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명한 공직(公職)사회를 위한 시민 주도적 참여형 모바일 플랫폼 제안

        강하영 ( Kang Ha-young ),윤재영 ( Yun Ray Jae-young ),김다형 ( Kim Da-hyeong ),마에다란 ( Maeda Ran ),손유진 ( Son Yoo-jin ),손희수 ( Son Hee-su ),장순규 ( Jang Soon-kyu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5 No.-

        본 연구는 투명한 공직사회 조성에 기여하기 위해 시민주도적 참여형 플랫폼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먼저 공직사회에 대해 정의하고 집단지성의 출현에 따른 공직사회환경의 변화와 현존하는 국내 집단지성 플랫폼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후 기존 플랫폼을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들의 고충(Pain Point)을 파악하기 위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더 깊은 인사이트를 위해 공직사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추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과 이해관계자 모델링(Stakeholder Map), 사용자여정지도(User Journey Map)를 통해 이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각각의 접점 (Touch Point)마다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이렇게 파악된 문제점과 그에 따른 해결점을 핵심전략제안에서 각각 세 가지로 선정·제시하였는데,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새로운 모바일 앱 ‘코난’의 프로토타입을 디자인하고 후에 사용성 검증(Think Aloud)을 통해 사용자들의 의견을 듣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시민들이 직접 공직사회에 대한 객관적 성과정보를 제보하고 이를 검증하는 모바일 기반의 새로운 형태의 공직사회전문 플랫폼 제안을 시도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suggested a community leading participation platform service to make contributions in creating a transparent public office. Through a theoretical analysis, the public office was first defined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changes in the public office environment following the emerge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s well as the domestic 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 This was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to identify the pain points of general users for the previous platform and an additional interview was executed with specialists who are directly and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ublic office in order to gain deeper insight and it was arranged through affinity diagram, stakeholder map, and user journey map. Through this, a service that is needed for each touch point was identified. The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and the solutions that followed were selected and suggested into three kinds in the key strategy suggestion. Accordingly, this study designed the prototype of the new mobile application, 'Conan' and conducted the process of taking in opinions of the users through usability verification, Think Aloud.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clude how the community provided objective performance data about the public office and attempted to suggest a new mobile based public office specialized platform that verifies it.

      • KCI등재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을 위한 대학 도서관 O2O 서비스 제안

        황승희 ( Hwang Seung-hee ),엄주현 ( Um Ju-hyun ),설현주 ( Sul Hyun-ju ),이민영 ( Lee Min-young ),윤재영 ( Yun Ray Jae-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웹 3.0으로의 발전에 발맞춰 대학 도서관3.0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서관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 전략으로 활용될 O2O(Online-to-Offline) 서비스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후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대학 도서관에 얽힌 이해관계자들의 고충을 파악하고자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분석을 위해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을 사용하여 도서관 사용자의 니즈(needs)를 확인하였다. 이해관계자 및 도서관 관련 채널 사이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해관계자 모델링(stakeholders map)을 실시하였고, 사용자 여정지도(user journey map)를 통해 도서 선정부터, 대출 및 반납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나열하여 상황별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필요한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발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에서 파악한 O2O 서비스의 주요 특성을 핵심 전략으로 선정하여 대학 도서관 모바일 앱(app)에서 제공할 주요 기능 세 가지 (1) 실시간도서의 현 위치와 상태 정보, (2) 사용자 맞춤형 도서추천, (3) 양도 대출 및 반납을 선정하였다. 각 기능은 O2O의 특성에 따른 전략으로서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타당성을 지닌다. 이러한 메인 기능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새로운 모바일 앱 `다독다독` 프로토타입을 디자인하였다. 후에 프로토타입을 통해 사용자에게 과업을 제시하고 수행 중에 사용자의 의견을 듣는 사용성검증 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는 향후에 도서관 서비스가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는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focuses on university library services and proceeds to provide Library 3.0 services corresponding to Web 3.0. In order to provide library 3.0 service, we analyzed current usage of library and analyzed main characteristics of Online-to-Offline service to be used as core strateg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lso, we conducted an in - depth interview to understand the user `s painpoint by listening to the user` s own voice. Through interviews, we confirmed the needs of users. Based on this data, we conducted stakeholders map to grasp the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library users, managers, and library related channels. Stakeholders map directly identifies the inconveniences of library users and administrators or their respective channels. After that, user journey map was conducted to select a book, identify a series of processes from loaning to returning, and determine what kind of service is necessary for each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user journey map, we were able to see how the painpoints of the users which was identified in the in-depth interviews occurred in each itinerary. To improve this, we select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to-Offline service that was identified in the theoretical review as the core strategy and selected the main functions to be provided in the new university library mobile app. There are three main functions. First, it provided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status of the book in real-time. Second, it provides user-customized book reviews in the mobile app home screen. Finally, it provides the function that enables library users to remotely loan and return the books outside of the library. Each function has the technical merit that it can be util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to-Offline service. Through prototyping, users were presented with tasks to perform usability tests to hear their opinions directly. As a result, we conducted research with the significance of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library services.

      • KCI등재

        독거노인 지원 개선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제안

        유다미 ( Yu Da-mi ),김혜인 ( Kim Hye-in ),박진원 ( Park Jin-won ),이사랑 ( Lee Sa-rang ),하효정 ( Ha Hyo-jung ),윤재영 ( Yun Ray Jae-yo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7 No.-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고령화사회에 접어 들었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늘어나는 노인의 수 만큼이나 독거노인과 그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지원 및 관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독거노인의 증가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를 알아보고 그 해결방안으로 봉사와 기부에 상대적으로 호의적인 청년(학생)층을 유입할 수 있는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관찰조사를 통하여 독거노인, 청년(학생), 어르신 돌봄 센터와 같은 이해관계자를 도출하고,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 통하여 각 이해 관계자 간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크게 `봉사하기`, `기부하기` 기능으로 나누어 신청단계를 간소화하였다. 또한 시간기부인 봉사를 통해 획득한 `베리` 포인트는 물질적으로 지정기부를 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들을 모바일앱 프로토타입으로 제작 하였고 1차, 2차에 걸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독거노인 문제 해소와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기부문화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Korea already became a fast aging society in 2000 and there is a forecast of becoming a super-aged society by 2026. As the number of the aged increases, the issue related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aging society is becoming more serious but there is an insufficiency in supporting senior citizens and managing the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occurred by th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o obtain a solution for the problems and suggest a service design to attract young people in their 20s, who is more likely to favor voluntary service and donation for solution. For a study method, an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selecting people who are engaged in senior care center, students in their 20s, and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conducting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m and the problems occurred among those interested parties. The application steps were being simplified by dividing them into major categories, `performing voluntary service` and `donating`, to solve the problems. Also, `berry` points obtained by a voluntary service, which is an essentially time-donating, is available for designated financial donation. Those functions were manufactured as a mobile application prototype and first and second usability tes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reation of new donation culture with students in their 20s and solution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