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운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홍유 ( Houng Yu Kim ),이종구 ( Jong Gu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1

        최근 들어 복잡한 경제 환경과 취업 및 창업시장에 대한 고객 요구의 다양화로 창업시장이 더욱 전문화 및 세분화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탄생한 것이 대학내의 창업보육센터이다. 그러나 초기 출범당시와는 달리 시대의 흐름과 시장의 요구에 맞지 않는 비효율적인 부분들이 존재하고 있는 형편이다. 또한 대학의 창업보육센터가 대학의 평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대학들이 이에 대해서 정책적 접근과 방법에 대해서 많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ata Envelopment Analysis(DEA)를 통해 대학 내의 창업보육센터 업무 및 성과에 대한 운영효율성 분석을 하였다. 현재 대학의 창업보육센터는 출범 역사가 짧고 전문화ㆍ특성화가 되지 않아 운영의 효율성이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최근 들어 경기침체와 더불어 대학생들을 비롯한 청년실업 문제로 인해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의 관심은 오로지 미래의 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날로 높아 가고 있는 현실에 있다. 또한 사회적인 이슈로 인해 국민들의 관심 증가로 많은 대학들이 창업과 관련하여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으며, 여기에 따르는 연계된 여러 취업정책들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관심에 비해 창업관련 전문 인력과 취업과 연계를 위한 취업지원시스템이 단시일 내에 갖추어지기란 매우 힘든 일이다. 따라서 현재 정부를 비롯하여 많은 대학들이 창업보육센터 특성화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서 접근을 하려는 노력들을 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4년제 대학의 창업보육센터의 제반시설여건 등의 관련자료 조사를 통해서 각 대학별로 창업보육센터의 운영효율성 실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창업보육센터의 정책과 연계한 취업지원 체계에 대해 모색해보고, 향후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운영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적인 입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운영효율성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이를 평가 할 수 있는 운영효율성 측정기법을 모색하였으며, 효율성 측정 기법으로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분석방법을 통하여 각 대학내 창업보육센터의 운영효율성을 측정하여 보고, 각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비효율성 존재에 대하여 규명 하였다. 마지막으로 DEA 방법으로 측정된 효율치와 효율성 평가를 바탕으로 창업보육센터 업무 운영효율성 평가와 문제점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DEA 기법의 실증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 결과는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효율성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서비스업 중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투입-산출 과정을 입주기업 배출 및 유치에 초점을 두어 DEA 기법을 적용하여 상대적 효율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효율성분석에 처음으로 DEA 방법을 적용해 보았다. 둘째, DEA 기법을 이용한 가장 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들로 구성되는 경험적효율성 프론티어(empirical efficiency frontier)를 산출하였다. 셋째, 비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들의 준거집단을 구성하는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들의 빈도를 조사하여 비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벤치마킹 대상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넷째, 각각의 비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들이 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가 되기 위해 달성 가능한 투입물의 이상치를 제시하였다. Recently, starting business market has been more specialized and subdivided because of complicated economic environment and diversity of customer needs about employment and starting business market. Based on this situation, business incubator centers were established in universities. However, they have inefficient parts which are not appropriate for the current of time and market needs unlike the early stage when they were founded. In addition, universities are confused about the approach and way to policies even though they have a huge impact on the evaluation of the universitie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work and result about business incubator centers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Now, business incubator centers can be said that they do not have any operational efficiency because the history is short and is not be specialized and subdivided. Recent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ich is not only recession but also unemployment crisis among the young including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re interested in only starting business in the future. Also, with people increasingly interested in due to social issues, lots of universities are expanding their infra which is related with starting business and establishing connected employment policies. However, as compared to a lot of interests, it is very hard to prepare employment professionals and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which can be related with employment in short period. Therefore, now the government and lots of universities are trying to approach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specializing business incubator center.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bout the each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searching the related data including general condition of the business incubator centers`` facilities in universities which are located in Seoul. Using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nts to seek appropriate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which is connected with policie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 and also want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making programs and policies which can make operational efficiency of work maximize. The focuses of this study are followed. At first, we seek a method of measurement for operational efficiency which can evaluate based on the conception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measur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each university through DEA as the method of measurement, and find out work inefficiency which is existed in each business incubator center. Lastly, we analyze them to provide the ways to improve problems on the evaluation for work operational efficiency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based on the efficiency and the evaluation which are measured by various DEA methods as our purpose.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DEA method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is result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to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First, we try to analyze relative efficiency using DEA methods focused on producing and attracting firms as the work input-output proces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among the service industry. It is the first to apply DEA methods for analyzing work efficiency of business incubator center in universities. Second, we compute the most efficient empirical efficiency frontier which consists of work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Third, we provide the standard of object for benchmarking about work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through researching frequency of work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which consist of inefficient their reference group. Forth, we provide ideal amount of input which is achievable for each inefficient work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to be efficient work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 KCI등재

        국제사회 : 재 한국 중국 유학생의 직업의식 특성에 따른 효율적 진로상담 방안에 관한 연구

        김홍유 ( Houng Yu Kim ),이종구 ( Jong Gu Lee ),강재식 ( Jae Shik Kang ) 국제지역학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최근 들어 대학의 글로벌 교육이라는 슬로건 하에 많은 외국대학과 교류에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최근 수년간 우리나라에 유학 오는 외국 학생수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은 전무한 형편이다. 특히 개인의 생애설계와 관련된 진로지도 및 상담과 관련된 지원프로그램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에 유학중인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의식 특성에 따른 진로상담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연구 조사한 논문이다. 연구 결과 중국 유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등의 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경향에서는 거의 비슷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직업의식이 경제적인 측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점점 어려워져 가는 세계 경제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 유학생들도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고, 평생직업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직업의식을 교육 받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은 드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들이 우리사회에 올바른 정착과 직업생활을 위해서는 올바른 직업의식을 알리고 교육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We have been analyzed by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professional preparation, employment, and career life aimed at Chinese students. There is a tendency that overall trend is almost the same, even though there might be a smal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gender and scholastic year. Especially, a drift to the economic asp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is a reflection of increasing hardship on our society. In spite of now is the era of disappearing permanent job and being changed to the concept of lifelong career, there is exceedingly rare places for getting education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or related information. It is needed to inform upright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to educate the Chinese students.

      • KCI등재

        취업률과 취업인프라 사이의 사회 네트워크 구조변화에 따른 예산효과에 관한 연구: K대학을 중심으로

        김홍유 ( Houng Yu Kim ),이종구 ( Jong Gu Lee ),김병석 ( Byung Suk Kim ) 한국생산성학회 2013 生産性論集 Vol.27 No.4

        The university have provided a various infrastructure of employment support for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This study explored a relationship between a various infrastructure of employment support and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Colleges of university provided a difference of infrastructure. Network by this relationship was formed. A structure of formed network explored with SNA(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was explored a difference structure of social network and a difference relationship between budget and a percentage of employment. A result of simulation was a effect of budget by a difference structure of social network.

      • KCI등재

        한국 대학입학제도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탐색적 연구

        김홍유 ( Houng Yu Kim ),이종구 ( Jong Gu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9 유라시아연구 Vol.6 No.2

        그 동안 우리나라는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하여 많은 논란과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기본적인 기능은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적격자를 선발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이 도를 넘어 과열양상을 띄고 있고, 더 나아가 하급교육 기관에 상당한 영향까지 미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한 정책은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되었다. 지금까지 대학입학전형제도에 관한 한 각 대학은 교육의 수월성을 근간으로 한 우수학생의 유치였다. 이러한 정략적 수월성에 근거한 선발 방식은 대학 입학 자원의 다양성 확보와 다양화 시대에 걸 맞는 창의적이고 유능한 인재를 선발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많이 제기되어 왔다. 수월성에 근거한 “우수학생”이라는 개념이 학업성적 우수자라는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 결과 상당 부분 대학자율에 맡겨진 입학제도 아래에서도 대부분의 대학은 학업성적이 주류를 이루는 입학전형 방식의 틀에 묶여 있었다. 이로 인해 하급 교육기관인 초·중·고등학교에서는 입시위주의 교육이 불가피했고, 수업과 평가가 정상궤도에서 벗어나 파행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교육은 그 본질에서 벗어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러한 교육제도 하에서는 하위의 초·중 등 교육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쳐서 전반적인 교육시스템의 근간을 좌지우지되게 했으며, 그 결과 입시를 위한 점수경쟁 교육으로 변질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입시시스템은 그 동안 교육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의 다양성 확보에 큰 걸림돌로 작용 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입시정책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는 대학입학전형제도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입학사정관제의 도입과 학교 교육 정상화를 위한 2008학년도 이후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개선안을 발표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안의 적용을 위해서는 일선대학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입학전형제도의 개발이 시급하고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고, 새로이 시작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각계의 노력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입학사정관 제도는 바로 대학입시의 큰 줄기라고 할 수 있는 대학의 자율성 확보와 공교육 정상화라는 상충되는 가치를 적절히 반영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들어선 새 정부는 「대입 3단계 자율화」 방안을 수립하여 공교육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대학의 자율적인 학생선발권을 점진적으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대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는 바로 이 두 가치를 적절히 조화시킬 수 있는 제도로서 대입 3단계 자율화의 안착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대학입시 정책이 단순한 계량적 판단에 따른 수월성 확보에서 정성적이고 특성화가 고려된 다양성 확보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대학의 경쟁력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것은 입시경쟁에서 단순한 “경쟁과 선택”이라는 입시제도에서 대학들이 벗어나야 한다. 이러한 제도의 변화는 대학뿐만 아니라 대학입시를 앞둔 학생과 학부모들도 만족할 것이다. 따라서 근본적인 입시제도의 변화와 혁신 없이 성공적인 정책이 나올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성에 근거한 대학입학사정관 제도와 함께 대학입시제도의 다양성 확보에 대한 탐색적 성공요인 분석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Until now, we have been experiencing for disputable and changeable Academic Admission System. The principle purpose of Academic Admission System is to select qualified person who can enter into the university. Major policies on the higher education include admissions officer system along with policy for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universities, which has been promoted with great emphasis. As universities have defined students as excellent with higher score in nationwide examinations and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at school for many year, there have been constantly questions raised in validity of the student selection process and crippled opera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This procedure is being nowadays over aspects, and furthermore it is affecting great influence to lower education facilities.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became a matter of interest to national wide. Until now, the matter of relating to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s for enticing bright students in the base of each university education`s easiness. However, the conception of “bright student was stucking in for choosing students who are best in academic grade. In the result, even though the admission system was committed to each university, most universities were stucking in the way of choosing by education grades. By this, at highschool, educating students for entering into the university was inevitable, and classes and evaluation were going beyond the base of education. To dissolve these problem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nounced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 after 2008 for introduction of admission system and the normal school education in the basis of acquiring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diversity. To apply this kind of improvement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dmission system for lowering the dependence on grades of each university`s SAT, and this is being important issue. Now each part endeavors for the success of admission system after 2008. We have frequently been exposed to the idea of paradigm shift from selection competition to education competition concerning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This debate seeks to change the function of competition and selection which is exercised through the curren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to the function of preference and applic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thus bringing revolutionary change to the curren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So, this research is being focused on analysis of exploratory success factor with diversity of admission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공채문화의 사적 전개과정과 시대별 특성 비교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80년대 이후 대기업 공채문화(채용제도,필기전형,면접방식,인재상) 중심으로-

        이종구 ( Jong Gu Lee ),김홍유 ( Houng Yu Kim ) 한국경영사학회 2010 經營史學 Vol.54 No.-

        1980년대 이후 대기업·대학사회·구직자들을 중심으로 출현한 한국의 취업문화는 최근 30년 동안 문화적인 변혁과정을 반복하며 가파르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형성된 한국 취업문화의 하위 구성요소인 공채문화의 사적 전개과정을 종합적·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 공채문화는 시대별 산업환경과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특징이 현격히 다르다. 1980년대는 대규모 정기공채 시대인 만큼 경쟁적인 취업환경이 조성되었으며 채용제도가 공채문화를 주도해왔다. 1990년대는 블루라운드, IMF 사태 등 급변하는 국내외환경으로 인해 공채문화의 초점이 기업들의 새로운 `인재상` 정립 쪽으로 모아졌다. 2000년대 공채문화의 핵심은 `면접방식` 이다. 글로벌 대기업들이 우수인재확보를 위해 새로운 면접시스템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1980년대 이래 전개되어온 한국 공채문화의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과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채용제도는 1980년대 정기공채 단일방식에서, 최근 수시채용·인턴사원제·추천제·캠퍼스리크루팅 등 채용창구가 매우 다양화 되었다. 둘째, 필기전형은 시대별로 기초지식평가, 직무능력평가, 종합인적성평가 순으로, 인재의 기초지식·인성·직무능력을 평가하는 총체적인 인재평가기법이 도입되고 있다. 셋째, 면접방식은 시대별로 인성평가, 잠재능력평가, 직무역량평가 순으로, 면접의 평가대상이 인성중심에서 직무역량중심으로 급격히 선회하고 있다. 넷째, 인재상은 시대별로 관리자형 인재, 창조형 인재, 전략가적 인재 순으로, 혁신적 사고를 지닌 비즈니스지향적인 인재가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이래 급격한 변화과정을 거쳐온 한국의 공채역사를 공채문화적인 관점에서 시대별·환경별·기업별로 체계화 시키는 동시에 공채문화의 구성요소인 채용제도·필기전형·면접방식·인재상 등의 전개과정과 특성까지도 비교분석하는 데 그 취지를 두고 있다. 또한 향후 보다 발전된 공채문화를 유인하고 정착시키는 데 필요한 공채문화의 구성요소별 사적자료 및 문화적인 정보를 구축한다는 의미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n considering and analyzing development process of recruiting culture which was formed as sub elements of Korea`s employment culture since 1980`s. Since 1980`s, Korea recruiting culture`s organization elements have following characteristic and implication. First, recruiting system changed from mono method of regular recruiting to various methods like irregular recruiting, internship, recommendation, campus recruiting. Second, written screening changes as basic knowledge assessment, job competency assessment, comprehensive aptitude test by age and overall talent assessment is introduced which evaluates basic knowledge, personality, job capacity of the talented. Third, interview method changes as personality assessment, potential, capability assessment in age. Assessment subject of interview rapidly turns from personality-centered to capability-centered. Fourth, Right People changes as manager type talent, creator type talent, strategist type talent by age. rising talent is a business- oriented person with innovative thinking.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systematically approach recruiting history of Korea that went through rapid revolution process since 1980`s by three sectors; age, environment, enterprise in aspect of recruiting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to compare, analyz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characteristic of organization elements such as recruiting system, written screening, interview method, Right People. Also, it contains meaning that it is to build historical data and documents by organization element of recruiting culture necessary for alluring and fixing more developed recruiting culture in near future.

      • KCI등재

        국내 대학 취업진로기구 운영실태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호원 ( Ho Won Kim ),이종구 ( Jong Gu Lee ),김홍유 ( Houng Yu Kim ) 한국생산성학회 2011 生産性論集 Vol.25 No.1

        The focus of this study is comparing and analyzing four-year universities and community colleges, public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on system, program, human·material infrastructure of organization of Career Center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n suggesting direction that domestic universities should be going to in the future. To do it, this study implemented t-test for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four-year universities and community colleges, public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and consequently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per employee, job subject and counsel program of enrolled students, proportion of club participation and job application of the unemployed after graduation appeared slightly higher in community colleges than in four-year universities. But in the difference of public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in the employment budget per individual student and job subject and counsel program of enrolled students public universities are somewhat superior to private universities,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just only in the proportion of participation of job subject and even though there is little difference, public universities are superior to private universities in the number of students per job application employee, job application of the unemployed after graduation, proportion of club participation of enrolled students.

      • KCI등재

        한·미간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구성하는 정보기술 선호도 비교 연구: IT 인공물과 내용 분석

        김병석 ( Byung Suk Kim ),김홍유 ( Houng Yu Kim ),안서규 ( Seo Kyoo Ahn ),송병선 ( Byung Sun So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1

        모바일 기술과 서비스는 빠르게 발전하고 성장하면 확산되는 추세이다. 이런 환경에서 모바일 뱅킹 서비스는 주목받는 서비스 중에 하나이다. 이 모바일 뱅킹서비스는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기반의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구현하는 정보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술은 무엇이고 어떤 서비스를 위해서 어떤 기술을 사용하는 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람들이 선호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정보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디자인이다. 그래서 이 디자인 이론의 관점에서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또한 이 서비스의 관점은 내적 효율성에서 외적지형인 고객관점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 방법을 통하여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구현하는 정보기술과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즉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구성하는 정보기술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요구특성을 반영해야하는 데, 이런 특성을 구현하는 것을 디자인이라고 한다.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초기 디자인 특성은 기술 중심에서 고객 중심으로 이동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이론에 기반 하여 고객중심의 IT구성 요소를 설명하고,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서 IT구성 요소 사용에 대한 한 ·미 양국 간의 차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결과는 편재성과 접근성 및 보안 등이 실제 사용에 영향을 미치고,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정보기술에 대한 선호도는 한·미간에 부분적인 차이를 보인다. Mobile technology and services is rapidly developed and dispersed in the world. Mobile business also is the growth industry. In mobile environment, a mobile baking service is remarked newly. This service is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IT), and consists of components of IT. As developed these components of IT, service providers should comprehend a meaning and willing of contemporary of users. Implementing these components of IT is a design. A purpose of design of these services is moved into customer perspective of external factors instead of internal ones by technological effects. This study empirically tested characters of mobile banking services through views of IT artifacts. This is, IT components as artifacts involve specific meaning and willing of people. In order to know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mobile banking services and usage, this study tested IT components. We measured a degree of IT components` importance of mobile banking services. This study is analysis of preference IT elements to consist of services of mobile banking. Tested results are that Ubiquity and Reachability, and security influenced to usage. And finding of this study is partially difference to preference IT elements to consist of services of mobile banking between Korea and America.

      • KCI등재

        창의성이 품질경영 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곽영환(Kwak, Young Whan),권혁대(Kwon, Hyuk Dae),서창적(Suh, Chang Juck),김홍유(Kim, Houng Yu)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1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2 No.2

        This research addresses the influences of creativity on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in service firms. Creativity of senior managers and organization is a major focal point for innovativ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nd high performance in nowadays. The research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includes creativity of senior managers and organization, factors of quality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Several hypotheses about relationships among them are suggested and tested empirically. The data are gathered from the firms which had award and certification recipients in quality management. We use 220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Consequently, creativity of senior managers and organization positively affects quality management factors and high business performance. Idea generation abilit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doesn`t have an impact on quality management operational factors(human resources, measurement, analysis and knowledge management, and process) but on quality management driving factors(leadership, strategic planning, and customer and market focus). Problem solving abilit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influences both factors of quality management. These factors of quality management affect financial performance via nonfinancial performance significa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