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합건물의 공용부분 변경에 관한 몇 가지 문제

        강혁신(Kang, Hyuck Shi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叢 Vol.19 No.3

        This study seeks to examine several legislative and practical issues especially about change of common element in aggregate building. In details, this study discussed jurisprudential analysis of such common element, boundary between exclusive and common element within aggregate building, Supreme Court's judgment on change and disposition of such common element, and mitigation of determination rate about common element (as discussed in latest revision works for aggregate building laws from 2011 onward), and examined such change of common el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so that it could investigate current positions of South Korean relevant laws and any ideal form of revised laws. This study develops its focus of research laterally into common element, a component of aggregate building. It excluded any strict requirement of determination by examining appropriateness about unit owners and quorum requiring more than 3 of 4 voting rights in change of common element. And it made a comparative examination into Japanese laws and other foreign laws which focus on mitigation of procedural requirements for changing such common element, so that we could find any implication for South Korea's aggregate building laws. With regard to analysis and application of aggregate building laws, it would be advisable to focus on unit owner's ownership of building and right to use it, rather than focus on building itself. This study discussed current positions and practical behaviors of South Korean aggregate building laws and made a comparative statutory examination into those laws, so that it could explore proper legislations rather than come to any conclusion. 본 논문은 집합건물에 있어서 특히 공용부분의 변경시에 발생하는 몇 개의 법제적 및 실무적인 쟁점들에 대해 고찰을 하고 있다. 공용부분에 대한 법리적 해석, 전유부분과 공용부분과의 경계, 공용 부분의 변경 및 처분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 2011년부터 진행되어온 집합건물법에 대한 개정작업에서 진행되었던 공용부분 결의율의 완화에 대한 논의, 변경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등을 통해 우리법의 현재의 모습과 이상적인 개정법의 형태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집합건물에서의 공용부분이라는 구성부분에 대해 횡적 방향으로의 연구를 전개하고 있다. 공용부분의 변경에 있어서 요구되는 구분소유자 및 의결권의 각 4분의 3 이상의 요건에 대한 적정성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엄격한 결의요건을 배제하고 변경의 절차적 요건을 완화한 일본법 등에 대한 비교고찰을 통하여 우리 집합건물법에 대한 시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집합건물법에 대한 해석 및 적용에 있어서 그 사정을 건물에 두는 것이 아니라 구분소유자의 소유권 및 사용권이라고 하는 권리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 및 적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현재의 우리 집합건물법의 태도와 실무의 동태 및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적절한 입법을 모색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였다.

      • KCI등재

        공동주택에서의 전유부분 사용방법과 ‘공동의 이익’에 관한 연구

        강혁신(Kang Hyuck Shin) 한국법학회 2006 법학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전유부분의 이용방법과 집합건물법상의 공동의 이익의 문제에 관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일본의 공동주택에서의 애완동물사육에 관한 판례를 주요소재로 하여 법적인 논거를 정립,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술하였다.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분쟁의 양태는 건물의 구조, 규모 등이 가지는 특성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분쟁은 '구분소유라는 소유형태'와 '공동주택이라는 거주형태'에 기인하는 권리ㆍ이용관계의 복잡함이 그 원인에 있다. '공동의 이익에 반하는 행위'란 추상적인 개괄적 규정이기 때문에 일정의 기준이 필요하다. 공동의 이익에 반하는가의 여부는 해당행위의 필요성의 정도, 이에 의해 다른 구분소유자가 입는 불이익의 양태, 정도의 모든 사정을 비교교량하여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단순히 재산 관리적 관점으로부터의 공동이익만이 아니고 공동 생활적 관점으로부터의 공동의 이익도 당연히 포함된다. 또한, 공동주택에서의 거주는 공용부분은 물론 전유부분에 있어서도 구분소유자 간의 정해지 룰에 대한 당연적(當然的) 준수(遵守)를 강제(强制)하고 있어 구분소유권의 성질은 민법에서 규정하는 소유권의 성질과 비교하여 소유권(所有權)의 약체화(弱體化)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였으며, 이러한 소유권의 약체화야 말로 구분소유권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이라고 분석하였다. This thesis purposed to establish and clarify the legal grounds of an argument on problems of how to use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and common interest pursuant to Divided Ownership Act, using the precedent for a case of breeding a pet in apartment houses in Japan. Disputes in apartment houses sometimes result from characteristics of building such as structure and scale, but most disputes are caused by complicated relationship of right and use due to 'divided ownership as a type of ownership' and 'apartment house as a residential type'. An apartment house is a housing type : a lot of owners of divided section and occupants reside together in a building. Thus, residents in an apartment house should obey common rules regarding using of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as well as common section. That is, an apartment house demands a different way of residence from that of general houses. Since 'acts against common interest' are abstract and general prescription, fixed standards are needed, Whether an act is against common interest or not has to be judged based on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all conditions such as the necessity of relevant acts, aspects and degree of disadvantage that other owners of divided section suffer, In addition, common interest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property management but also from the viewpoints of common living has to be included in the range of common interest. As for those who act against common interest, three legal measures can be taken : a claim for suspension of acts, a claim for prohibition on use, a claim for auction of divided ownership.

      • KCI등재

        일본 맨션표준관리규약에 관한 검토

        강혁신(Kang, Hyuck-Shi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叢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맨션표준관리규약에 내용과 최종 개정에 있어서의 포인트를 살펴보고 또한 최종적으로는 일본 맨션에서의 관리에 관한 현안을 검토함으로서 우리 집합건물 특히 공동주택에서의 표준관리규약에 어떠한 참고가 가능하며 또 이를 어떻게 투영시킬 것인지에 관해 고찰하였다. 건물의 새로운 재생의 한계가 분명히 존재하고 있는 문제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로 남겨둔다고 할 지라도, 현재 사용 중인 건물에 대해 그 사용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의미로 표준관리규약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크게 인식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더불어 최근에는 건물의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던 기존의 문제와 더불어 건물의 사회적 환경도 크게 중요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조권의 문제, 조망이익의 문제가 그러하다. 생활방해의 범위의 확대화, 수인한도 범위의 축소화 등은 이미 우리 사회에서 이미 발생하고 진전되고 있는 문제이다. 여기에서 표준관리규약의 큰 새로운 사명이 발생한다고 생각되는데, 즉 구분소유자는 표준관리규약에 대해 주거하고 있는 아파트에 있어서 기존의 물리적 환경의 쾌적함을 중심으로 기대하고 있던 것이 이제는 사회적 환경의 쾌적함까지도 표준관리규약에 기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 표준관리규약의 역할의 중요성이 있다 할 것이다. 일본의 표준관리규약에 대한 검토를 기초로 우리의 공동주택표준관리규약에서의 시사에 관한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in the standard management rules of mansion in Japan and the point in the final revision and also figured out the pending issue on management in Japanese mansion finally, thereby having considered on which reference is available for the standard management rules especially in multi-family housing and also on how it will be reflected. A problem about which the limitation to new regeneration in a building is left as an issue in another dimension. Nevertheless, it is a well-known fact of being greatly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in the standard management rules as a meaning of maximizing value of its use on the building that is being utilized now. In addition, even the social environment in a building is being greatly emphasized these days along with the existing problem of having been great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physical environment in a building. For example, such cases include a problem of right to sunshine and a problem of advantage to view. The expansion in range of activity disturbance and the reduction in range of the limits to endurance are the problems of being already created and progressed in our society. The greatly new mission of standard management rules is thought to be created here. In other words, a unit owner had expected for the standard management rules focusing on comfortableness of the existing physical environment in condominium of being dwelled, but came to expect now for the standard management rules even in comfortableness of social environment. It will be able to be said that here is just the importance of a role in the standard management rules. A research on implication in the standard management rules of our multi-family housing will be continuously needed on the basis of a review on the standard management rules in Japan.

      • KCI등재

        일본의 맨션관리의 적정화 추진에 관한 법률 고찰

        강혁신(Hyuck-Shin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0

        일본의 맨션관리의 적정화 추진에 관한 법률은 맨션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확보하여 국민생활의 안정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꾀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이다. 맨션의 증가와 맨션만이 가지는 거주형태의 특수성, 이에 관련한 법정비의 미비는 일본의 학계와 실무에서 꾸준히 제기된 문제이다. 또한 관리적 측면에서는 관리조합의 운영문제, 유지수선, 관리조합의 관리업자에 대한 관리위탁, 설계ㆍ준공도면의 정확한 인도 등의 문제도 지적을 받아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정화법이 입법되었으나, 결국 적정화법은 맨션 관리에 관한 합의형성 등의 문제에 대해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는 있겠으나 한편으로는 맨션에서의 관리조합 및 구분소유자, 그리고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된 맨션에 대해 고민, 예를 들면 거주자의 다양성 등으로 인한, 하는 지자체 등에 대해 여러 형태로의 의무 등을 제안 또는 제시하고 있음으로 해서 적정화법의 원활한 시행에는 다수의 난관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The law on promoting rationalization of mansion management is the one that was enacted with the aim of enhancing stability of people's life and further of promoting sound development in national economy, by securing good residential environment of mansion in Japan. A rise in mansi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 residential form that only mansion has, and the insufficiency of legal modification related to this are the issues that have been steadily proposed in academic circles and practical affairs in Japan. Also, in the managerial aspect, even problems about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association, the maintenance & repair, the management contract on management agency in management association, and the correct transfer of designㆍcompletion plan have been pointed out. To solve these problems, the law of rationalization was legislated. However, the law of rationalization can be ultimately evaluated to suggest its solution on a problem about forming agreement on mansion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it is concerned about the management association and section owner in mansion, and about mansion that was progressed aging considerably. For example, it is proposing or suggesting duties in several forms caused by dwellers' diversity to local self-government. Thus, it is a fact that a number of difficulties exist in smoothly enforcing the law of ration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전문법칙의 예외적용에 관한 실무현상과 과제

        春日勉, 강혁신(Kang, Hyuck-Shin)(번역)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3

        본 논문은 전문법칙의 예외, 특히 「형사소송법」제321조 제1항 제2호가 규정하는 검찰관의 조사시에 얻어지는 피고인 이외의 자의 진술조서(검찰관 면전조서)가 재판에서 어떠한 형태로 증거화되는가를 그 실무의 운용과 논점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형소법」제320조의 문언에 따라 “공판정 외에서의 진술을 내용으로 하는 공판정에 있어서의 진술 또는 서면으로 진술내용의 진실성을 증명하기 위한 증거로써 제출된 것”이라고 하는 인식이 공유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정의의 후반부분에 “진술내용의 진실성을 입증하기 위하여”라고 하는 것은 전문증거가 “진술증거”임을 의미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서면에 기재된 “진술” 또는 증언 중에 이야기된 다른 자의 “진술”을 그 “진술”(원진술)에서 나타내는 사실이 진실임을 증명하고자 하는 경우에 전문법칙이 문제가 된다고 말할 수 있다. 피고인 이외의 자에 대한 검찰관 면전조서를 증거로 채택하기 위해서는 진술 불능(전문증거를 허용할 필요성), 공판정 등에서의 진술이 당해 서면과 상반하는지 및 실질적으로 상이한 진술을 하였는지(상반ㆍ불일치 진술), 그리고 공판정에서의 진술 전의 진술을 신용하여야 하는 특별한 상황이 있었는지 등의 요건 모두가 필요하다. 종래로부터 일본의 검찰수사의 실태는 경찰수사에 대한 첨삭정도인 것이 주지의 사실이고, 원진술자에 대한 검찰관의 조사에는 피의자ㆍ피고인은 동석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이러한 “필요성”만을 가지고 증거로 채택하는 것은 진실성의 관점으로부터는 물론이고 피고인의 반대심문권 보장의 관점으로부터도 매우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 상당히 존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ptively discuss the operation and arguing points of practices concerning how third person’s (not the accused) such testimony records (written evidence in the presence of public prosecutor) obtained from prosecutor’s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rule of hearsay evidence, particularly as provided in Art. 321.1.2, Criminal Procedure Act, are evidenced in certain form on trial in court.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re has been a consensus on recognition of hearsay evidence, i.e. ‘anything submitted as an evidence to verify the veracity of any oral or written statement made in a public trial court, which contains any statement outside the court’ in accordance with the wordings of Art. 320, Criminal Procedure Act. In particular, ‘to verify the veracity of any oral or written statement’ in the later half of above definition about hearsay evidence means that hearsay evidence is ‘testimonial evidence.’ In other words,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hearsay rule becomes questionable if a person seeks to verify the facts of his or her (original) statement through written ‘statement’ or oral ‘statement’ made by other person during the former’s testimony. In order that written evidence about any party except the accused in the presence of public prosecutor can be adopted as evidence, it is necessary to satisfy all certain requirements such as whether statement unavailable (needs to permit any hearsay evidence) and statements in the public trial court are contrary to applicable written evidence or whether there are different statements in reality (conflicting or inconsistent statements) and whether there is any special circumstance that any statement made before the next statement in public trial court should be trusted as a final evidence. Indeed, it is generally known that conventional prosecutory investigation of Japan has been limited simply to any correction of police investigation records, but suspected person and the accused are not allowed to sit together at prosecutor’s investigation into the person who made original statements. Thus, there are considerable criticism to adopting hearsay evidence only based on the satisfied ‘requirements’, because it involves very serious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assuring the right of cross-examination for the accused as well as from the perspective of veracity.

      • KCI등재

        콜린 로우의 건축론 -그의 자유주의와 형식자적 입장-

        강혁,Kang, Hyuck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 건축역사연구 Vol.17 No.1

        Colin Rowe was an important historian, theorist and critic in Modern architecture. His significance in Modern architectural history lies in not only historiography which has changed our view of Modernism but deep theoretical involvement in practice. This study is a critical review and analysis on his formalist approach in Architecture. With a view that his position of formalist has indispensible relationship with liberalism from K. Popper's critical rationalism, this study try to show how his philosophical background has an influence upon his way of seeing architecture, history, form, urbanism, and meaning, etc. And this study also try to explain why the principle of architecture as an autonomous discipline which is the main point of view in Rowe's criticism has been so successful and influential. This study also explain what i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Rowe's formalist approach and way of reading buildings. His intelligent way of formal analysis can give us new understandings of how the form generates and the process of design goes on. Furthermore it guide us a new horizon of architecture as a language game. Since his early writings showed both side of formalist approach in architecture and it didn't changed a lot. We can understand his 'Collage City' was a his final answer to his formalist way of making architecture and urbanism. we can estemate it as a utopia without utopianism and an ideology without ideological color.

      • KCI등재

        집합건물법에서의 시가에 관한 연구

        강혁신 ( Hyuck Shin,Kang ) 국제지역학회 2006 국제지역연구 Vol.10 No.3

        우리나라의 집합건물법은 일본의 구분소유법을 계수하고 있어 그 법리적 전개의 양태에 일본의 구분소유법과 대단한 유사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집합건물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時價에 관하여 연구를 모색하고자 하였을 때 우리나라의 집합건물법은 물론 일본의 구분소유법에서도 ``건물 및 대지의 권리를 時價로 매수할 수 있다``고만 규정하고 있을 뿐 時價의 내용과 그 구체적 산정방법에 관하여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까닭에서인지 집합건물법에서의 時價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면이 없지 않아 있었고 실제 時價의 내용과 그 산정방법에 관한 법률적 문제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는 것은 입법취지의 결여, 참고문헌의 부족 등의 실제적 문제에 가로막혀 至難의 과제로 여겨져 온 듯하다. 이에 필자는 집합건물법에서 규정하는 時價의, 즉 구분소유권 매도청구권 행사 시의 時價(제7조), 재건축 결의에 의한 매도청구권 행사 시의 時價(제48조), 대규모 일부멸실의 경우 복구에서의 매수청구권 행사 시의 時價(제50조), 각각의 時價의 내용과 그 산정방법에 관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의 비교법적 검토를 射程으로 두면서 법리적 논거를 전개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본 주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時價에 대한 개념과 산정방법의 명확화를 제시할 수 있었다는 것에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겠다. Collective Property Act in Korea was taken over from Divided Ownership Act in Japan. Therefore, they have some similarities in an aspect of legalistic expans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omment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price and the details of an estimate method. Not only in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s, but also in Divided Ownership Act, they are only said that a claim of estate and buildings can be brought over in the present price. For this reason probably, a study for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s seems not to be progressed sprightly. Moreover it is taken that a study for the contents of the present price and the details of a estimate method may be not possible to complete for many substantial problems such as lack of references and the purpose of legislation, etc. Thus this study suggested a legalistic argument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Acts of Korea and Japan. Especially, the study showed the details of an estimate method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price provided by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s, in details, Article 7 of The Present Price of Exercise of Claim for Divided Ownership and Claim for Sale, Article 47 of The Present Price of Exercise of Claim for Sale by Decision of Reconstruction, Article 50 of The Present Price of Exercise of Claim for Purchase in Restoration from the Massive Loss.

      • KCI등재

        집합건물 관리제도 현안에 관한 민사법적 고찰

        정인덕(In-Deok Jeong),강혁신(Hyuck-Shin Ka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叢 Vol.27 No.3

        In Korea, since the late 1970s, the demand for multi-unit housing has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and the demand for agregat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commercial buildings, and multi-purpose apartments has increased mainly in metropolitan areas. Building types are diversifying in acordance with the aceleration of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while buildings for simple use such as multi-unit houses, apartments, and commercial buildings are being more complicated acording to the neds of the urban development, consumer demands, segmentation, enlargement, smartification, and intelectualization.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gregate building law legislation that is established regarding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regate buildings while in particular, the management groups, managers, asemblies and their resolutions, regulations, and commercial industry restrictions that are most interested in practical practice are described comprehensively.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 system, and history of agregate buildings. In particular, it covers the main contents of the fourth amendment (December 18, 2012), which was the largest revision since the enactment in 1983. The fourth amendment is to improve and maintain the provisions for liability for defects in agregate buildings that have ben interpreted as a mater of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the Housing Act, and to expand opportunities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building management proces, for instance, having tenants and others at a meting of the management group under certain conditions to exercise voting rights. and so forth while it specificaly analyze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gregate building dispute mediation commite composed of experts from each city and province as a way to quickly and eficiently resolve disputes over agregate buildings. In addition,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establishment and concept of partitioned ownership. the management group and managers were examined as the management subjects of the agregate building. In addition, the concept, scope, and efect of the management regulations were considered while in particular, the legal nature of the commercial management regulations was examined in detail, and what was the cause of the dispute with the self-governing laws regulated by the shopping district management group, co-op of shopkepers, and others was analyzed. on several legal problems that arise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agregate buildings and multi-unit apartments. In the first section, the amendments to the agregate building law for the realization of agregate building management are intended to alow tenants to participate in the limited management of the agregate building. In the past, considering that tenants or renters who are not the owners of the agregate buildings are not given the authority t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 necesary for the management of the agregate buildings, the ocupants including tenants could also idealy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group meting regarding the management of the public sector, the appointment of a manager or a member of the management commite, and exercise voting rights on behalf of the partitioned owners in maters related to ordinary management that pays for themselves, thereby enhancing the interests of tenants, such as tenants who actualy live in or operate stores in order to make the management of the building more robust and to facilitate the normal management of the agregate building. In addition, if the partitioned owner does not expres his/her intention to exercise the voting rights regarding the appointment of the manager or the management commite, the tenant may exercise the voting rights to participate in the appointment of the management and management commite members. 공동주택을 포함하는 집합건물이 증가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법적 분쟁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본 논문은 공동주택 및 집합건물의 관리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는다양한 법적 쟁점 중에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집합건물 관리의 현실화를 위한 집합건물법의 임차인이 제한적으로 집합건물의 관리에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집합건물에 실제로 거주하거나 점포를 운영하는 임차인등의 점유자가 스스로 비용을 부담하는 관리 사항에 있어 구분소유자를 대신하여 관리단 집회에서 직접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집합건물에서의 임차인의 의결권의 확장에 관한 법 개정의 추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로 인한 실무적 견해를밝히었다. 그리고, 집합건물에서의 공동의 이익과 소유권의 제약에 관한 논리, 그리고소유권이 전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전면적 지배권과 배타성 등의 충돌 등에 관하여 집합건물법의 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집합건물의 규모와 용도에 따라 관리방식에차이가 있게 마련으로 소유와 관리를 분리하는 체제와 용도와 규모에 맞는 차별화된관리방법상에 관한 규정을 마련해야만 한다. 현대사회는 도시형 사회로의 발전 및 전환은 용도가 서로 다른 대형화 및 복합화된 건물의 새로운 집합건물을 일률적으로 관리하고 규율할 수 있는 제도적 관리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집합건물의 안전성과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의 목적을 이룰 수가 있기 때문이다. 구분소유자들의 자율성을 유지하면서도 건물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보다 구체화 된 기틀이 집합건물법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회분열로 인한 교회재산의 귀속에 관한 연구 : 분열부정의 원칙과 소수자의 권리를 중심으로

        김병근(Kim Byung-Gn),강혁신(Kang Hyuck-Shi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論叢 Vol.28 No.3

        기독교 교회는 초대교회 이후로 다양한 원인으로 분쟁을 거듭해 왔다. 과거 교회는 교리적 논쟁으로 분열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최근 교회는 교리적 문제로 인한 분쟁보다 자본주의 사상과 맞물려 교회재산권 귀속에 관한 분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교회분쟁을 해결함에 있어서 교회법이나 교회재판이 사법재판과 다르게 강제성이 아닌 임의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교회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교회 스스로 분쟁을 해결하지 못하고, 국가 사법기관의 판단에 맡기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 교회는 신앙공동체라는 특별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국가법, 국가제도와의 관계에서 종교의 자유, 정교분리 원칙에 의해 상호 간에 자주성, 독립성을 인정해 왔다. 하지만 현대 교회와 국가는 상호 개입하기 시작하면서 대립과 긴장 상태에 놓여 있으며, 특히 한국교회는 2006년 대법원이 사단법인에 관한 민법을 유추·적용하여 교회재산권 귀속에 관한 판례에서 교회분열을 부정하면서 결의권을 가진 교인 3분의 2이상의 찬성을 조건으로 교회재산의 전부를 귀속하게 하는 판결을 함으로서 교회분열로 인한 재산권에 대한 찬반 논쟁이 발생하게 되었다. 교회에 대해서 사단법인에 관한 민법을 유추·적용한 2006년 대법원의 판결은 교회분쟁으로 인한 교회재산 분쟁에 있어서 최종적인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판결이다. 하지만 다음 몇 가지 측면에서 대법원의 판결은 아쉬움과 우려가 있다. 첫째, 민법상 사단법인과 달리 행정기관에 허가나 등기를 하지 않고 설립하는 신앙공동체인 교회의 특별한 성질을 간과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사단법인에 관한 법을 유추·적용했다고 하더라도 우리 민법은 사단법인에 있어서 구성원의 탈퇴나 해산은 인정하지만, 사단법인의 구성원들이 2개의 법인으로 나뉘어 각각 독립한 법인으로 존속하면서 종전 사단법인에게 귀속되었던 재산을 소유하는 방식의 사단법인의 분열은 인정하지 아니하는 것이 원칙인데, 대법원은 3분의 2이상의 경우에는 교회분열을 인정하는 모순된 판결을 한 것이다. 둘째, 교단변경이나 교회분열 방지하는 목적이라면, 민법 제42조 제1항을 유추하고 적용하여 3분의 2이상을 요건으로 하는 것보다 민법 제78조를 유추하고 적용하여 4분의 3이상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 교회정통성과 재산권 부여의 정당성도 더 확보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교회의 적극적 재산의 권리에 대해서만 판단하고, 교회의 소극적 채무에 대한 의무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거나 유보함으로서 교회분열로 인해 채무자가 감소되어 추후 교회에 대해 채권을 가지고 있는 채권자에 대해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판결을 한 것이다. 넷째, 교회재산 형성의 기여도를 고려하지 않고, 3분의 2이상인 교인들에게 모든 교회재산의 소유, 사용·수익 권리를 인정하고, 나머지 교인들에 대해서는 완전히 박탈한 것은 비록 소수자일지라도 재산권에 대한 권리가 보장되어야 마땅함에도 재산권에 대한 권리를 전혀 주장하지 못함으로서 교리 또는 신앙관의 차이에 따라 종교의 선택, 탈퇴의 자유를 제한하고 침해하게 되어 헌법에 위배된다. 법원은 교회분열과 교회재산에 관해서 사법심사를 하게 되더라도 미국 법원의 취하는 방식처럼, 헌법의 정교분리의 원칙에 따라 교회와 국가, 교회법과 국가법의 자주성, 독립성을 인정하고, 교회분쟁 개입이 부득이한 경우에도 극히 최소한에 머물러야 하며, 종교단체의 특수성과 교회법을 존중하고 우선 적용하므로 판결을 내려야 한다. 교회와 국가는 서로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조화를 이루어 양자 간에 평화를 이루어 가는 것이 기독교가 추구하는 보편적인 질서이고, 교회가 취할 태도이며, 국가나 국가 사법기관인 법원이 취할 태도이다. Since the early church, the Christian church had conflicted for various reasons. In the past, the church had a strong tendency to divide due to doctrinal disputes, but recently, the church had frequently been led to disputes over the attribution of church property due to the capitalism rather than the disputes over doctrinal issues. However, in resolving church disputes in the Korean church, canon law and church trials are arbitrary and less binidng which differs from normal judicial trials. The phenomenon is expanding. The church has a special character as a community of faith and has been recognized to enjoy a mutual independence - -independence in relation to national law and national system by the principles of freedom of religion and separation of state and church.. However, the modern church and state had fallen in a state of confrontation and tension as they began to intervene. In particular, in 2006, the Supreme Court in Korea inferred and applied the Civil Act on incorporated corporations to deny church division in a case related to the attribution of church property rights, and affirmed that the Korean church had the right to vote. The ruling upheld that the entire property of church belong to the condition of approval by more than two-thirds of the church members.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in 2006, which inferred and applied the civil law on corporate bodies to the church, is a positive decision in that it provided the final standard for disputes over church property caused by church disputes. However, the Supreme Court s decision is regrettable and concerned in several respects. First, it overlooks the special nature of church, which is a community of faith that is established without permission or registration with an administrative agency, unlike a corporation under the Civil Code. And even if the law related to incorporated associations had been inferred and applied, our Civil Act recognizes the withdrawal or dissolution of members in an incorporated associa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court opinion the members of an incorporated association are divided into two corporations, each remaining as independent corporations and reverting to the former corporation. In principle, the division of an incorporated association in the way of owning the property that has been established had been proscribed, but the Supreme Court made a contradictory ruling that supported the division of the church in more than two-thirds cases. Second, if the purpose is to prevent denominational change or church division, more than three-quarters by inferring and applying Article 78 of the Civil Act rather than by analogy and application of Article 42 (1) of the Civil Act and requiring more than approval of two-thirds church members. It can be said that if it is made as a requirement, the legitimacy of church and property rights needs to be ensured more than court opinion. Third, by judging only the church s active property rights, and not mentioning or withholding any obligations for the church s passive debt, the debt is reduced due to the division of the church, resulting in losses to the creditors who have a right to claim to the church in the future. It was decided that it could be brought. Fourth, without considering the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church property, the right to own, use, and profit all church property is granted to more than two-thirds of the church members, and the remaining members are completely deprived of the right to property rights. The result is against the justice of property right, even if they are a minority. By depriving the right to property rights at all, it limits and infringes with the freedom to choose and withdraw from religion according to differences in doctrine or beliefs, thus violating the Constitution. The reality requires the courts to address the church disputes in many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