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식과 권력의 규범적 관계 모색: 밀턴의 도덕적 지식과 이성적 정체(政體)

        이종우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02 중세근세영문학 Vol.12 No.2

        This essay discusses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knowledge, considering Milton's idea that true knowledge can provide the conditions for a thorough reform of society. In his political tracts, Milton expresses the idea that a new formation of polit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required to limit the manipulative power of the politicians or partisan writers over susceptible people. According to Milton, the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social control which stands in the way of a general reformation is to ensure the better circulation of knowledge and proper ethics. The process of King Charles I's condemnation and the event of his execution in 1649 raised some controversies about whether his trial was justified and the meanings that it had politically. Many pamphlets condemning the King or Parliament were published that voiced different views and explanations of the event. Royalists claimed that the execution was not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oper procedures of the law. This view was opposed by Milton who argued in his political tracts that the King was a tyrant rather than a just ruler who abused his power and broke his contract with the people. Therefore, his execution was fully justified. Milton's concerns were not limited to the exploration of the King's wrong-doing nor the attacks of those who disagreed with him. He was also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rhetoric which was shrewdly employed by the Royalist apologists to deceive the opponents. In Eikonoklastes, he aims to expose the crimes of King's regime. By showing how much of King's rule was dependent upon ill-conceived political machinations rather than a proper governmental policy, he attempts to demystify the King's image and to counter the false forms of knowledge created by Royalist propaganda. According to his argument, the King was not a locus of political authority rooted in intellectual leadership supported by true knowledge but a key figure in political imposture armed with the vanity of mere words. Although the King was far from being the earthly manifestation of the godly rule which Milton expected at the time, the people, nevertheless, tended to approve his tyrannical rule and engage in his idolatry. In this context, Milton's self-appointed task was to ensure that the people would be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choose the interpretation which would best reveal the true nature of the King's words and deeds so that they could become no longer his dupes but his judges. As Milton continually stresses, the power of the state remains the province of the people rather than being inherent in authority. Therefore, as he suggests in Eikonoklastes, there is a need for active readership on the part of the English people in responding to Charles's regime and his carefully-crafted image. As Milton emphasizes in his political tracts of late 1640s and 1650s,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readers to see a political situation correctly. One model he suggests is to break the "double sense deluding." It is a model of reading based on reason and judgement that can produce the moral knowledge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an ideal polity rather than on the external authority of an institution. Warning about the moral and epistemological failure of the King's regime, Milton claims that an ideal new polity should base itself in the search for moral knowledge. The moral knowledge can be epitomized as following: "Truth is but Justice in our knowledge, and justice is but Truth in our practice." This knowledge, if understood properly, can provide the means to tackle some of the political problems of seventeenth-century England and lead to the creation of an ideal polity.

      • KCI등재

        물질을 둘러싼 논란의 검토를 통한 조선 중기 종교문화지형의 재고찰 -선조 대 황랍 반입 사건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우 한국역사민속학회 2022 역사민속학 Vol.- No.6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ase of bringing yellow beeswax in royal court by King SeonJo and to reveal that the royal Buddhist faith was maintained in King SeonJo era, and through this, King SeonJo tried to raise the dignity of the royal famil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the Seo-In(西人) consistently recalled the incident of King SeonJo's bringing in yellow beeswax in the process, using Lee Yi, who opposed the bringing in yellow beeswax, as their leader. On March 20th, the 7th year of King SeonJo(1574), King SeonJo ordered 500 Geun of yellow beeswax. Yellow beeswax was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was a very valuable item at that time. However, vassals opposed the bringing in of yellow beeswax, suspecting that the bringing in of yellow beeswax by King SeonJo was for the manufacture of Buddha statues. In response, King SeonJo protested using extreme words. Later, King SeonJo explained that he brought in yellow wax for making candles for reading, and the case ended by returning the remaining yellow beeswax after making candles SeonJo's bringing in yellow beeswax was intended to carry out Buddhist practices such as the manufacture of Buddha statues, considering that the royal family had performed a lot of Buddhist practices since the beginning of King SeonJo, the amount of yellow wax of 500 Geun, and the introduction of yellow beeswax and mercury together. However, it was canceled due to the opposition of vassals, and in the process, King SeonJo strongly protested the opposition of vassals, and through this,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was confirmed. In addition, through the reproduction of this case, Seo-Ins later made Lee Yi, who strongly advised King SeonJo to bring in yellow beeswax and resigned, as the leader of Seo-in, and used Lee Yi's behavior as an example of advic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oyal family maintained its Buddhist faith until the king SeonJo’s era through the incident of bringing in yellow beeswax by King SeonJo. This is an example of opposition to the religious topography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generalized as “Sungyueokbul(崇儒抑佛)” It is also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religious topography of some era through the review of the material and discourse produced by people on the material. 본 논문의 저술 목적은 선조 대의 황랍 반입 사건을 검토하고, 이것을 통해 선조 대에 왕실의불교 신앙이 유지되었고, 선조가 왕실의 위엄을 높이려고 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서인(西 人)들은 선조(宣祖)의 황랍 반입에 반발했던 이이(李珥)를 자신들의 종주로 삼고, 대간의 모범의위상을 부여했는데, 이 과정에서 선조의 황랍 반입 사건을 꾸준히 상기시켰음을 드러내는 것도 본논문의 저술 목적이다. 선조 7년(1574) 3월 20일, 선조가 황랍 500근을 들이라는 명을 내렸다. 황랍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당시로서는 매우 귀한 물품이었다. 그런데 유신들은 선조의 황랍 반입이 불상 제조를위한 것이라고 의심하면서 황랍 반입을 반대했다. 이에 대하여 선조는 극단적인 말을 사용하면서반발했다. 이후 선조는 독서를 위한 초 제작을 위해 황랍을 반입했다고 해명했고, 초를 제작하고남은 황랍을 반납하는 것으로 사건은 종료되었다. 선조의 황랍 반입은 왕실이 선조 초부터 불사를 많이 벌였다는 점, 500근이라는 황랍의 양, 황랍과 수은을 함께 도입했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불상 제조 등 불사를 벌이기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유신들의 반발로 무산되었고, 이 과정에서 선조는 유신의 반대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이것을 통해 왕실의 권위를 확인했다. 또한 서인들은 훗날 이 사건의 재생산을 통해 선조의 황랍 반입에 대하여 강하게 간언하고 사직까지 했던 이이를 서인의 종주로 삼고, 이이의 행동을 간언의 모범으로 삼았다. 선조의 황랍 반입 사건을 통해 선조 대까지 왕실이 불교 신앙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숭유억불”로 일반화되는 조선시대 종교지형에 반대되는 사례이다. 또한 물질과 물질에관하여 사람들이 생산한 담론의 검토를 통해 특정 시대의 종교지형을 파악할 수 있음도 확인된다.

      • KCI등재

        각일기성(各一其性)에 관한 율곡 만년정론 논쟁: 이현익 대 권상하ㆍ한원진의 논쟁

        이종우 영남퇴계학연구원 2023 퇴계학논집 Vol.- No.32

        As the root of debate whether human and animal nature is the same or different, a debate between Ho-Rak groups on whether the individual nature is li or, uniting li and ki, had develop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topic was the main point of Horak debate. Yulgok Yi I said the nature is li: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sincerity, in the Essential Sage Learning. On the other hand, Yi I said the nature is uniting li and ki in Reply to Seong Howon, a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On those, Jeongam Yi Hyeonik, a member of Rak group, claimed Yi I’s established theory on the nature is li, the Essential Sage Learning. By contrast, Suam Gwon Sangha claimed the individual nature of Yi I is uniting li and ki. The individual nature means only li in the Essential Sage Learning, whereas both li and ki in Reply to Seong Howon. That after, Namdang Han Wonjin, a disciple of Gwon Sangha and Ho scholar, claimed that of Yi I is the same as uniting li and ki, criticizing Yi Hyeonik’s argument and supporting for Gwon Sangha’s. They believed Yi I’s sayings are consistent, so his latter year establishing theory is not. Han Wonjin regarded the nature as not two but one. When some see only li, it is li. But he sees both li and ki, it is uniting li and ki, according to Han. Therefore, the former is Original Nature, while the latter Original Nature or Physical Nature. The individual nature is only li meaning Original Nature of first principle in the Essential Sage Learning, whereas both li and ki of function from principle in Reply to Seong Howon. Yi I saw the individual nature with both original nature and physical nature, so the interpretations of Yi I by Yi Hyeonik, Gwon and Han is difficult regarding as correct. 호락(湖洛)논쟁의 쟁점으로서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논쟁의 이론적 근거인 각일기성(各一其性)이 리(理)인가 합이기(合理氣)인가 라는 문제는 중요한 주제였다. 낙학의 이현익은 호학의 권상하에게 율곡 이이는 「성학집요」에서 각일기성을 인의예지신의 리, 「답성호원」에서 그것을 합이기라고 서로 다르게 썼기 때문에 전자를 율곡의 만년정론(定論)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하여 권상하는 이이가 각일기성을 합이기라고 일관적으로 여겼기 때문에 그의 만년정론과 초년미정론이란 없다고 이현익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그는 「성학집요」의 각일기성을 리, 「답성호원」의 각일기성을 기 속의 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훗날 그의 문인 한원진은 「성학집요」에서 각일기성을 리라고 쓴 것은 리만을 본 것이고, 「답성호원」에서 그것을 기지리(氣之理)라고 생각하여 인간과 개ㆍ소의 성이 다르다고 쓴 것은 리와 기를 함께 보고 쓴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 때문에 이이의 그러한 설을 초년미정론과 만년정론이라고 구분한 것이 잘못되었다고 이현익을 비판하였다. 한원진은 성을 삼층으로 구분하여 전자를 일층, 후자를 이층이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그러한 성은 여러 가지가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뿐인데 단지 인간이 리만 보거나 리와 기를 함께 보는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여겼다. 이 때문에 그는 이현익이 이이의 각일기성을 잘못 해석하였다고 비판했던 것이다. 한원진에 따르면 「성학집요」와 「답성호원」의 각일기성은 둘 다 본연지성에 해당된다. 왜냐하면 한원진은 일층과 이층의 성 둘 다 본연지성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이는 각일기성을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으로서 두 가지로 보았기 때문에 이현익처럼 초년과 만년이 다르다고 하기도 어렵고, 권상하와 한원진처럼 일관성이 있다고 평하기도 어렵다.

      • 韓國 華僑의 現地化에 관한 硏究

        이종우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7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6 No.1

        한국 화교들에 대한 차별대우는 한국의 외환위기 이후 많이 개선된 것이 사실이나 아직도 많은 차별이 철폐되지 않고 있다. 중국경제의 성장, 한중 경제교류의 확대, 동남아권의 방대한 화교사회 등을 고려할 때 한국 경제성장의 한 축으로서 한국 화교를 잘 활용하기 위한 지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화교들이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융화되는데 걸림돌이 되는 각종 법적ㆍ제도적 차별대우를 철폐하고 화교들에 대한 교육제도를 정비하며 또한 복지혜택부여 문제를 검토하여야 한다. 아울러 정부가 차이나타운 건립을 지원하여 해외 화교 관광객 및 자본 유치를 증대시켜야 한다. 한국 화교의 실질적인 융화정책은 중화경제권과의 우호증진 뿐만 아니라 한국내부의 세계화를 이룩하는 길이 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he localization strategy so that Chinese overseas in Korea can play their roles as proper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Chinese overseas in Korea had been treated unequal differentiation in Korea especially befor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1998. In consideration of rapidly growing Korea-China relation and large Chinese overseas in many countries, localization and network setup are absolutely necessary for Chinese overseas in Korea. For this, their legal status ought to be upgraded, educational system arranged, welfare benefit given, and systematic hurdles removed. Establishment of China Town needs to be supported to elicit massive tourist income and capital of the Chinese overseas in the Southeast Asia. There will be a lot to earn from a harmonious network among the Chinese merchants in Korea, the Chinese market, and the Chinese abroad in Southeast Asia.

      • APOMYOGLOBIN에 의한 MICELLE화 과정의 작용모델

        이종우 Natur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JEONJU UNIVERSI 1995 전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학술논문집 Vol.8 No.1

        Abstract. Many studies for micellization by proteins have been reported and it's working models have been suggested. Also, structure of apomyoglobin has been very much studied and many informations are useful now. From all these data and results in this paper that is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 new working model for micellization is proposed. Five amphiphilic α-helices (A, B, E, Ii and G helices) of apomyoglobin predicted by hydrophobic moment plot may interact with phospholipids. The E helix of these that is very hydrophobic may initially interact with phospholipid and then others may bind at the surface of bilayer. The F helix may penetrate deeply into the lipid bilayer with dragging other helices. As the apomyoglobins were more bound to the vesicles, the polar faces of these helices may aggregate to form pore in the membrane. Finally the polar face of these amphiphilic a-helix may be exposed to aqueous phase and the vesicle may be broken down into micellar forms.

      • KCI등재

        개혁론자 밀턴과 「종교개혁론」

        이종우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999 문학과종교 Vol.4 No.1

        밀턴의 「종교개혁론」은 그의 첫번째 산문으로서 당시 진행중이던 종교개혁에 대한 문학적 반응이다. 성직자의 꿈을 포기한 밀턴은 글쓰기에서 자신의 소명을 발견하고 문학인으로서 자신의 진로를 모색하던 중 1640년대 초의 정치 · 종교적 상황을 맞이한다. 이 당시는 정치 · 종교적으로 천년왕국설이 평배하면서 이것이 지배담론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물론 당시에도 종교개혁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전개되었다. 그때까지 진행된 종교개혁의 성격에 관한 치열한 논쟁속에서 영국의 종교개혁이 완성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후퇴의 길을 걷고 있다는 데 대부분 견해를 같이 했다. 이러한 견해 뒤에는 종교개혁을 위해 영국이 선택되었으나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한 데 대한 실망과 반성의 태도가 전제되어 있었다. 이 시점에서 밀턴은 지금 자신이 조국을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기에 이르렀고 그 해답으로 당대 최대의 현안이었던 종교개혁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밝히기로 결심한다. 즉 당대의 전형적인 문제에 전형적인 해답을 제시하려고 노력함으로써 소명으로서의 글쓰기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한다. 「종교개혁론」에서 밀턴이 당시 족교적 현실을 향해 든 첫 번째 반기는 감독제에 대한 비판이었다. 밀턴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종교개혁의 과정은 자유와 훈육의 중요성에 대한 보장과 깊은 연관이 있었다. 그런데 1640년대 초 영국의 종교적 현실은 윌리암 로드를 위시한 일군의 종교지도자들이 감독제라는 성직체계를 만들어 예배의 진정한 의미보다는 외양을 중시하고 종교 본연의 임무보다는 정치와 결탁하여 세속화된 교회의 전형적 모습을 띠고 있었다. 물론 당시 종교지도자들이 카톨리과의 결별을 선언한 상태에서 나름의 종교개혁을 진행시킨 점은 고려되어야 하지만, 당시의 상황은 근본적인 종교개혁이 아닌, 끊임없이 현실과 타협하는 가운데 밀턴이 생각하는 진정한 종교개혁의 모습과는 거리가 먼 공허한 메아리만 울리고 있었다. 밀턴에게 있어서 이들의 개혁은 그 외양은 있으되 알맹이가 없거나 종교의 본질과 형식이 뒤바뀐 채 형식자체가 숭배대상이 되는 우상숭배적 성격마저 가진 듯이 보였다. 이런 우상숭배적 성격을 심화시키는 것이 바로 감독제였다. 이 감독제는 인간의 기본적인 능력인 신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을 부정하고 모든 종교활동은 성직자의 권위에 의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것은 이 제도가 신과 인간의 이원적인 구도가 아닌 신, 성직자, 일반인의 원적인 구도를 설정함으로써 종교적 진리에 나아가려는 일반인의 자유를 가로막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제도를 향한 밀턴의 문제의식은 신은 도대체 인간에게 무엇인가라는 원칙적인 것으로 감독제는 이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했다. 이 지문에 제대로 답하는 종교개혁이 진정한 종교개혁이며 밀턴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종교개혁인 것이다. 「종교개혁론」에서 밀턴은 종교개혁의 결과로 이상적인 국가가 건설될 수 있다고 믿었다. 물론 이상국가 건설은 당시의 천년왕국에 대한 현실적 대응이었다. 이념적 토대가 신의 대의 명분과 천년왕국이라는 신적 기반에 있기는 하지만, 그것을 구체적인 현실에서 성취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수단과 방법이 필요했다. 여기에서 종교적 리더십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밀턴의 이상국가에서는 종교적 원리는 정치적 원리와 분리될 수 없는 것으로, 개개인의 구체적인 삶을 지배함은 물론 국가의 운명이 걸린 정치체제의 근간을 이루는 원리이며 국가경영의 기본 이데올로기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렇게 볼 때 한 국가를 다스리는 정치지도자들에게 있어서 그들의 통치이념은 종교적 도덕성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밀턴의 생각이었다. 실제로 밀턴은 종교개혁은 진정한 인간의 행복을 완성시키는 과정인데 그 행복을 위해서 필요한 자유에는 세 가지 곧 종교적, 개인적, 사회적 자유가 있음을 인식하고 그러한 인식 하에 1640년대 초 영국의 정치 · 종교적 현상을 개혁하려고 노력했다. 밀턴의 이러한 현실 변혁 노력은 자신의 재능과 능력을 십분 발휘하여 당대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종교개혁을 거론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종교개혁 문제를 거론하는 가운데 밀턴은 당시의 지배체제에서 잘못 고착되거나 왜곡된 채 사용되는 의미를 점검해서 본질적 실재 혹은 정확한 의미로 환원시키고자 노력한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당대 역사적 현실에 대응하는 밀턴의 전형적 방식으로 그의 문학론의 정위(定位)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