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차원 정밀지형자료의 토공계획 활용

        이진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839

        As data processing technology has rapidly developed, users who want to obtain space information through GIS demand the space information that is much closer to the reality than two-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as two-dimensional space data are largely generalized. As a matter of fact, the efficiency can be enhanced by utilizing three-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in more diversified way, which is significantly needed given the urgency and importance of the technology research in the future. In this research, civil engineering design program was built in a way that could enhance efficiency of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during the design process and enable designing through civil engineering modeling based on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calculate the exact earth works and to enable users to utilize the calculation result directly to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program, the construction equipments were designed to plan the process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der of the equipment based on the unit work load of the equipment. I prepared three-dimensional lattice DEM when calculating earth work to get precise result of earth work calculation. Based on this, I designed earth work table to convert civil engineering and utilize equipments. In consideration for the resources for various construction equipments needed for civil engineering works, soil conversion and the passage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result is restored in the form of open API-based KLM to make it possible for the users to identify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thereby enhancing the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and making it easier to sha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civil engineering program, I analyzed DAS(Complex Desig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and utilized by LH Corporation. Also, I executed actual design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earth work and soil conversion plan to conduct the verification to see how applicable the development program is. For the verification, I selected a substation located in San 14-1, Galwul-ri, Shinbuk-myon, Pochon City, Kyunggi Province as civil engineering design target. In DAS design, 5m contour line which was extracted from two-dimensional topological map in the scale of 1:5,000 was used. In EWS, DEM from the ground radar which is three-dimensional topological map. In theory, the smaller lattice, the more precise topological data in three-dimensional topological map.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accurate earth work than the map with larger lattice. However, I needed to add design that uses 1m contour line from DEM during DAS design as the design data. Unlike the earth work calculation with DAS which uses the identical block cell size of 40m, the earth work with EWS was calculated with different sizes of block cell such as 1m, 5m, 10m and 20m. As a result of the design, the earth work that was calculated with EWS by using 1m lattice was the smallest in all cutting and banking slopes. In order to validate the accuracy, the earth work designed in DAS by using 1m contour line extracted from DEM was calculated and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was similar to EWS earth work. When civil engineering was done with re-sampling through EWS, the cutting and banking slopes slightly increased as the size of lattice became larger. In this study, I executed civil engineering design and compared it with the existing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expected effect of civil engineering design by using three 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and its advantage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usability of three-dimensional space information, expected more accurate calculation of earth work and proceed with more reasonable construction in soil convers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 Also, it enables improvement of productivity by establishing efficient construction plan.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GIS를 통하여 공간정보를 획득하려고 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현실세계의 일반화가 많이 이루어진 2차원공간정보 보다 더욱 더 현실세계와 근접한 공간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3차원 공간정보가 다각적으로 활용됨을 통해 자료의 효용성을 제고함은 향후 기술 연구의 시급성 및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단지 설계과정 중 토공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토공계획에서 시공에 이르는 연결방안으로 3차원 지형공간기반의 토공모델링에 의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토공설계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정확한 토공량을 산출하고 공사현장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건설장비는 장비의 단위 작업량을 기반으로 장비의 작업순서에 따라 공정계획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토공량 산정시 측량자료를 3차원 격자 DEM을 작성하여 정밀한 토공량 산정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토공이동과 장비활용이 가능하도록 토적표를 구성하였다. 토공작업에 소요되는 각종 건설장비의 재원을 고려하여 이동토량 및 경로가 표시되도록 하였으며, 공사진행상황 파악이 가능하도록 open API 기반의 KML 형식으로 결과를 저장하여 3차원 가시화의 직관적 이해를 높이고 분석 결과의 공유가 용이하도록 제작하였다. 토공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해 기존의 LH공사에서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는 단지설계프로그램(DAS)을 분석하였고, 실재 설계를 수행하여 토공량과 토공이동계획을 비교분석함으로 개발 프로그램의 적용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해 토공설계 대상지역으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갈월리 산 14-1번지 일원의 신포천 변전소를 선정하였다. DAS설계에는 2차원 지형자료인 1 : 5,000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5m 등고선을 지형자료로 활용하였고, EWS에서는 3차원 지형자료인 지상라이다에서 추출한 DEM을 활용하였다. 이론적으로 3차원 지형자료의 경우 격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정밀한 지형자료이므로 이를 통한 토공설계시 격자의 크기가 큰 경우보다 정확한 토공량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도 검증을 위하여 DAS 설계시 DEM에서 추출한 1m 등고선을 설계자료로 사용한 설계를 추가로 수행하였다. EWS를 이용한 토공량 산정은 DAS를 이용했을 때 각 블록 셀의 크기를 40m로 통일했던 것과는 달리 블록 셀의 크기를 1m, 5m, 10m, 20m로 달리하여 결과값을 계산하였다. 설계 결과 1m 격자를 사용하여 EWS로 설계한 토공량이 절성토 모두에서 가장 적은 값을 보였으며, 정확도 검증을 위해 DEM에서 추출한 1m 급 등고선으로 DAS에서 설계한 토공량이 EWS 토공량과 거의 근사한 값을 보였다. EWS를 통하여 리샘플링하여 토공설계하였을 때 격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절성토량 모두 소폭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토공설계를 수행하여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므로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토공설계의 기대효과와 장점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3차원 공간정보의 활용성을 제고하고, 보다 정확한 토공량 산정을 기대할 수 있으며, 토량이동계획 및 토공작업의 수행에 있어 보다 합리적인 공사진행이 가능하게 할 것이며, 효과적인 공사계획의 수립을 통한 건설 생산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金芙蓉과 薛濤의 詩歌 比較 硏究

        이진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intended to review lives and both of literary aspects and worlds of well-known poetesses, Kim Bu Yong and Xue Tao (薛濤) of Korea and China for the comparison of Korean-Chinese women’s literature. Although they all were of Ginyeo status, they were highly recognized and complimented by a number of male writers, and overcame their unreasonable realities with invincible spirit in the feudal society of the Middle Ag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plain what they showed through their works, and how we should assess their poetry works by breaking out of their social status. Kim Bu Yong (1853-1893) ‘s last name is Kim with Bu Yong for her real name, and Woon Cho for her pen name. She is a representative Korean poetess as a Ginyeo. Her collection of poems『Bu Yong Collection』contains more than 300 Chinese poems, and Xue Tao (770-832) was born in Chang’an and her adult name is Hong Do. She is the most remarkable poetess as a Ginyeo in Tang’s period. However, her collection of works 『Geum Gang Collection』containing her 500 poems has not been handed to us by now. In Chapter 2, causes of Ginyeo literature development wee analyzed by considering their lives and historical backgrounds where they were placed in, and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ons between them were examined. Kim Bu Yong and Xue Tao were of Ginyeo status, but they were very proactive to exchange their literature by corresponding with leading writers at that time, and so it proves they all were at the high level of literature. In Chapter 3, contents of their works of poetry and song were examined first, and common aspects were found in their preference in quatrain with seven-word line. In addition, they created various styles of poems including five or seven-word line and regulated verse, and skillfully used rhetorics for work’s composition. They had something in common to have conversation by writing with a number of writers in the noble class through all their lives, they had same inner side of emotions such as loving and parting as women, and they spoke their minds by leaning against nature objects to express their loving, longing, and resenting in their affections. As for another common ground, it is their creation of beautiful poems with the most implicative words in harmony with themselves, affections, and nature scenes by well capturing beautiful shapes in nature. Buddhist euthanasic thoughts, samsara, and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influenced many poets, and Kim Bu Yong and Xue Tao intended to have certain comfort in mind through religious factors of Buddhism and Taoism. Next, their techniques in poetry expression were analyzed. Kim Bu Yong’s poets have a inclination to the outer-directed aim out of self-concerted and unsociable tendency, so poetry world is typified as sound and bright. However, Xue Tao used easy language but it was not shallow at all. Rather it was deep enough to express her warm-hearted affections. Lastly, the inner side of consciousness in poems and songs for Kim Bu Yong and Xui Tao was examined. Under the circumstances trapped in social frames as woman and Ginyeo, they all realized they had to rely on men due to limits of their social status, but their wills were not shown to deny or break from their such realities. Just their passive attitudes were shown to accept and agree with such realities where they were placed in. Ginyeo’s agony was also shared between them, which they were obliged part with loved ones and serve them with care. In their works expressed with women’s consciousness, both of them created many poems to show women’s emotions with loving as the theme just like ordinary women. However, compared to Xue Tao, Kim Bu Yong shoed different aspects of works according to her upward mobile from gisaeng to concubine into high-born noble class. Poems as a concubine showed stronger and deeper Confucian consciousness as a woman than a gisaeng. Compared to Xue Tao, never married, she was more domestic as a good wife and wise mother. Poems representing poetess’s consciousness consists of nature or its objects and scenes rather than women’s emotions, and showed relatively less strong inclinations to women, in terms of the theme, and Kim Bu Yong and Xue Tao showed some aspects in materials or themes which were usually adopted in other general poems. Such poems did not clearly show strong consciousness as Ginyeo or woman, but did efforts to overcome limits of poems which have love stories with men as their materials. On this wise, Ginyeo literature of women’s literatures is considered the most liberal and sincere in poetess’s emotional expressions, compared to the literature written about noble-class women’s life. This study attempted to perform the comparative study on Kim Bu Yong and Xue Tao as representative poetesses in Ginyeo literature of Joseon Dynasty and Tang’ age, as a way of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Ginyeo literatures.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entire comparison and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female writers and their works shall be more meaningfully contributed through such comparative ground. 이 논문은 韓·中 女流詩人인 金芙蓉과 薛濤의 詩歌作品을 비교하여, 두 시인의 삶과 문학의 양상 및 문학세계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비록 妓女詩人이였지만 金芙蓉과 薛濤는 모두 수많은 남성문인들의 인정과 찬사를 받았으며 중세 봉건사회의 부조리한 현실을 강건한 정신력으로 이겨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두 시인이 자신들의 작품으로 무엇을 보여주었으며 그녀들의 시 작품을 신분적인 요소를 떠나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해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金芙蓉(1853-1893)의 姓은 金氏이고 본명은 芙蓉, 호는 雲楚, 純祖朝人으로 한국의 유명한 女流詩人이자 기녀시인이다. 그의 작품집인 『부용집』에는 수록된 300여首의 한시가 전해져있다. 薛濤(770-832)는 長安 태생으로 字는 洪度이다. 唐代의 가장 뛰어난 여류시인이자 기녀시인으로서 지은 시 500여 편의 시를 모았다는 문집인『錦江集』이 있다고 하지만 오늘날에 전해지지 않고 있다. 2章에서는 金芙蓉과 薛濤의 생애와 그녀들이 처하고 있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통해 기녀문학이 발달을 하게 된 이유를 분석하고, 공통적인 특징과 변별점을 찾아보았다. 金芙蓉과 薛濤는 기녀의 신분이지만 당시 일류 문인들과 교류하면서 서신을 주고받는 등 문학적 교류가 활발했던 시인으로 두 시인의 작품들은 높은 문학적 수준을 지녔음을 알 수 있다. 3章에서는 우선 金芙蓉과 薛濤의 詩歌 作品의 내용을 고찰해보았다. 七言絕句를 선호하는데서 공통한 모습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五言·七言,絕句·律詩를 망라한 다양한 詩體의 작품을 창작하여 전하고 있으며 작품의 구성 면에서도 수사법을 능란하게 구사하고 있다. 두 시인은 평생토록 수많은 문인 사대부와 唱酬하였고 여성으로서의 사랑과 이별이라는 작품의 내면정서가 같았으며 애정에 포함된 사랑이나 그리움, 그리고 원망의 감정을 표현함에 있어서 자연적 사물에 기탁하여 토로하였다. 또한 자연 가운데서도 아름다운 형상을 잘 포착하여 시인 자신의 情과 자연의 景이 잘 어우러져 융합되어 가장 함축적인 묘사로 아름다운 시작품을 창작했다. 불교적인 極樂往生과 輪回의 사상과 도교적인 神仙思想은 많은 시인들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김부용과 설도는 불교와 도교의 종교적인 요소를 통해 마음의 위안을 삼고자 했다. 다음으로 金芙蓉과 薛濤의 詩歌의 表現 手法을 분석해 보았다. 김부용의 시는 모두 자기중심적이고 폐쇄적인 경향에서 벗어나 외향적인 지향을 띠고 있어서 詩世界는 건강하고 밝은 것이 특징이며 설도는 언어가 平易하나 천박하지 않고 뜻이 깊으며 소박하면서도 정이 풍부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金芙蓉과 薛濤의 詩歌作品의 主題 意識을 분석해 보았다. 여성과 기녀라는 틀에 매인 金芙蓉과 薛濤의 詩作品에서 그녀들은 모두 기녀라는 신분적인 제약성으로 말미암아 남성들에게 기대어 생활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자각하고 있지만 그런 것을 부정하거나 벗어나려는 의지는 보여지지 않았다. 다만 그러한 현실을 인정하고 수긍하는 피동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질 수 밖에 없고 섬기는 사람을 조심스럽게 대할 수밖에 없는 기녀만의 고민 또한 같은 것이다. 여성의식이 표출된 詩作品 들에서는 金芙蓉과 薛濤는 모두 사랑을 주제로 하는 일반적인 여성으로서의 정서가 반영되는 詩作品들이 다수이다. 하지만 설도에 비하여 金芙蓉은 기생에서 사대부명문가의 소실로 신분적인 상승을 이룩함에 따라 作品樣相이 다르게 나타났다. 소실로서의 詩는 기생신분일 때 보다 유교적 여성의식이 보다 짙게 나타났다. 평생 혼인을 하지 않은 설도에 비하여 가정적이면서도 현모양처적인 모습을 드러냈다. 시인의식을 보여준 시들은 주제의 면에서는 여성적인 정서나 감정보다는 자연과경물에 대한 시들로 여성적인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으며 일반 시인의 시에 많이 등장한 소재나 주제를 다루는데서 金芙蓉과 薛濤 또한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들은 모두 기녀의식이나 여성적인 의식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남성과의 애정을 소재로 하는 시 작품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이처럼 양반 부녀층이 창작주체인 규방문학에 비교하여 보면 같은 여성문학 중 기녀문학은 여성시인의 감정표출에 있어서 가장 자유로우며 진실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韓·中 여성문학의 비교작업의 일환으로 우선 朝鮮時代와 唐代의 金芙蓉과 薛濤에 대한 比較硏究를 시도해 보았다. 앞으로 이러한 비교의 기초위에서 한국과 중국의 여성작가 및 그 작품들에 대한 전반적인 비교와 연구가 이루어지면 더욱 의미 있는 작업이 되리라고 믿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