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匈奴·鮮卑 銅鍑의 특징과 변천

        海 蓮(Lee, Haeryeon) 부산고고학회 2014 고고광장 Vol.- No.14

        銅鍑은 북방 유라시아 일대에 보이는 고대 북방 민족의 취사도구이다. 중국 연구자들에 의하면 중국의 북부에서 유목민이 중국의 청동 제작 기술을 도입하여 만든 특수한 용기가 동복이며, 흉노· 선비 등 유목민족의 취사도구로 중국 북방 지역에서 출현해서 서방으로 전파되었다고 한다. 이 글은 서한 시기 이후 몽골과 중국 지역에서 출토된 흉노와 선비 동복에 대하여 검토한 글이다. 동복은 대각의 유무, 귀의 형태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고, 동체 부의 문양 유무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 Ⅰ형은 대각이 있고 구연에 方形耳가 붙은 것, Ⅱ형은 대각이 있고 구연에 半圜耳가 붙은 것, Ⅲ 형은 대각이 없고 方形耳가 붙은 것, Ⅳ형은 대각이 없고 半圜耳가 붙은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한 특징으로 나누어 보면 흉노 동복은 대각이 있고,「 山」자 모양의 方形耳 옆에 작은 장식이 있고, 구형에 가까운 심복에 弧弦紋이 장식되어 있고, 대각의 투창은 작은 삼각형인 것이 특징이다. 대각이 있고 구연에 半圜耳가 붙은 것은 예가 극히 드물지만 반구형의 동체에 두 줄의 돌대가 돌아간다. 대각이 없고 半圜耳가 붙은 것은 장동의 심복형 동체에 호선문이 장식되어 있는 것, 무문일 경우는 구연에 붙은 귀에 작은 장식이 붙는 특징이 있다. 선비 동복은 대각이 있고「 山」자 모양의 方形耳 옆에 작은 장식이 없거나 흔적이 있고, 장동의 심복에 무문이 특징이다. 대각의 투창은 삼각형 혹은 방형이다. 대각이 있고 구연에 半圜耳가 붙은 것은 內蒙古 扎賚諾爾古墓 출토품을 제외하면 모두 심복에 무문이다. 대각이 없고 半圜耳가 붙은 것은 심복에 동체 상부에 선문 장식이 있다. 즉 ⅠA, ⅡA, ⅢA, ⅣA는 흉노 동복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ⅠB, ⅡB, ⅢB, ⅣB, ⅣC는 선비 동복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Bronze caldron is the cooking utensil of ancient northern races shown in the whole area of the Northern Eurasia. According to Chinese researchers, bronze caldron is an utensil made in the northern part of China as the special container manufactured by nomads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by introducing bronze manufacturing technologies of China, and it is said that it had been spread to the West after its emergence in the northern region of China as the cooking utensil of nomads such as the Huns and Xianbei, etc. This paper is the writing reviewed on bronze caldrons of the Huns and Xianbei with bronze caldrons excavated after the era of the Western Han in the Mongolian and Chinese regions as its target. Bronze caldron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fact whether there is any leg-type mount or not and the form of ear, and it can be subdivided as per whether any pattern is existed in the main body part. It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Type Ⅰis the bronze caldron which has its leg-type mount and whose square ears are attached to its mouth, type Ⅱ is the one which has its leg-type mount and whose hemispherical ears are attached to the mouth, type Ⅲ is the one which has no leg-type mount and has square ears attached, and type Ⅳ is the one which has no leg-type mount and has hemispherical ears attached. Therefore, if it is divided on the basis of these features, the bronze caldron of the Hun is characterized with its leg-type mount, small ornaments located near square ears in the shape of threepronged fork(山), and round linear pattern ornaments at its deep middle part similar to the globular shape, and through holes of leg-type mount which are shaped as small triangles. Although example of the bronze caldron which has leg-type mounts and hemispherical ears attached to its mouth is extremely rare, two slightly protruded lines on the surface of caldron are surrounded around hemispherically shaped main body. The bronze caldron which has no leg-type mount and to which hemispherical ears are attached is featured with round linear pattern ornaments in the long main body of caldron with deep middle part type, or small ornaments attached to the ear that was attached to its mouth in case of the bronze caldron with no pattern. Bronze caldron of the Xianbei is characterized with its leg-type mount, no small ornament at the side of square ear in the shape of three-pronged fork(山) or vestige of the ornament, and no pattern at the deep middle part of the long main body of caldron. There are triangle or square through holes at the through hole location of leg-type mount. Except for the article excavated at the old tomb in Zhalainuo er(Jalainur), Inner Mongolia that has leg-type mounts and hemispherical ears attached to the mouth, all of them have no pattern at the deep middle part. The bronze caldron which has no leg-type mount and hemispherical ears attached has linear pattern ornaments at the top of deep middle part. That is, it may be said that types ⅠA, ⅡA, ⅢA and ⅣA have the features of the Huns bronze caldron, and types ⅠB, ⅡB, ⅢB, ⅣB and ⅣC have the features of Xianbei bronze caldron.

      • KCI등재

        試比較情態助動詞“能”與“-ㄹ 수 있다”

        李?(Li Ying)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13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17

        본 논문에서 우선 중국어 양태조동사“能”의 양태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한국어 양태조동사 “-ㄹ 수 있다“와의 의미 기능을 대조하며, 둘의 공동점과 차이점을 찾았다. 그 목적은 대조 분석 결과를 대외한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고 모국어에서 목표 언어까지의 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예측하고 이를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데에 있다. 그 다음에 《북경어언대 한어교정》,《중국어뱅크 스마트 중국어》,《중국어뱅크 북경대학 한어구어》, 《다락원 중국어 마스터》,《신공략 중국어》 등 교재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能”의 문법 설명, 예문 제시, 연습 문제 등 면에서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能”의 교재에서의 제시 상황은 교육 현장의 교육 상황을 제현하며 교재의 문제점을 고찰하는 것은 교육 현장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 대조 분석과 교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 학생을 위한 양태조동사 “能”의 교수·학습의 참고 의견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 KCI등재

        古鏡重磨方 箴銘의 어문학적 검토

        章 佑(Lee, Jang-wu)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4 No.-

        청나라 학자들의 <서명>과 <동명> <사물잠>에 대한 音注를 소개하고 또필자 나름대로 그런 주석을 몇 가지 운서를 통하여 검증하여 설명을 좀 하여 보려고 시도하여 보았으나, 전혀 체계적으로 설명을 할 수 없는 데가 많다. 이런 잠명류의 좌우명도 주로 큰 소리로 낭송하는 습관에 젖은 글이라고 볼 수가 있겠는데, 아마 낭송을 할 때는 시를 읽는 것 같이 아름답게 들리게 하기 위하여 이렇게 여러 모로 破音하여 읽었는데, 그렇게 낭송되는 파음까지 일일이 사전이나 운서에 다 수록하지 못한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을 필자는 여기서 한번 제기하여 보고자 한다.이 졸고에서는 좌우명에 자주 나오는 몇 가지 허자의 용도에 대하여서도 조금 생각하여 보았다. 글자를 절약하여 많은 글자를 적지 않지만, 간명하 면서도 또 힘이 있으며, 낭송할 때도 듣기 좋게 적어 내어야 하는 이러한 銘 文체에서 ‘之’자 ‘是’자 같은 글자 수가 몇 자되지 않은 짧은 문구 안에 집어 넣을 때에는, 음률적인 효과를 노리든가, 또는 앞의 말의 뜻을 특히 강조하기 위하여 쓴 規定語의 성격을 띤 代詞로 볼 수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좀검토하여 보기도 하였다. I will introduce the pronunciation annotations about XiMing(西銘, the Inscription on the west wall), DōngMing(東銘, the Inscription on the east wall) and SìwùZhēn (四勿箴, a motto that warns not to do four things) of Qing scholars. I have also attempted to verify and explain such annotations by using some Yùnshū(韻書), but there are many things that I can not explain systematically at all. The motto of these ZhēnMings can be said to be mainly using some Yùnshū(韻書), but there are many things that I can not explain systematically at all. accustomed to the habit of reciting loudly. Perhaps when scholars read poems, they have read these many differently separated pronunciations to make it sound beautiful in reading poems. I would like to ask the question once here of whether or not all the separated pronunciations so recited could be included in the dictionary or the Yùnshū(韻書). In this paper, I tried to think about the usage of some Xūzì(虚字) often appearing in motto. Generally they are not written with a lot of letters by saving the letters, but they have to be recorded well when I read, with them simple and strong.When using the ‘Zhī(之)’ and ‘Shì(是)’ in a short phrase with few letters in such a Ming(銘) sentence, It can often be seen as a pronoun in the nature of a regulatory word written to expect a melodic effect or to emphasize the meaning of the preceding word. I have also reviewed the points.

      • KCI등재
      • KCI등재

        巴蜀文人之縱橫風格考察

        李?勳(Lee Ki-hoon) 중국어문학연구회 2007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47

        巴蜀지역은 예부터 “하늘의 창고(天府)”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토지가 비옥하고 산물이 풍부한 지역이다. 또한 수많은 영재와 인재를 배출한 곳으로도 유명한데, 예를 들면 漢代에는 저명한 辭賦家 司馬相如와 揚雄이 있고, 唐代에는 시인 陳子昻과 李白, 宋代에는 문장가 蘇洵, 蘇軾 부자 등 중국문학사상 높이 평가되는 문인들이 모두 파촉지역 출신이다. 이렇게 심원한 문화풍조에 대해 당연히 학자들은 많은 관심을 가져왔고, 그에 대한 연구 또한 적지 않다. 필자 역시 “蘇軾散文”이라는 대상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 파촉지역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특히 소식의 문장 풍격을 파악하기 위해 역대 문인들의 평론 내용을 살펴보던 중 적지 않은 문인들이 소씨 부자의 문장이 “戰國縱橫風”을 갖고 있다거나 “《戰國策》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음을 알았다. 그 과정에서 “전국종횡풍”이라는 특징이 파촉의 문학풍토 및 출신문인들과 연관이 적지 않음을 발견하였는데, 마침 종횡가 연구학자인 熊憲光도 동일한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즉 파촉의 문학종사인 사마상여를 비롯하여 위에 거론한 역대 문인들이 각기 다른 정도로 종횡사상을 가지고 작품 속에서 종횡문풍을 드러내고 있다. 그렇다면 그들의 공통점인 파촉이라는 지역과의 연관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본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먼저 파촉지역의 지리, 지형상의 외부조건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편벽된 지형특징이 결국 현지인들의 실리를 추구하고(嗜利), 호탕하며(好蕩), 풍자와 비방하기를 좋아하고 권세를 흠모하는(好文刺譏, 貴慕權勢) 등의 특수한 인성을 형성하였고 이것이 종횡기질과 잘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폐쇄적인 지형을 극복하기 위해 사상의 수용에 있어 중원에 비해 더욱 포용적이고 개방적인 특징이 바로 유가에서 극력 배척하는 종횡문풍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파촉지역의 문화풍토라는 내부조건을 살펴본 결과 한대에 사마상여라는 문학종사가 나온 이후 파촉문인의 심리에는 하나의 문학적 전범으로 자리잡고 있었는데, 이 사마상여의 종횡문풍을 후대 문인들이 자연스럽게 섭취하였음은 말할 필요가 없겠다. 3장에서는 역대 파촉출신 문인들의 각기 다른 종횡문풍을 살펴보았다. 시대에 따라 문체에 따라 각기 받아들인 경위와 내용은 다르지만 파촉이라는 지역을 매개로 하여 종횡풍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속담에 지방의 풍토가 지방의 사람을 기른다(一方水土養一方人)라는 말이 있다. 파촉의 독특한 지역환경은 파촉인들에게 종횡가의 성격과 문풍을 부여하였다. 사마상여, 양웅, 진자앙, 이백, 소순, 소식 등 문인들은 파촉문화의 집체적인 무의식 속에서 종횡이라는 문화요소를 직접 체득하였고 자연히 그 작품 속에 파촉인의 기세호탕하고 종횡으로 넘나드는 듯한 문화적 개성을 표현하게 된 것이다.

      • KCI등재

        星雲文鏡 製作技術의 두 가지 系譜

        陽 洙 영남고고학회 2006 嶺南考古學 Vol.- No.38

        樂浪郡 設置以後 韓半島에서는 多鏡에서 前漢鏡으로 청동거울이 점차 바뀌게 된다. 특히 平壤地域과 嶺南地域을 중심으로 발견되는 전한경 중에서 성운문경은 이른 시기에 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성운문경의 제작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다. 첫 번째는 範에 직접문양을 새겨서 만드는 것이며, 두 번째는 原型을 만들어 그것을 점토나 기타 무른 재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찍어내기 기법을 통해 범을 製作鑄造하는 것이다. 대다수의 성운문경이 전자의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지지만, 傳 平壤 출토품은 후자의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다른 형식의 한경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언 할 수는 없지만 이상을 기초로 볼 때, 동경을 만드는 두 가지의 기술은 동일한 형식의 동경에서 확인되는바, 시기적인 차이에 따른 제작기술의 변화라기보다는 제작 집단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The two genealogies of production technique in bronze mirrors with Nebula Design Yi yang su(Jinju national museum) After establishment of Nangnang(Ch Lelang樂浪郡), Danew-mirrors(多鈕鏡) had been gradually turned into bronze mirrors(漢鏡) of Han dynesty in Korean peninsula. Especially, Bronze mirrors with Nebula Design(星雲文鏡) which were excavated from Pyeongyang(平壤) and the southeastern part date back to the earlier stage than others. We can roughly devide into two ways to produce Bronze mirrors with Nebula Design; one is direct carven pattern on them; the other is making prototype and pressing them on Bronze mirrors with Nebula Design. Most of the Bronze mirrors with Nebula Design were manufactured by the former way of production, whereas the only articles from Pyeongyang were manufactured by the latter way. Also I could verify these differences among the bronze mirrors of other different types. I can`t say positively, as stated above, I might conclude it from that; the two techniques which make bronze mirror result from the difference of production group rather than from the technical development with the passage of time, because it is based on the bronze mirror of the identical type.

      • KCI등재
      • KCI등재

        中国《民法典》抵押物转让规则研究

        李?花(이선화),?赫(하혁)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東亞法學 Vol.- No.92

        민법전 제406조는 기존의 물권법의 규정과 상이한 입법이론을 관철하고 있다. 즉, 저당목적물의 자유로운 양도를 인정함과 동시에 저당권의 추급효를 인정하였다. 저당권의 추급효에 관하여서는 이미 등기한 동산 저당목적물, 미등기 동산저당목적물 및 부동산 저당목적물의 경우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야 한다. 통상적인 경영활동 중의 매수인 권리에 관한 규칙은 저당권자의 등기를 경료한 저당권에 대한 추급효를 차단하고 미등기 저당목적물에 관하여 양수인의 선의여부에 따라 민법전 제403조의 규정을 원용하여 보호하고 있다. 부동산 매수인을 우선 보호 할 필요가 있거나 주채권의 소멸시효가 도래한 경우 저당권자의 저당목적물에 대한 추급을 면할 수 있다. 저당목적물 양도금지 또는 제한을 약정한 특약에 공시효력을 부여하려면 관련 등기규정을 개정하여야 하고 저당권 등기시스템에 관련 등기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 저당권설정자가 저당권을 양도할 경우, 즉시 저당권자에게 통지해야 하고 그 통지의무를 위반하여도 양도계약의 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다만 저당권자는 저당권 설정자의 채무불이행 책임을 추궁할 수 있다. 체계적 해석에 따르면 저당목적물의 양도금은 대금대위제도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저당권자는 대금대위제도에 의하여 저당목적물에 대하여 우선변제를 받을 수 없다. 저당권자는 저당목적물의 양도가 저당권자의 이익을 침해한다는 것을 증명하여야만 저당권자에게 양도대금으로 채무를 미리 변제하거나 또는 공탁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민법전은 기존의 물권법의 척제권에 관한 규정을 삭제하였으나 제3자 대위변제규정을 적용하여 동일한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Article 406 of the “Civil Code” adopts a legislative point of view that is contrary to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original “Property Law”, allowing the free circulation of the mortgaged property while acknowledging that the mortgage has the effect of trac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the mortgage rights should be divided into registered movable property mortgages, unregistered movable property mortgages, and real estate mortgages. The buyer rules for normal business activities can block the mortgagee’s pursuit of registered mortgages. Unregistered collateral can be protected based on whether the transferee in good faith invokes Article 403 of the Civil Code. In the case of priority protection of real estate consumers and the expir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of the main creditor’s rights, it can be protected from the mortgagee’s the pursuit of collateral. To grant a special agreement for prohibition or restriction of transfer with publicity effect, the relevant registration rules should be revised, and the registr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mortgage registration system. When the mortgagor transfers the mortgaged property, it shall promptly notify the mortgagee. The breach of the notification obligation will not result in the invalidation of the transfer contract, but the mortgagee may request the mortgagor to bear the liability for breach of contract.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system, the proceeds from the transfer of the mortgaged property do not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ice subrogation system, and the mortgagee cannot receive priority for the mortgaged property based on the price subrogation system. The mortgagee can only request the mortgagor to pay off the debt or deposit the proceeds of the transfer in advance if it can prove the damage to the transfer of the mortgaged property and the realization of the mortgage. The “Civil Code” deleted the provisions on the right of erasure in the original “Property Law”, but it can be applied to the third party to perform the rules to achieve the sam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