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に紹介された欧米教育学説における「体育」の扱い方

        中野浩一(Nakano Koichi),李吉魯(Lee GilRo)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1

        1868년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은 서양의 진보주의에 기초하여 주로 구미의 사상과 과학의 도입에 역점을 두었다. 이로 인해 일본의 교육학은 서양교육학설의 영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일본에 소개된 구미교육학설의 번역서와 일본인들에 의해 집필된 도서를 연대순으로 정리해 봄으로서 ‘체육’에 대한 언급의 유무, 그리고 그에 관한 추이와 개념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체육’에 대해 번역교육서에서 언급의 유무를 검토한 결과, 1870∼90년대에는 체육에 대한 언급이 나타났으나 1900년대 이후에는 극도로 감소하였다. 1870∼80년대에는 신체교육의 의미로서 언급되어졌고 1890년대에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1900년대 이후에는 신체교육의 의미로서의 체육에 대한 언급이 극히 소수에 한정되어졌다. 1890년대부터는 신체보호로서의 의미가, 1900년대 이후에는 운동교육으로서의 의미가 사용되어졌다.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 1868, Japan attempted to introduce physical education. This paper establishes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educational translation books,” the Western educational theory books that were translated into Japanese; compares the books with reference/non-reference to the term physical education; and provides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concepts of the term. The examination of the number of references concerning physical education in educational translation books shows that, while the term is referred to in books written during 1870∼1890, it is seldom referred to after 1900. In a continued examination of the concepts of physical education, only the education of the body can be seen in the books from 1870∼1880, and reference to it gradually decreases in 1890, with a drastic decrease in the early 1900s. References to the care of the body can be seen in the books after the 1890s, and few references to educa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are seen after the early 1900s.

      • KCI등재

        近代日本におけるペスタロッチ教育学説の変遷とその影響 - 身体教育の概念に注目して -

        中野浩一(Nakano, Koichi),李吉魯(Lee, GilRo) 동아시아일본학회 2022 일본문화연구 Vol.- No.81

        본 연구는 일본의 페스탈로치주의에서 신체적 측면이 어떻게 취급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페스탈로치 교육학설은 메이지(明治)초기부터 메이지 1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교육목적을 지 · 덕 · 체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1801). 따라서 당시의 일본 교육학은 ‘지육’, ‘덕육’, ‘체육’의 세 가지로 교육을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 이후로 ‘체육’의 개념은 신체교육을 의미하게 되었다. 메이지 20년대에는 교육목적을 정신면에 한정하는 헤르바르트의 교육학설이 도입되면서 종래의 신체교육 개념은 부정되었다. 이에 따라 ‘체육’이라는 단어의 개념은 신체양호 혹은 신체활동을 통한 운동교육의 개념으로 변화되기에 이르렀다. 메이지 30년대 이후에는 페스탈로치의 학설을 재평가하고자 하는 나도르프(Natorp)의 교육학설이 주목받게 되었으나 신체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메이지 20년대의 헤르바르트의 교육학설과 동일한 맥락으로 교육의 문제가 아닌 의학적인 문제로 인식하게 되었다. 즉, 신체교육의 개념은 메이지 초창기에만 그 존재가 인정되었으며 메이지 30년대에 페스탈로치가 다시 주목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에는 부활되지 않았다. This study clarified how the physical aspects were treated in Japanese Pestalozziism.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estalozzi"s educational theory was mainstream from the early Meiji era to the 10s. Pestalozzi’s main work “Wie Gertrud ihre Kinder lehrt”(1801) had been divided educational objectives into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so Japanese pedagogy at that time generally consisted of three contents: “intellectual education”, “mor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is term “physical education” meant the education of the body. In the 20s, when Herbartianism was introduced, which limited the purpose of education to the mental side,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of the body was denied. Along with this, the concept of the term “physical education” changed into the care of the body, or the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activity. In the 30s, Natorp"s educational theory, which advocated the revival of Pestalozzi, attracted attention. However, as with Herbartianism in the 20s, the physical aspect was perceived as a medical issue rather than an educational one. After all,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of the body was recognized only around the beginning of the Meiji era and never revived after that, despite Pestalozzi regaining attention in the 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