 새로운 활용의 하나로 도시지역의 토지이용별 면적 및 유사량 산정을 위한 GIS 기반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도시유역을 하수관망을 기초로 소유역으로 구분한 후 각 소유역별 토지이용별 면적과 도로제원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소유역별 유사발생량과 단위면적당 유사발생량을 산정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을 군자배수구역에 적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유사발생량과 침수위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소유역을 유사발생량에 따라 순위를 정한 후 GIS를 이용하여 침수지역과 공간비교 하였다. 분석결과 유사발생량이 큰 소유역이 침수발생지역과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발생되는 유사가 지역의 침수위험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ediments in urban watersheds coming into sewer pipes reduce conveyance of sewer pipes and it is one of the reasons increasing inundation risk during the summer season. To establish management plans for this problem, it is required to estimate the range and the amount of sediments in urban watersheds. Before quantifying the amount of sediments, the area of individual land use in each subbasin should be obtained. However, because of the complication in landuse of an urban watersh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obtain it by manual ways. Thus, as a new application of GIS for water resources engineering,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o obtain landuse area of each subbasin and to estimate the amount of sediments. Using GIS, an urban watershed is divided into subbasins with respect to sewer layout and then for each subbasin, the area of individual landuse including road is estimated. Based on results from applying GIS, sediments per unit area can be calculated as well as the amount of sediments for each subbasin. The suggested method is applied to the Goon Ja watershed in Seoul to verify its applicability.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diments and inundation risk, subbasins are ordered by the amount of sed?iments per unit area and compared with historical inundation areas of the watershed by using GIS. From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subbasins with higher order are matched with the historical inundation areas of the watershed.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sediments may increase inundation risk.

      • KCI등재

        초과강우에 대한 우수관망 신뢰도 평가 기법

        이정호,박무종,Lee. Jung Ho,Park. Moo Jong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4

        우수관망의 신뢰도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 중 우수관망에서의 파괴 현상을 초과 강우 사상들에 대한 월류 발생 현상으로 정의하고 이에 따른 신뢰도 산정 방법인 RSDMM(Reliability of Sewer system using DMM)을 제안한 바가 있다. 이때 RSDMM 산정을 위한 매개변수로는 초과 강우 사상들에 대한 관망 내 월류 발생량 및 발생 지점 개수가 되며, 이때 이 두 가지 요소는 단위와 차원이 다르므로 거리척도방법(Distance Measure Method, DMM)을 이용하여 하나의 정량화된 신뢰도를 산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서 제안된 우수관망 신뢰도 산정식 및 산정 절차는 적용 대상이 되는 초과강우 사상들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짓지 못하고 있다. 즉, 적용되는 초과강우사상에 따라서 월류의 발생 현상이 명확히 차이남에도 불구하고 단순 평균하여 신뢰도를 산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관망 신뢰도 산정을 위한 적용 대상 초과강우사상의 범위를 명확히 규정지었으며, 또한 빈도별 초과강우사상에 따른 월류 발생량 및 발생 지점 개수에 대한 스케일 조정을 통하여 하나의 정량화된 신뢰도를 산정할 수 있도록 기존의 RSDMM 산정식을 개선하고 산정 절차를 새롭게 수립하였다. One of the researches about the reliability of storm sewer network defined the sewer system failure as the overflow occurrence for the rainfall events and suggested the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 of storm sewer network, RSDMM(Reliability of Sewer system using DMM). In this study, the parameters to estimate the reliability are the overflow volume and the number of the overflow manholes in the storm sewer network. In order to estimate the reliability, this method used the Distance Measure Method (DMM) to estimate the distance between the parameters while the units and dimensions of each parameter are different. But, the frequency boundary of applied rainfall events was not clear although the reliability results can be different when the boundary of rainfall event`s frequency is different. That is, the RSDMM is estimated as the average of overflows for each excessive rainfall event although the overflow occurrenc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applied rainfall frequencies.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mprove the RSDMM, in this study, the frequency boundary of applied rainfall events was defined clearly and the scale control between the number of overflow nodes and overflow volume was organized. Then, the reliability of sewer network is estimated a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and this new suggested method improved the RSDMM of Lee`s study.

      • KCI우수등재

        FESWMS-2DH 모형에 의한 한강 하류부의 수리특성 분석

        윤용남,박무종,Yoon, Yong Nam,Park, Moo Jong 대한토목학회 199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미국 교통성에서 개발된 2차원 수리계산모형인 FESWMS-2DH를 갈수기 감조구간인 잠실수중보와 신곡수중보 구간에 적용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수위관측자료와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유속과 수위를 계산하였다. 이 모형은 Galerkin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부정류 해석을 할 수 있으며 삼각형 요소와 사각형 요소를 혼합하여 요소망을 구성할 수 있다. 모형의 적용결과 유속분포 및 수면형과 질량 유출입 보존 등의 면에서 정밀성과 안정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수질관리 및 새로운 인공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본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FESWMS-2DH developed by th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based on two-dimensional shallow water wave equation is used in this study to simulate the flow characteristecs of the river reach between Chamsil and Shingok submerged weirs, which acts as a tidal river under low flow conditions. The model uses Galerkin F.E.M and meshes are composed of triangular or quadrangular elements. The model shows accurate and stable results concerning mass conservation as well as velocity distribution and water surface eleva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s on the planning of river pollution abatement measures and artificial structures.

      • KCI등재

        SWAT 모형을 이용한 수변완충지대 설정에 따른 토사유출량 저감 효과분석

        최대규,박무종,김재철,김상단,Choi, Dae-Gyu,Park, Moo-Jong,Kim, Jae-Chul,Kim, Sang-Dan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4

        수변완충지대는 토지로부터 나오는 오염물질의 하천으로 직접유입을 차단하고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수변완충지대 설정에 따른 유역에서의 저감효과를 분석하는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WAT모형을 이용하여 Arcview GIS상에 병성천 유역 모형을 구축하고 SWAT모형에서의 filter strip기능을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 설정에 따른 토사 유출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모의결과 저감효과가 큰 곳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토사유출량 관측지점인 유역 출구지점과 가까운 소유역에서 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보였다. 또한 수변완충지대의 폭을 달리하여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한 결과 5-10 m의 수변완충지대 폭이 그 저감효율이 가장 큰 것으로 보였다. Riparian buffer zone prevents sediment entry into drainage channels or as a protection from runoff and wind erosion. However, Studies about its removing effect according to Riparian buffer zone are shorted now. In this study, using the SWAT model, Byongseong watershed is built on the Arcview GIS. Using the function of the filter strip in SWAT model, it is also examined about the variation of sediment yield. As a simulation result, the case of constructing riparian buffer zones at subbasins near the outlet shows generally high efficiency on removing sediment yiel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enario analysis of changing riparian buffer zone width, it is thought that 5-10m riparian buffer zone width is the highest efficiency on removing sediment yields generated from Byeongseong water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