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환제교대근무자에서 야간 근무 적응에 대한 광치료 효과

        고영훈,조숙행,Ko, Young-Hoon,Joe, Sook-Haeng 대한수면의학회 2002 수면·정신생리 Vol.9 No.1

        Objectives: In a number of simulated night shift studies, timed exposure to bright light improves sleep quality and work performance. We evaluated the effect of bright light on adaptation to night shift work with a field study. Methods: Five female nurses working shifts at Korea University Hospital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wo series of six consecutive shift rotations comprising three day and three night shifts, using wrist Actigraphy, the Stanford Sleepiness Scale, Visual-analogue scales, STIM and tympanic membrane temperature for daytime sleep quality, alertness, subjective feeling, attention performance, and temperature rhythm. The subjects were exposed to bright light (2,500 lux) from 24:00 to 04:00 a.m. on three consecutive night shifts during the second series, whereas they worked under normal lightening (650 lux) conditions during the first series. Results: Actigraphic assessment of daytime slee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third night shift in both baseline and light exposure phase. The mean lowest temperature shifted earlier during baseline phase but not during the light exposure phase. Also, the score for subjective feelings of depression, anxiety, physical discomfort and sleep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ird night shift than the first during baseline phase but not during the light exposure phase. Attention and attention switch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third night shift compared to the first night during the light exposure pha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baseline phase.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hases in measures of quality of daytime sleep, but subjective feelings, attention and alertness were enhanced during light exposure. Although some placebo effects and learning effects might influence this result, bright light exposure between midnight and 4:00 a.m. may improve adaptation to night shift. In future, further controlled studies with a larger sample size, including melatonin measurement, are needed for real shift workers. 목 적 : 여러 모의 연구(simulated study)에서 순환제 교대근무자의 야간 근무에 따른 수면장애와 작업수행의 어려움에 대해 광치료가 치료적 도구로 제안되고 있어 실제 순환제 교대 근무 환경에서의 야간 근무 동안 광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인 5명의 병동 근무 간호사들은 기초평가단계 동안 연속적인 3일간의 낮 근무 후 650 lux의 실내 조명 하에서 연속적인 3일간의 야간근무를 하도록 계획되었으며, 2주 후의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동일한 순환주기로 근무하는 동안 자정부터 오전 4시까지 2500 lux의 광박스를 이용한 광치료를 시행하였다. 야간근무 후의 낮수면은 actiwatch를 이용하여 평가되었으며 야간 근무 동안은 스탠포드 졸리움 척도를 이용한 각성상태, 고막체온, STIM을 이용한 수행능력 및 visual analogue를 이용한 우울감, 불안감, 신체적 불편감, 피로감을 기초평가단계와 광치료시행단계 각각에서 야간근무 첫째날과 셋째날을 비교평가하였다. 결 과 : 야간근무 후의 낮 수면은 기초평가단계와 광치료 시행단계 모두 야간 근무 1일째와 3일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주기리듬의 위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된 고막 온도는 야간근무 3일째에 기초평가단계에서는 위상전진을 나타낸 반면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위상변화가 없었다. 또한, 각성상태, 우울감, 불안감, 피로감, 신체적 불편감, 졸리움 등의 변화도 기초평가단계에서 야간근무 3일째에 유의하게 악화된 반면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주의력에서는 광치료시행단계에서만 야간근무 3일째가 1일째에 비해 유의하게 호전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위약효과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실제근무 환경에서 단기간의 광치료가 순환제 교대근무자들의 주간 수면의 질을 뚜렷하게 변화시키진 않았으나, 야간 근무동안 졸리움 감소와 주의력 향상을 통한 야간 업무 수행능력의 호전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주요우울증에서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가?

        고영훈,김용구,Ko, Young Hoon,Kim, Yong Ku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4 생물정신의학 Vol.11 No.2

        Due to the high population prevalence of major depression and the strong emphasis on pharmacotherapy for this disorder, antidepressants are among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pharmacological agents. But the clinicians are still unable to predict accurately the response of their depressed patients to medication. This article reviews the biological predictors of treatment response including monoamine, neuroendocrine, pharmacogenetic, and psychophysiologic markers. The biological predictors of response, despite some interesting leads that may in the long term be of considerable importance, are not yet sufficiently established to be of routine clinical usefulness. Many of the predictive factors explored in this article are examples of mediators and moderators that affect outcomes. Each one alone may not provide definitive answers for predicting response to treatment, but each must be taken into account at the outset of treatment. It is clear that treatments must be individualized for each patient.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algorithm in order to predict the responsiveness of antidepressant treatment with integration of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studies.

      • 선형 선처리 방식에 의한 홉필드 네트웍의 성능 분석

        고영훈,이수종,노흥식,Ko, Young-Hoon,Lee, Soo-Jong,Noh, Heung-Sik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4 情報學硏究 Vol.7 No.2

        Since Dr. John J. Hopfield has proposed the HOpfield network, it has been widely applied to the pattern recognition and the routing optimization. The method of Jian-Hua Li improved efficiency of Hopfield network which input pattern's weights are regenerated by SVD(singluar value decomposition). This paper deals with Li's Hopfield Network by linear pre-processing. Linear pre-processing is used for increasing orthogonality of input pattern set. Two methods of pre-processing are used, Hadamard method and random method. In manner of success rate, radom method improves maximum 30 percent than the original and hadamard method improves maximum 15 percent. In manner of success time, random method decreases maximum 5 iterations and hadamard method decreases maximum 2.5 iterations.

      • 심혈관 질환과 인격 특성

        고영훈,Ko, Young-H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6 정신신체의학 Vol.14 No.2

        많은 연구들이 심혈관 질환의 병인과 병리적 기전에 있어 사회심리학적, 행동학적 위험요인의 역할을 조사해 왔다. A형 행동 유형과 심장 질환의 이환 및 사망과의 관련성을 확인한 여러 전향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A형 행동 유형은 관상동맥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최근 제안된 새로운 성격유형인 D형 인격유형 역시 심혈관 질환의 이환율과사망률의 증가에 관여함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들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는 심혈관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널리 연구, 보고되고 있는 A형 행동유형과 D형 인격유형에 초점을 맞추면서 지금까지의 연구 문헌을 정리 검토하여 향후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A lot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ole of psychosocial and behavioral risk factors in the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cardiovascular disease. On the basis of prospective population studies that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ype A behavior and cardiac morbidity and mortality independent of traditional risk factors, Type A behavior was declared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oronary heart disease. Additionally, recently proposed, a new personality construct, Type D personality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for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In Korea,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about these issues.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an overview of accumulating evidences on the Type A behavioral pattern and Type D personality rel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to offer new directions for research.

      • 정서장애 환자의 월경전기변화 특성

        고영훈,조숙행,서광윤,Ko, Young-Hoon,Joe, Sook-Haeng,Suh, Kwang-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연구목적 : 월경전기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증상 양상, 가족력, 높은 정서장애의 유병율은 이 질환의 정서장애와의 관련성을 시사해 주며 한편, 월경주기에 따른 정서장애 임상경과의 변화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정서장애 환자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월경전기변화의 양상과 정도를 비교하고 일상 및 직업 생활에의 영향 및 환자군에서의 월경전기변화에 대한 가능성 있는 위험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 정서장애 환자 80명과 정상 대조군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월경전기변화는 DSM-IV 월경전기불쾌기분장애의 진단기준 A를 세분화한 4점 척도의 16항목으로 구성된 자기 평가 형식의 설문지를 통해 후향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의 항목 중 한가지 이상에서 중등도 이상의 변화를 경험하는 월경전기변화군이 정서 장애 환자군은 32.6%. 대조군은 50%로 환자군에서 대상이 적었다. 2) 월경전기변화군에서 대조군은 기분 또는 행동 변화와 신체적인 변화를 호소하는 경우가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으나, 환자군은 기분 또는 행동 변화만을 호소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월경전기변화군에서 대조군은 신체적인 변화인 유방 통증의 빈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환자군에서는 기분이나 행동 변화인 피로감과 무기력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3) 대조군은 기분이나 행동 변화와 신체적인 변화가 많을수록 일상이나 사회 생활에 심한 장애를 경험하는 반면 환자군에서는 기분 또는 행동 변화만이 빈도가 높을수록 심한 일상이나 사회 생활의 장애를 경험하였다. 4) 환자군에서 월경전기변화군은 월경전기변화가 없는 군에 비해 월경통을 보고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그 심각도는 월경전기변화의 빈도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정서 장애 환자군의 월경전기변화는 신체적 변화보다 기분 행동 변화가 두드러지는 특성을 보였다. 이들 환자군의 월경전기변화는 기존 질환의 월경전기악화 또는 기존 질환과 동반되는 월경전기증후군의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또한, 환자군에서는 월경전기변화 특히 기분 또는 행동 변화의 빈도가 높을수록 심한 일상 생활의 장애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정서장애 환자에서의 월경전기변화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리라 본다. Objectives : A large of studies have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affective disorder, in particular, depression.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women with depressive disorders may experience menstrual cycle-associated changes in the severity of their sympto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remenstrual changes between control group and affective patient group, and to assess possible risk factors for premenstrual changes in patients. Methods : Eighty normal controls and eighty outpatients given maintenance therapy with fixed dose for at least more than four week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n menstrual history, obstetric-gynecological history, and functional impairment. In addition,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remenstrual changes, 16 items based on DSM-IV criteria A for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ere rated on the following scale : 0(no change), 1(mild), 2(moderate), 3(severe). Moderate or severe change in each item was considered as premenstrual change and the subjects who reported more than one premenstrual change were defined as premenstrual change group.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ercentage of premenstrual change group was 32.6% in patient group and 50% in control group. 2) Frequently reported premenstrual changes were as follows in control group : breast tenderness; anger ; affective liability ; lethargy, easy fatigability, or marked lack of energy ;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In patients, the mood or behavioral changes were frequently reported. The changes were as follows : lethargy, easy fatigability, or marked lack of energy ; change in appetite; affective liability ; sense of difficulty in concentrating : hypersomnia or insomnia. 3) In the premenstrual change group, the patients with only mood or behavior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ose with only physical changes or both changes. 4) The severity of functional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mood or behavioral changes in patients.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strual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premenstrual changes and patients without them except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And the severity of dysmenorrhea was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premenstrual change. Conclusion :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who reported moderate-to-severe premenstrual changes, experiencing mood or behavioral changes larger than those experiencing physical changes during premenstrual period. It is possible that some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who reported premenstrual mood or behavioral changes, suffer from coexisting premenstrual syndrome with affective disorder or premenstrual exacerbation of affective disorder. Since the more premenstrual changes, the severer functional impairment, the patients reporting mood or behavioral disturbance in premenstrual period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and appropriate therapeutic stategies might be considered.

      • 만성피로증후군에 대한 광치료 1예

        고영훈,조숙행,Ko, Young-Hoon,Joe, Sook-Hae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0 정신신체의학 Vol.8 No.1

        저자들은 만성적인 피로감과 비특이적인 신체 증상을 나타내는 치료저항성 만성피로증후군 환자 1례를 경험하였다. 몇몇 연구들에서 만성피로증후군과 정서장애와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있으나 계절성정서장에의 치료 도구로 인정받고 있는 만성피로증후군에서 광치료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저자들은 2500lux의 광상자를 이용하여 본 증례의 환자에게 아침 광치료를 시도하여 임상적 증상의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관련 문헌의 검토와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he authors identified a treatment-resistant patient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characterized by chronic fatigue, headache, unrefreshing sleep. Some studies reported that chronic fatigue syndrome was associated with affective disorder, especially seasonal affective disorder and many studies reported that bright light therapy was effective in seasonal affective disorder. But efficacy of light therapy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was rarely reported. We treated the patient with morning light treatment using 2500lux light box, the clinical symptoms in this case were improved.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light therapy can be a treatment modality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 KCI등재후보

        한국 정신신체의학연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고영훈,Ko, Young-H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2 정신신체의학 Vol.20 No.1

        정신신체의학은 심리적, 행동적, 의학적 요인들이 인간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물정신사회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의학 분야이다. 초기의 정신신체의학은 신체 질환의 원인을 심리적인 요인으로 이해하고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이후 다양한 관련 분야의 발전을 통해 보다 확대된 관점에서 신체 질환을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결과 내외과 질환 환자들의 정신과적인 문제를 다루는 자문조정이 임상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여러 내과적 질환들의 원인, 경과, 치료에 스트레스 혹은 정신과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더 나아가 질환뿐 아니라 삶의 질이나 인격 특성 등 인간의 행동적인 측면 역시 연구 대상으로 확대되게 된다. 최근 내외과 질환이 보다 세분화되고 그 원인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들이 진행되며 다양한 검사 및 평가 도구가 개발되는 등 연구 여건이 변화됨에 따라 정신신체의학 연구도 더욱 다양화되고 세분화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한국 정신신체의학 연구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 정신신체의학 연구의 과거와 현주소를 확인하고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Psychosomatic medicine is a part of medicine which is to fin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medical factors on the human body and diseas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idea of psychogenesis had been developed and resulted in the concept of psychosomatic disease which was believed to be caused by psychological factors. However a multifactorial model of illness developed and it allowed illness to be viewed as a result of biopsychosocial interactions. The following have been highlighted by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Psychosomatic medicine has addressed stress and psychiatric factors which affect the etiology, course, and treatment of medical disorders. Moreover it contributes the growth of other related disciplines such as psychoneuroendocrinology, psychoimmunology, behavioral medicine, health psychology and quality of life research. Nowadays, psychosomatic field becomes enlarged because medical and surgical departments have been developed rapidly, and research methods and tools have brought forth rapid progress and advance in medical science. Therefore the author reviews the past and present psychosomatic researches and suggests the future of psychosomatic research in Korea.

      • 옵션 시장에서 푸쉬풀 전략의 성능 분석

        고영훈 ( Young-hoon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1

        본 논문은 옵션 시장에서 푸쉬풀 전략을 제시하고 이의 성능 분석을 한다. 푸시풀 전략은 초기 진입시 설정한 예탁금이 줄어들지 않도록 관리하는 전략이다. 옵션의 만기에 외가 가격이 0이 되는 특성상 외가 매도는 프리미엄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시스템 트레이딩 툴이 멀티차트를 통하여 푸쉬풀 전략을 구현하고, 3월물 옵션에 대하여 성능 분석을 하였다. 2월 5일과 2월 11일에 두 번 임계값 조정이 발생하여, 총 6번의 매매에 총수익 769,000원 발생하였다. 승률은 67%이고, 자산대비 수익률은 한달에 9%가 발생하였다. 푸쉬풀 전략은 급격한 추세장을 제외하고는 한달에 10% 내외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안정된 전략으로 개인 투자자의 옵션 투자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화된 자료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향후에 실험 구간을 넓히고, 행사가 이동 구간을 줄이는 최적 지점을 찾아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 최적 경로 탐색을 위한 eSPN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고영훈 ( Young-hoon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홉필드 네트웍은 패턴 매칭과 더불어 최적화 문제를 푸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Ali에 의해 제안된 최적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계산량을 대폭 줄이고 효과적으로 최적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노드의 제곱인 브랜치수의 뉴런이 필요한 Ali 알고리즘은 탐색 네트워크가 커지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계산량은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최적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표준 이격도를 이용한 옵션 매매 분석

        고영훈 ( Young-hoon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본 논문은 옵션의 표준 이격도를 정의하고, 이격도에 따른 매매 전략을 제시하며, 이의 수익을 분석하였다. 옵션 가격은 내재가치와 시간가치인 프리미엄으로 분리되는데, 프리미엄은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줄어들어 0에 수렴한다. 따라서 행사가와 선물가격과의 차이와 만기일까지의 잔존시간의 두가지 변수에 대한 옵션 평균 가격을 계산해낼수 있다. 그 평균 가격과의 가격 차이를 표준 이격도라 한다. 기본적인 스트랭글 매도 전략에 진입 시점과 청산 시점에 표준 이격도를 사용하였다. 표준 이격도가 높으면 매도 진입하고 표준 이격도가 낮으면 매수 청산하였다. 2010년 9월물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약 8%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었다. 향후에 옵션 표준가격을 추출하기 위한 샘플 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