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명한 공직(公職)사회를 위한 시민 주도적 참여형 모바일 플랫폼 제안

        강하영 ( Kang Ha-young ),윤재영 ( Yun Ray Jae-young ),김다형 ( Kim Da-hyeong ),마에다란 ( Maeda Ran ),손유진 ( Son Yoo-jin ),손희수 ( Son Hee-su ),장순규 ( Jang Soon-kyu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5 No.-

        본 연구는 투명한 공직사회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 시민주도적 참여형 플랫폼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먼저 공직사회에 대해 정의하고 집단지성의 출현에 따른 공직사회환경의 변화와 현존하는 국내 집단지성 플랫폼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후 기존 플랫폼을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들의 고충(Pain Point)을 파악하기 위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더 깊은 인사이트를 위해 공직사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추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과 이해관계자 모델링(Stakeholder Map), 사용자여정지도(User Journey Map)를 통해 이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각각의 접점 (Touch Point)마다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이렇게 파악된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점을 핵심전략제안에서 각각 세 가지로 선정·제시하였는데,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새로운 모바일 앱 ‘코난’의 프로토타입을 디자인하고 후에 사용성 검증(Think Aloud)을 통해 사용자들의 의견을 듣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시민들이 직접 공직사회에 대한 객관적 성과정보를 제보하고 이를 검증하는 모바일 기반의 새로운 형태의 공직사회전문 플랫폼 제안을 시도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suggested a community leading participation platform service to make contributions in creating a transparent public office. Through a theoretical analysis, the public office was first defined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changes in the public office environment following the emerge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s well as the domestic 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 This was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to identify the pain points of general users for the previous platform and an additional interview was executed with specialists who are directly and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ublic office in order to gain deeper insight and it was arranged through affinity diagram, stakeholder map, and user journey map. Through this, a service that is needed for each touch point was identified. The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and the solutions that followed were selected and suggested into three kinds in the key strategy suggestion.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ed the prototype of the new mobile application, 'Conan' and conducted the process of taking in opinions of the users through usability verification, Think Aloud.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clude how the community provided objective performance data about the public office and attempted to suggest a new mobile based public office specialized platform that verifies it.

      • 스마트폰 인공지능 카메라 사용자 경험 연구

        손유진(Yoojin Son),강하영(Hayoung Kang),마에다 란(Maeda Ran),사곤(Xie Kun),위키(Wei Qi),이재한(Jaehan Lee),윤재영(Jaeyoung Yun)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최근 스마트폰의 새로운 트랜드로 `카메라`가 주목받고 있다. 전 · 후면에 듀얼 카메라 혹은 그 이상의 렌즈를 장착하거나 초고속 촬영에 특화된 카메라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인공지능, 머신러닝 등 소프트웨어와 반도체의 기술 발전으로 싱글 카메라로 멀티 카메라의 효과를 낼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개발 중심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에는 인공지능(AI)이나 증강현실(AR) 등 미래 기술과 접목된 카메라 기능을 담아내고 있으며, 그중 현재 `인공지능 카메라`는 모바일의 새로운 기능으로 가장 큰 화두가 되고 있다. 2018 년부터 모바일 인공지능 카메라가 상용화되어 일반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선호도 연구에 있어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다양한 세대의 사용자에게 있어 지속적 사용과 효용성에 있어 가치가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베이비붐, X, Y, Z 세대별로 사진촬영 실험과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사용자의 경험전반에 걸친 만족도와 각 세대에 따른 경험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인공지능 카메라의 향후 발전 기회들을 참고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