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학) 전공자의 선택동기와 자아정체성이 장애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형수 ( Hyeong Soo Kim ),김용섭 ( Yong Seob Kim ),김선구 ( Seon Goo K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지역과 세계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선택동기와 자아정체성의 각 하위요인들을 중심으로 장애태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 재학중인 사회복지(학) 전공자 33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자의 장애태도에 대한 선택동기의 하위요인 이타심, 직업적 관심, 기타(주변권유, 가족환경, 성적) 중에서 이타심, 기타(주변권유, 가족환경, 성적)가 장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택동기는 장애태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태도에 대한 자아정체성의 하위요인 독특성, 미래계획, 사회성, 자기수용, 자율성, 적응력, 가치 중에서 적응력, 사회성, 가치가 장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 정체성은 장애태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학) 전공자의 장애태도에 관련한 이론적 함의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hoice motivation and the self-identity affect the attitudes of students who major in social welfare to the disabled. The study execu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questionnaire data on 336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the universi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main study`s results show to major concepts. First of all, factors of unselfishness such job interest and sub factors(affected by such as encouragement of surroundings,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record) appeared to partially influence students` attitudes to the disabled. In addition, sub factors of self identity such as uniqueness, future plan, sociality, self acceptance, autonomy, adaptability, and value also infuluenced the demeanors of students to the handicappe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that suggest a theoretical implication in relation to the attitude to the disabled of students who majored in social welfare, it is recommended that there be a practical measurement that increases welfare to the disabled.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에서 네비게이션의 유용성

        배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김선구(Seon Goo Kim),박경준(Kyoung J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목적: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재치환술 후, 수술 전후 하지의 역학적 축의 변화와 인공 치환물의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네비게이션의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한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재치환술 시의 평균 연령은 64.7세였으며 재치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9년 10개월이었다. 두 명의 관측자가 수술 전후 방사선 사진으로 하지의 역학적 축과 인공 치환물의 위치 및 관절선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관측자 1에 의해 측정된 역학적 축은 술 전 평균 내반 11.9°에서 술 후 평균 외반 1.5o로 교정되었고, 평균 α각, β각, γ각, δ각은 각각 95.3, 90.8, 3.9, 87.6o였다. 관측자 2에 의해 측정된 역학적 축은 술 전 평균 내반 11.6°에서 술 후 평균 외반 1.6°로 교정되었고, 평균 α, β, γ, δ각은 각각 95.5, 90.5, 4.1, 87.9°였다. 각 관측자 간의 측정치는 양적 선형 관계를 보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슬관절 재치환술 시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정확한 골 절제 및 절제 후 확인이 가능하였고 치환물의 위치, 특히 대퇴 치환물의 회전 정렬과 관절선의 위치를 확인하여 교정할 수 있었다. 또한 굴곡 및 신전 간격과 인대 균형에 관한 정보를 직접 확인하면서 수술할 수 있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curacy of the mechanical axis and implant positions postoperatively and to evaluate the radiology results of computer assisted navigation surgery for bone cutting and ligament balancing in revision TKA. Materials and Methods : 13 consecutive revision TKAs were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with use of computer assisted surgery (CAS) from July 2004 to August 2005. At the revision, the mean age was 64.7 years. The mean interval from the index arthroplasty was 9.8 years. The cause of the revision included 11 cases of polyethylene wear and 2 cases of loosening. Two observers measured the mechanical axis, position of the implants, and level of joint lines. Results : By observer I, the mechanical axis improved from varus 11.9° to valgus 1.5°, and the mean α, β, γ and δ angles were 95.3, 90.8, 3.9 and 87.6° respectively. From observer II, the mechanical axis improved from varus 11.6° to valgus 1.6o, and mean α, β, γ and δ angles were 95.5, 90.5, 4.1 and 87.9° respectively. The measured angles from observers I and II showed a good correlation. Conclusion : Accurate bone cutting and verification in each step are possible using real tim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AS. The mechanical axis, component positions, joint line could be checked and adjusted with feedback of navigation system. Information about flexion and extension gap and ligament balancing could be verified during revision surgery.

      • KCI등재

        슬관절의 내반 변형에서 너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과 고식적 슬관절 전치환술 간의 방사선학적 비교

        배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김선구(Seon Goo Kim),박재완(Jae Wan Park),신명철(Myeung Cheol Shin),노준하(Jun Ha R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2

        목적: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과 고식적 방법에 의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내반변형의 정도가 하지 및 치환물의 정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술 전 하지의 역학적 축을 중심으로 내반 변형이 10˚ 이상인 환자 중 CT-free navigation system (Vector Vision<SUP>®</SUP>, BrainLAB)을 이용하여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49예(Ⅰ군)와 고식적 방법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24예(Ⅱ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하지의 역학적 축을 중심으로 한 내반 변형 정도에 따라 내반 변형이 10-20˚인 군(A군)과 20-30˚인 군(B군)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예에서 PFC Sigma삽입물을 사용하였다. 수술 전 하지의 역학적 축을 측정하였고 수술 후 두 명의 관측자가 각각 역학적 축과 미국 슬관절 학회의 방사선학적 평가 방법에 따른 삽입물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결과: Ⅰ군과 Ⅱ군 간의 역학적 축, 대퇴골 치환물의 관상면 정렬 각(α각), 경골 치환물의 관상면 정렬 각(β각), 경골 치환물의 시상면 정렬 각(δ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퇴골 치환물의 시상면 정렬 각(γ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IA군과 IB군 간 역학적 축, α각, β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ⅡA 군과 ⅡB 군간 역학적 축, α각, β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두 관측자간의 측정치는 강한 양적 선형 관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결론: Ⅱ군 보다 Ⅰ군에서 시상면상 대퇴골 삽입물을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었으며, Ⅰ군과 Ⅱ군 모두 술 전 내반변형이 10-20˚인 군 보다 20-30˚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술 후 역학적 축이 내반되는 경향이 있었다. 자동항법 장치를 이용할 경우 내반 변형이 심한 환자에서 대퇴골의 역학적 축에 대한 등록(registration)에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고식적 방법으로 할 경우 대퇴골의 내반 변형 정도에 따라 대퇴골 원위부의 외반 절제각의 증가가 필요하며, 정확한 위치에 골수강내 지침자를 삽입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radiologic measurements of the mechanical axis and the implant position of Total Knee Arthroplasty (TKA) using a computer-assisted navigation system with those using conventional TKA in varus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January 2005, 49 TKAs using a CT-free navigation system (Vector Vision<SUP>®</SUP>, BrainLab, Heirnstetten, Germany) (Group Ⅰ) and 24 TKAs us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 (Group Ⅱ) were performed on patients who had a preoperative varus deformity>10°. The patients were also subdivided into two groups, patients with a varus deformity <20° (group A) and patients with varus deformity>20° (group B). The PFC Sigma implants were used in both groups. The mechanical axis and implant position were measured by 2 observers according to the reontgenographic evaluation system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α, β, δ angle and mechanical axis between group Ⅰ and Ⅱ.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γ angle between group Ⅰ and Ⅱ (p < 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α and β angle and mechanical axis between group IA and IB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 angle and mechanical axis between group IIA and IIB (p<0.05). There was α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angle by the respective observers in all groups (p < 0.05). Conclusion: Patients with a preoperative varus deformity>20° tended to have more postoperative varus mechanical alignment than those with a preoperative varus deformity between 10° and 20° after TKA. More careful attention during the registration of the femoral mechanical axis should be paid in patients with a larger varus deformity in TKA using a computer-assisted navig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a reasonable mechanical valgus angle should be considered in femoral bone cutting for a varus deformity of the distal femur in conventional TKA. In addition, inadequate positioning of intramedullary rod should be recognized in conventional TKA.

      • KCI등재

        슬관절 재치환술 시 심한 골 결손에 사용한 구조적 동종골 이식

        배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김선구(Seon G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슬관절 재치환술 시 심한 골 결손이 있는 환자에서 구조적 동종골 사용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2 년 1월부터 2003 년 2월까지 슬관절 재치환술을 시행한 158명의 환자, 184예 중, 골 결손이 심하여 구조적 동종골 이식술 시행 후 추시 가능하였던 48명의 환자, 52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술 후 추시 기간은 평균 5년 6개월이었다. 모든 예에서 신선 동결된 대퇴 골두를 동종골로 사용하였다. 임상적으로 미국 슬관절 학회의 임상적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 이식골의 유합 여부, 수술 전후 대퇴 경골 각의 변화 및 미국 슬관절 학회의 방사선학적 평가 방법에 따라 삽입물 주위의 방사선 투과선을 관찰하였다. 결과: 슬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38.6점에서 술 후 평균 82.6점으로 증가하였고, 기능 점수는 술 전 평균 30.3점에서 술 후 평균 76.4점으로 향상되었다. 방사선 사진상, 모든 예에서 이식골의 골 유합을 보였고, 대퇴 경골각은 술 전 평균 외반 1.8도에서 술 후 평균 외반 6.2도로 교정되었다. 방사선 투과선은 모든 예에서 4점 이하였고, 삽입물 주위에 2 ㎜ 이상의 방사선 투과선을 보인 예는 없었다. 결론: 슬관절 재치환술 시 골 결손이 심한 예에서 대퇴 골두 동종골 이식술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after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a structural allograft for large bone defects. Materials and Methods: 184 cases of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performed from January 1992 to February 2003. Among them, 52 knees in 48 patients with the use of structural allograft for the management of large bone defec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ose 52 knees have been followed until recently.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5 years and 6 months. Fresh-frozen femoral head was used as the structural allograft in all knees. The clinical rating system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was used for the clinical assessment. Union at the allograft-host bone junction, femoro-tibial angle and periprosthetic radiolucent lines using a radiographic evaluation of American Knee Society were analyzed radiographically.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the mean preoperative knee and function score improved from 38.6 points to 82.6 and 30.3 to 76.4, respectively. Radiographically, union of the allograft to the host bone was observed in all knees. The average femoro-tibial angle was corrected from 1.8° in valgus. to 6.2°. The radiographic evaluation revealed no evidence of loosening. Conclusion: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a femoral head allograft is an appropriate surgical method for treating large bone defects.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Medial Pivot Knee

        배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김선구(Seon Goo Kim),박경준(Kyoung J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목적: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Medial pivot knee를 사용하여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후 임상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 후방십자인대를 보존하는데 따른 수술 술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Medial pivot knee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28명(40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8년(2년-3.7년)이었다. 술 전과 최종 추시 시의 임상결과를 관절운동범위, 슬관절 점수 및 기능 점수로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도 병행하였다. 결과: 굴곡구축은 술 전 평균 5.4°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0.6°로 호전되었고 최대 굴곡은 숨 전 평균 126.1°, 최종 추시 시 평균 126.6°였다. 슬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60.0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94.8, 기능 접수는 술 전 평균 55.3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87.0으로 향상되었다. 술 후 방사선학적 분석에서 평균 α각, β각, γ각, δ각은 각각 95.1°, 91.1°, 3.6°, 84.0°였다. 전 예에서 술 후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Medial pivot knee를 사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추시결과는 양호하였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a posterior cruciate retaining medial pivot knee, and to identify the technical aspects in preserving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2 to Dec 2003, 40 total knee arthroplasties with a cruciate retaining medial pivot knee were implanted in 28 case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8 years (range, 2 to 3.7 years).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clinical and roentgenographic evaluation and scoring system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Results: The average flexion contracture before surgery was 5.4°, which improved to 0.6°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preoperative knee flexion was 126.1° and 126.6°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knee score improved from 60 points preoperatively to 94.8 points postoperatively, and the average functional score improved from 55.3 points to 87.0 points at the final evaluation. The average post operative α, β, γ and δ angles were 95.1°, 91.1°, 3.6° and 84.0°, respectively.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The short term clinical results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knee arthroplasty with a cruciate retaining medial pivot knee was acceptable.

      • KCI등재

        노화촉진마우스의 텔로미어 함량 분석

        이미랑(Mi-Rang Lee),도경탁(Kyoung-Tag Do),한정주(Jyung-Ju Han),문소현(So-Hyun Moon),강한석(Han-Seok Kang),김선구(Seon-Ku Kim),신택순(Teak-Soon Shin),이홍구(Hong-Goo Lee),황대연(Dae-Yon Hwang),김용균(Yong-Gyun Kim),손시환(Sea-Hwan Soh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0

        Telomeres, comprised of tandem repeats of TTAGGG sequences, are special nucleoprotein structures that protect and stabilize chromosome ends. These structures form the crux of the telomere concept of aging, senescence and genomic instability. The classic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TRF) analysis to quantify the amount of telomeric DNA is disadvantageous in species containing ultra long telomeres like in mice (100Kb). In this study, we used a more sensitive quantitativ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Q FISH) technique to quantify telomeric DNA, and used it as a biological aging marker in mice. 12 litters each of Senescence-Resistant (SAMR1) and ?Prone (SAMP1) known as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strains were purchased from Central Lab, Animal Inc. We quantified the amount of telomeric DNA using telomere specific DNA probes on the two strains of male mice at 8 weeks, 18 weeks and 26 weeks of age. The amount of telomeric DNA correlated with aging and age associated changes in body and organ weight between SAMR1 and SAMP1 strains of mice. These data suggest the usefulness of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s a biological aging marker in human aging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