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뉴스 진행자의 비언어적 시자극 요소가 사용자의 뉴스 주목도 및 기억 회상도에 미치는 영향

        권만우(Kwon Mahnwo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여성 뉴스진행자의 화장이나 의상 등 비언어 적인 시자극 요소가 사용자의 정보처리나 주목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시선추적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이 실험을 통해 여성 뉴스진행자의 의상이 선정적이고 악세사리가 화려할수록 시선이 머무르는 시간이 길었으며 반대로 평범한 의상이나 악세사리 같은 요소가 없을 경우 짧은 응시 시간을 보여주었다. 또한 평범한 의상과 악세사리일수록 피험자들은 앵커우먼의 얼굴 보다는 배경화면 등으로 시선이 분산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피험자들은 메모리 회상 테스트에서 의상이나 악세사리가 화려할수록 뉴스 메시지를 기억하는 정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사용자들은 메시지가 아닌 메신저를 주목하는 경향이 있으며 방송 프로그램 제작시 메신저 즉 앵커 우먼의 의상이나 화장 악세사리 등을 적절한 수위에서 노출이나 선정도등을 조절해주어야 사용자의 주목을 끌 수 있으며 나아가 뉴스 기억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ow the nonverbal message of the anchor women were featured in the news broadcast such as their outfits or makeup though female newscasters are important clues to attract views attention. This research tested how their outfits and makeup as nonverbal cues influence on news information processing. News recipient's viewing behavior was observed when he is exposed to nonverbal communication elements of newscasters. Especially it was examined how the level of the anchor women's costume and makeup has impact on the audience's gaze and news acceptance. 16 participants exposed to 2 (nonverbal cues - sexy vs. humble look) ⅹ 3 (news) between-subject design stimuli. Differences in nonverbal communication were manipulated in two conditions by stressing the differences in anchor women's outfit and makeup: one with sexy/glamorous clothes and accessories and the other with humble clothes and accessories. When the newscaster was wearing sexy/glamorous clothes makeup and accessories average gaze time was higher than when she was not. The results say that when there are not any notable nonverbal signals people tend to focus on the face of the anchor woman and then they avert their eyes to the background. Participants also could recall more of facts from the news when the anchor woman did not wear fancy costume or accessories.

      • KCI등재

        Eye tracking experiment for the difference of attention about visual image by sound availability

        권만우(Kwon Mahnwo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시선추적 장치를 사용하여 소리의 유무 및 화면 내에서의 위치가 다른 시각물에 대한 사용자의 주목도를 실험한 것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케이블TV채널인 OCN 채널광고를 실험자극으로 사용했으며 실험영상은 배우인 장동건이 북을 두드리며 소리치는 1분20초 짜리 영상물이다. 영상물은 화면 내에 시각을 끌 수 있는 대상물이 단 하나인 것과 여러 개인 것의 두가지 장면을 사용했으며 샷은 클로즈업샷과 풀샷등 근경과 원경 두가지 신을 사용했다. 특히 이 실험은 화면 내에서의 음원의 위치에 따른 시선의 움직임을 테스트했다. 20명의 피험자가 실험에 참가했다. 실험 결과 피험자들은 영상물 내에서 소리가 나는 시각물이나 그 주변으로 시선을 집중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또한 음원이 있는 시각물에 머무른 시간을 분석한 결과 소리의 존재가 사용자의 바라보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가 시각요소에서만 얻을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논문의 의의는 사운드와 이미지의 상관관계에 관한 기존 이론들을 시선추적 장치라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검증을 시도해보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시도는 향후 영상편집에 있어 사운드의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개선키는데 기여할 것이며 특히 기존에 사운드 아티스트나 전문가들이 관행적으로 직관에 의존해 작업하던 방식을 개선시켜 향후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사운드를 배치하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tried to test the difference of viewer's awareness of visual object depends on sound existence using an eye tracker system. Especially this experiment tested research questions abou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und and viewers' eye movements following the sound source (where the sound originates). 2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test. Different stimuli have different visual elements. Two different groups were exposed to two visual elements representing'shot with sound source' and'shot without sound source'. This research found that viewers tended to connect the sound source in the visual to the object or area of sound source in the visual. Also by comparing the gaze time at the object and area of sound source in visual this paper was able to verify the existence of sound diverse viewer's perspective of visual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which viewers can not easily get only from visual elem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verifying of existing theor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imag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nalyzing video editing and effects scientifically. In particular the using convention of video effect by sound artists or professionals was subjective and intuitive. This study will suggest that how improve those unscientific method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한 형태지각에 관한 연구 : 형태와 배경을 중심으로

        이윤정(Lee Yunjung),권만우(Kwon Mahnwoo),이지연(Lee Jiyeon),김재명(Kim Jaem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4

        우리의 눈과 두뇌는 시각 패턴을 형태와 배경으로 형태를 구분하게 되는 선택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왜냐하면 형태와 배경은 동시에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형태는 부각시켜줄 배경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형태와 배경의 분리가 명확할수록 지각하기 쉬워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형태 지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윤곽선 개폐의 유무 색채 면적의 차이를 가지고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윤곽선 개폐의 유무에서는 한쪽이 열려있는 쪽 보다 닫혀있는 자극에 더 많은 시선이 응시되었고 색채에서는 붉은색 자극에서는 붉은 부분을 푸른색 자극에서는 푸른색이 아니라 흰색부분을 훨씬 더 많이 응시하였던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면적의 차이에서는 면적이 넓은 부분보다 좁은 부분에 더 많은 시선이 머물렀다. 이와 같이 윤곽선 개폐의 유무 색채 면적의 차이가 형태 지각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형태와 배경의 시지각적 상관 관계를 잘 조절하여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될 수 있도록 사용하고 또한 더 많은 응용분야에 널리 활용 될 수 있는 광범위한 가능성을 지닌 커뮤니케이션 분야에 대한 연구로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 지각 방법으로 창조적인 시각의 장을 펼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Our eyes and brain go through selection of identifying visual patterns by their form and background because form and background cannot be viewed at the same time. Form needs background as a sort of spotlighter and the clearer separation of form from background the easier to percept.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effect form perception. we made an experiment in three major types of visual stimulus such as open/close color difference in area by using stereo eye tracker. In terms of open/close visual stimulus we found there is higher tendency to perceive closed side as a form than partially opened side as contributed to attracting more lines of sight. that indicates open/close visual stimulus has effects on form perception. In terms of color stimulus we found red stimulus red object perceived as a form as contributed to longer steady gaze but blue stimulus caused much longer gaze at white objects than blue object. Finally in terms of difference in area it was found that more lines of sight stayed at narrow side than wide on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successfully apply correlation of vision and perception between form and background and use for effective communications.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follow-up researches in communication which have extensive application in many fields and further studies in related matters to open a way of creative visual field through various form perception methods.

      • KCI등재후보

        An approach on process of developing city brands : focused on branding frameworks of Hong Kong Bristol and Seoul

        김서영 (Kim Seoyoung ),권만우 (Kwon Mahnwoo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que frameworks of Hong Kong Seoul and Bristol through examin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city brand identity. Consideration for differences between other two cities and Seoul will suggest clear concepts of the framework for developing Seoul's brand identity. Hong Kong Bristol and Seoul have their own frameworks on process of developing city identity system to be strong city brands and three cities have taken outstandingly different steps. the ultimate goal of city branding and results are also non-identical. Hong Kong focused on visual identity system to regain its city reputation. On the other hand Bristol mainly implemented its strategy on information system and legibility with no visual identity. Seoul developed its visual identity however the range of applications has not been practical.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city branding regardless of the cities' branding results and analyzes the frameworks and the ways of managing them.

      • KCI등재
      • KCI등재

        개인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이 모바일 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민희(Min-Hee Park),권만우(Mahnwoo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모바일 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을 연구모형으로 채택하고, 모바일 배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개인혁신성은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희성에,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유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유희성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은 서비스 이용의도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모바일 배달 앱 서비스 개발에 있어 사용자의 개인적 특성과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고려한다면, 사용자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peoples intention to use mobile delivery application service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as employ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delivery application users. As a result, personal innovative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Self-efficacy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ayfulness. Next, perceived ease of use was found to positively affect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lay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s well. Lastly,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This study suggests users can be induced to voluntarily and continuously use the service, i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the service are considere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ervice.

      • KCI등재

        아이트래킹 기술을 활용한 상업시설 간판의 가독성 연구

        여미(Yeo, Mi),이창노(Lee, Changno),권만우(Kwon, Mahnwo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5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4 No.4

        연구배경 : 상업 활동이 행해지는 공간에서는 효과적인 광고를 위해 사용자 평가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업시설의 간판이미지를 매개로 아이트래킹 실험을 한 후,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상업시설의 가독성 있는 간판문화를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선행연구는 기존 연구방법의 고찰, 파사드의 중요성과 간판, 간판의 개념과 시지각적 기능, 상업시설의 간판과 가독성에 대해 고찰하였고, 연구 방법 모색을 위해 간판의 문제점과 현재의 간판문화에 대해 파악하였다. 아이트래킹 실험에는 피험자 남·녀 각각 10명씩 참여하였고, 실험 시 제시된 자극물은 상업시설의 간판이미지이며, 지시문 12개와 이미지 12개로 진행하였다. 실험 후 분석 방법은 ⓛ피험자가 각 이미지를 보기 시작하여 간판이름을 찾은 소요시간 분석, ②개선 전·후에 나타난 이미지별 소요시간의 평균 비교 분석, ③실험 직후의 설문 분석을 조합하여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간판의 대량 정비 시 간판디자인을 획일화하지 않아야 한다. 둘째, 고층보다 저층이 가독성에 효과적이다. 셋째, 유사 배색보다는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주목도 높은 보색이 간판이름을 찾는데 유리하다. 간판의 가독성은 조형요소 중에서도 시각요소들이 우선순위로 나타났는데, 크기와 색채가 간판이름을 찾기에 가장 크게 좌우되었다. 그러나 무조건적으로 간판을 크게 한다거나 주목도 높은 색을 다량 사용하는 것은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하며, 주변과의 조화가 우선 시 되어야 한다고 판단한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선 전과 개선 후를 비교하여 살펴볼 때, ‘획일화하지 말 것’, ‘저층의 효과적인 가독성’, ‘주목도 높은 보색’이라는 결과를 참고로 하여, 사용자가 인지하는 혼재된 정도를 줄여주는 것이 간판이미지를 식별하고 인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 판단한다. Background :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user evaluation-based study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advertisement in areas of commercial activity. Accordingly, In this study, an eye tracking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signboard images of commercial buildings as the medium to evaluate legibility of images based on the data analysis. The aim was to help establish a culture of legible signboards for commercial buildings. Methods : Review of existing research methods, studie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facade, signboards, concept and visual-perceptive function of signboards, and legibility of signboards in commercial buildings. Existing problems of signboards and the current status of signboard culture were examined to formulate the study method. 10 male and 10 fe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ye tracking experiment. Signboard images of commercial buildings were provided as stimulants during the experiment, which consisted of 12 directives and 12 images. After the experiment, legibility was evaluated based on ⓛ time spent by subjects to find the name of signboard after starting to look at each image, ② comparison on average time spent for each image before and after improvement, and ③ questionnaire conducted immediately following the experiment. Result : First, signboard design should not be standardized during large-scale maintenance of signboards. Second, low-story signboards have greater legibility than high-story signboards. Third, complementary colors with high degree of attention are more advantageous in finding the name of signboard compared to analogous colors. Visual elements showed priority among formative elements in legibility of signboards. Finding of signboard name relies most heavily on size and color. But it is considered making a large sign and using high attention color and it also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ir environment. Conclusion : In comparing before vs. after impro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our conclusions are "Do not unify," "Effective legibility of low story," and "Noticeability of complementary colors." In reference to this, it is considered that if reducing the mixedness recognized by users, i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identifying or recognizing the image of a signbo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