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남한산성 출토 銘文瓦에 대한 일고찰

        심광주(Sim, Gwang-zhu) 한국목간학회 2008 목간과 문자 Vol.1 No.-

        南漢山城 行宮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조선시대에 조성된 남한행궁 下闕址 앞마당에서 통일신라시대의 대형건물지가 확인되었다. 건물의 규모는 길이 53.5m 너비 18m에 달하며, 건물의 구조는 사방에 外陣柱間이 있고 內陣柱에는 두께 2m 정도의 두터운 벽체가 있는 특수한 건물임이 밝혀졌다. 건물지의 초석 주변에서 다량의 통일신라시대의 기와가 출토되어 이 건물은 新羅 文武王 12년(672) 축성된 ‘?長城’의 군수물자를 보관하던 倉庫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통일신라 기와중 상당수는 길이 50cm가 넘는 大形瓦이며, 그중의 일부는 한 장의 무게가 20kg이 넘고 길이가 64cm에 달할 정도의 特大形瓦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기와 중에는 10여종에 달하는 ?文瓦가 상당량 포함되어 있다. 명문와는 ‘甲辰城年末村主敏亮’ ‘麻山停子瓦草’명 기와가 가장 많으며 ‘官草’, ‘丁巳年’, ‘城’, ‘天主’, ‘白’, ‘香’ 등의 명문와도 몇 점씩 확인되었다. 명문와의 ‘甲辰’년은 824년으로 추정되며, 여타의 명문와들도 제작방법이나 절대연대 측정자료, 공반유물 등을 고려할 때 대략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의 내용은 기와의 제작 집단이나 제작시기, 기와의 사용처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While excavating the temporary palace(Haenggung) site in Namhansanseong fortress, a large building site of Unified Silla period was discovered in the front yard of lower palace site. The building is 53.5m long and 18m wide. It was a special building with exterior columns all around and inner columns with 2m thick walls. It was destroyed by fire. Around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a lot of roof tiles mad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discovered. It is estimated that the building was a storage for military supplies for Jujangseong fortress that was built in the 12th year of King Munmu of Silla(672) Many of the excavated roof tiles are very large and over 50cm. The largest ones are 64cm long and weigh over 20kg. Their large sizes have drawn attention in academic circle. There are about 10 types of tiles with inscriptions. Most frequently found inscriptions are ‘甲辰城年末村主敏亮’ and ‘麻山停子瓦草’ Other inscriptions include ‘官草’, ‘丁巳年’, ‘城’, ‘天主’, ‘Cheonju’, ‘白’ and ‘香’, Year ‘甲辰’ in the inscription is estimated to be year 824. In light of the production methods of other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absolute age dating data, and other relies discovered together such as earthenware, they seem to be produced between late 8th century and early 9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the inscriptions indicate the producer group, production time, and uses.

      • KCI등재

        漢城時期의 百濟山城

        沈光注(Sim Kwang-ju) 중부고고학회 2004 고고학 Vol.3 No.1

        漢城時期의 百濟山城에 대한 연구는 아직 初步的인 상태이다. 〈三國史記〉에는 漢城時期(BC18년 AD475년)의 백제성 34개소가 수록되어 있으며, 그중 8개소는 柵이고 대부분은 土城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경기도 일원에서 산성에 대한 발굴조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포천 반월산성, 이천 설봉산성, 이천 설성산성 등이 한성시기에 축성된 백제성이라는 견해가 제기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는 한성시기에 이미 정연하게 쌓은 包谷式의 石築山城이 등장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성들이 백제성이라는 근거로는 基壇部 아래의 다짐층과 성 내부에서 백제유물이 출토되고 있으며, 內壁 안쪽의 점토 다짐이나 補築技法 등이 新羅城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나 築城 이후 형성된 百濟의 文化層이 명확하지 않고, 懸門式의 城門構造라든가, 정연한 축성방법, 성벽의 斷面構造, 성돌의 크기와 형태 등은 오히려 6세기 이후에 구축되는 新羅城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이러한 견해는 再考를 요한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백제지역에서 조사된 약 800개소의 城 중 대부분이 테뫼식이며 약 50% 정도가 土築山城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漢城時期 백제산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산성으로는 포천의 고모루성이나 파주 월롱산성, 의왕 모락산성 등이라고 생각된다. 이 성들은 山頂部를 중심으로 성벽을 구축하였으며, 土築을 주로 하되 부분적으로 土石混築 또는 돌담 형태의 조잡한 石築으로 방어력을 보강하고 있다. 아울러 漢城時期 百濟山城들의 임진강 이북에서 예성강이남 지역에 주로 분포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전체적인 양상으로 파악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Studies on Baekje mountain fortress wall during Hanseong period (the period when Baekje established its capital around Han rivers) are still in an early stage of study. 34 Baekje fortresses of Hanseong period (BC18 AD475) are listed in 〈SamgukSagi〉, out of which 8 fortresses have been estimated to be wooden fortress and most of them, mud fortifications, As excavation of fortresses have been carried out actively around Kyeonggi areas recently,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Banwol fortress at Pocheon. Seolbong fortress at Icheon and Seolseong fortress at Icheon were constructed during Hanseong period, attracting attentions from related area. This means that the mountain stone fortress of well-heaped girth already emerged during Hanseong period. There are several ground for suggestion that these fortress were built in Baekje period. First, Baekje relics have been excavated inside fortress and compacted layer below foundation, Secondly, the compacted day or supplementary stone wall technique found inside the inner wall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ortress from Shila Period. However, since the cultural layer of Baekje period formed after construction or fortress was not clear, and gangway type gate structure, well-ordered fortress construction method, section structure of wall, size and shape of castle stones are estimated to be very similar to those of fortress from Shila Period constructed after 6th century, conventional opinion should be reconsidered. According to study results up to now, most fortresses of about 800 fortresses examined in Baekje area are known to be border type and about 50% are mud fortress. The representative fortresses of Baeje fortress during Hanseong period include Gomori fortress at Pocheon. Wolrong fortress Paju and Morak fortress at Uiwang. These fortresses constructed castle walls focusing on mountain top, where mud fortresses were the main part and its protection ability was reinforced with crude stone fortress of stone wall or combination or mud and stone type in part. In addition, since Baekje fortresses during Hanseong period were estimated to be mainly distributed in the areas above the Imjin river and below Yeseong river,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grasp the fact with overall aspect only.

      • KCI등재후보

        高句麗와 百濟의 城郭文化

        沈光注(SIM Gwang-zhu) 고구려발해학회 2005 고구려발해연구 Vol.20 No.-

        Koguryo established its capital in Jolbon area around 100 B. C. Its territory gradually expanded and included North Buyeo, Liaodong, and Pyeongyang. Around 200 A.D., it had economic and technological capabilities to construct large mountain fortresses at strategic points. Fortresses of Koguryo were built on rugged terrains to seize important roads. Large-scale fortresses were built around valleys to secure water supply. For the construction of fortresses, both earth and stones were used. However, many more stone fortresses were constructed than earthen fortresses Building the outer walls with stones and filling up the inside with earth or building the foundation and center with earth and building the inner and outer walls with stones were typical fortress construction methods used throughout the Koguryo period. On the other hand, Baekje established its capital near the downstream of Hanggang River around 100 B. C. Its territory expanded over time and included Mahan and Daebang Around 300 A.D., large-scale fortresses of about 3㎞ in perimeter, such as Pungnap earthen fortress and Mongchon earthen fortress, were built around the capital and large mountain fortresses were built around the border. The fortresses of Baekje were mostly built in the form of Temoe type, which is a method of building fortress around a hill of about 100-200m high. For the fortress construction, wood, earth, and stones were all used but earthen fortresses accounted for more than 50%. However, after moving the capital to Sabi, many stone fortresses were built. Still, most of the fortresses were small Temoe type mountain fortresses of less than 600m in perimeter. The fortress construction methods of Koguryo and Baekje were different in many ways including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It is because of their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different environments and different construction technologies. Koguryo had to face China from early days while Baekje only had to deal with small kingdoms of Mahan. But after the capital was moved to Sabi, the fortresses of Baekje changed. From the construction material, shape of gate, and water collection facility, it seems that these fortresses were influenced by the fortress construction technology of Koguryo. This is probably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increasing number of Koguryo elements are found in pottery and roof tiles of this period.

      • KCI등재

        남한지역 고구려유적 출토 명문자료에 대한 검토

        심광주(Sim Gwang-zhu) 한국목간학회 2009 목간과 문자 Vol.4 No.-

        남한지역에서 확인된 40여개의 고구려 유적 중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9개 유적의 명문자료를 소개하고 그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남한지역 출토 명문자료는 대략 128건 정도이며 대부분 토기나 기와편에 쓰여진 것들이다. 그 중 문자로 추정되는 것이 82건(65%)이고 부호로 추정되는 것이 46건(36%)이다. 이처럼 토기나 기와에 쓰여진 명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작자나 제작집단 또는 제작장소를 표시했을 가능성이다. 충주 숭선사지와 영동 영국사지에서 출토된 명문기와처럼 고려시대 이후의 기와에서는 제작자의 이름이 새겨지는 사례가 확인되지만, 고구려 명문자료 중에는 제작자나 제작집단의 이름으로 추정할 수 있는 자료는 분명하지 않다. 둘째, 주문자나 使用處 또는 사용자에 대한 표시일 가능성이다. 홍련봉2보루에서 출토된 「官瓮」이나, 아차산4보루에서 출토된 「下官」명 토기, 호로고루에서 출토된 「官」명토기나 「官一」 명 기와는 사용처를 표시한 것으로 추정된다. 시루봉보루에서 출토된 「大夫井」명 토기와 아차산4보루에서 출토된 「支都兄」, 「再牟兄」, 「後?進兄」명 토기 등은 사용자에 대한 표기일 가능성이 있다. 셋째, 상정부호일 가능성이다. 명문 중에는 전체의 86%에 달하는 110건이 한 글자 이거나 의미를 알 수 없는 부호의 형태이며, 井자(19건), 十자(11건), 中자(6건)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井자는 거의 모든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으며, 구의동보루처럼 小자와 결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단독으로 토기의 어깨나 바닥에 음각되어 있다. 토기에 쓰인 井자를 단순히 문자라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몽촌토성 출토 토기나 壺?塚 출토 청동호우처럼 처럼 45도 정도 기울어져 있으며, 千秋塚출토 권운문 와당의 중방에 양각으로 표기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井자는 글자라기 보다는 ?邪의 의미를 가진 象徵符號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十자나 中자, 吉자, 그리고 그 외에 의미를 알 수 없는 부호들 역시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About 40 sites in South Korea have been identified as the remains of Goguryeo era. This study examined the inscriptions on the relics found at 9 of these sites. About 128 inscriptions of Goguryeo era have been found in South Korea and these are mostly found on pottery or roof tile fragments. 82 of these(65%) are considered Chinese characters while 46(36%) are considered symbols. The meanings of inscriptions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the inscription could mean the producer, production group, or place of production. As can be seen on the inscribed roof tiles found at the site of Sungseonsa Temple in Chungju and the site of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the name of the producer is inscribed on some of the roof tiles produced after the Goryeo era, But among the inscriptions made during the Goguryeo era, inscriptions that can be c1early considered as the name of producer or production group have not been identified. Second, the inscription could mean the orderer, the place it was used, or the person who used it. It is considered that the inscriptions such as "Gwanong" excavated at Bastion 2 of Hongryeonbong, "Hagwan" on the pottery excavated at Bastion 4 of Achasan, and "Gwan" on the pottery and "Gwanil" on the roof tile excavated at Horogoru indicate the places they were used. It is considered that the inscriptions such as "Daebujeong" on the pottery excavated at the bastion of Sirubong, and "Jidohyeong", "Yeommohyeong", and "Hujinhyeong" on the pottery excavated at Bastion 4 of Achasan indicate the users. Third, the inscription could be a symbol. 110 inscriptions or 86% of all inscriptions consist of one character or a symbol. Of these, Chinese characters, 井(19), 十(11), and 中(6) appear most frequently. Especially, 井 is found at almost all sites. As can be seen on the relic found at the bastion of Guuidong, it sometimes appears with the Chinese character 小 but mostly it appears alone on th e shoulder or bottom of pottery. It is difficult to take 井 on the pottery as Chinese character because it is slanted by 45 degrees as can be seen on the bronze vessel excavated at Houchong. And sometimes, it is embossed at the center of roof tile as can be seen on the roof tile with cloud pattern excavated at Chunchuchong. Therefore, it seems that 井 was used as a symbol with the meaning of warding off evil. It seems that Chinese characters such as 十, 中, and 吉, and other symbols also have the same purpose.

      • KCI등재

        임진강유역 고구려 성곽의 발굴조사 성과와 축성법

        심광주(Sim, Gwang-zhu)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1994년 아차산 일대에서 20여 개의 고구려 성곽이 발견되면서 남한지역에도 다수의 고구려 성곽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후 양주지역과 임진강 유역에서 고구려 성곽이 추가로 조사되어 모두 40여 개가 넘는 고구려 성곽이 확인되었다. 최근까지 그 중 22개의 고구려 성곽에 대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고구려의 축성법은 백제나 신라의 축성법과 전혀 다르다. 백제는 土城 위주의 성곽을 쌓았다. 사비기에 등장하는 석성은 할석으로 쌓은 협축식 성벽과 개거식 성문이 특징이다. 신라는 5세기 후반부터 석성을 쌓기 시작하였으며, 장방형으로 가공된 성돌, 협축식 전면석축 성벽, 보축성벽, 그리고 현문식 성문이 특징이다. 반면, 고구려의 석성은 ‘土芯石築工法’으로 구축되었다. 토심석축공법은 성벽 내부는 흙으로 쌓고 외벽은 석축으로 마감하는 축성법이다. 이 공법은 축성이 용이하면서도 방어력이 유지되는 경제적인 축성법으로서 입지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 내부의 가용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토심석축공법’의 핵심기술은 토축부의 木柱列이다. 일정한 간격으로 깊게 박은 나무기둥이 토축부의 應力을 견디도록 했다. 굵은 나무기둥을 견고하게 세우고 그 내부를 版築하여 토축부를 조성하고 외벽을 얇은 석축으로 마감했다. 남한의 고구려 성곽에서 확인되는 다수의 치는 방어의 효율성과 함께 체성벽을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했다. 석축부의 겹벽쌓기도 고구려성의 특징이다. 산성의 얇은 석축부에도 겹벽쌓기 방식이 확인된다. 석축부를 튼튼하게 구축해야 할 때는 일정한 간격으로 架設木을 세우고 석축을 하여 내벽부를 조성하고 면석과 보축성벽을 덧붙여 쌓아 성벽을 조성했다. 이 과정에서 남게 되는 흔적이 기둥홈이다. 평양 대성산성의 중간벽이나 호로고루의 중간벽, 당포성의 수직기둥홈은 이러한 고구려 축성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석축성벽을 쌓을 때는 濕式쌓기가 적용되었다. 석축을 쌓으면서 성돌과 성돌 사이를 점토로 채워 이질적인 재료인 흙과 돌의 재료분리 현상을 최소화 했다. 토심석축공법을 근간으로 하는 고구려 축성법은 남한의 고구려성에서 뿐만 아니라 國內城, 패왕조산성, 석대자 산성, 대성산성 등 중국이나 북한지역의 고구려 성에서도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