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북의 사회공헌활동사업에 대한 성과분석 : 참여기관을 중심으로

        동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2 No.1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project, which began in 2011, has now expanded nationwide,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think th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It started as a philanthropic activity, and now it has come to emphasiz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y doing so,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ffected the reputation and image formation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creased social ties, and improved facility management. In particular, it was decided to analyze the result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ased on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For the this purpose of study, this conducted a survey of 74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in November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36.5 percent of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for the first time, and it is expected to be necessary in the future. Most of the participating agencies showed a tendency to be satisfied with the activity projects, and overall, it was said that they helped the operation of the institutions. Specifically, the quality of existing programs and services was improved and new programs and services were created. As such,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said that the more they participate, the more they will help their own management, and that they will continue to participate. 2011년부터 시작한 ‘사회공헌활동사업’은 이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이 사업에 참여하는 사회복지기관은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고 생각해도 과언은 아니다. 자선적 활동으로 시작하였지만 박애적 활동을 거쳐 이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 이르렀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회공헌활동사업은 사회복지기관의 명성과 이미지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와의 유대관계를 증대시키며, 시설경영도 향상시키게 되었다. 그래서 사회공헌활동의 성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만족과 효과에 국한하여 분석해 보기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충청북도에서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74개소의 기관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에 연구조사를 진행하였고 참여만족과 참여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우선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시설과 사회복지단체가 대부분이고 청주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사회공헌활동사업에 처음으로 참여한 기관이 36.5%를 보였고 앞으로도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사업에 대하여 참여기관의 대부분은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기관운영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기존 프로그램 및 서비스 품질이 개선되었고 신규 프로그램 및 서비스가 창출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기관들은 참여할수록 자신의 기관운영에 도움된다고 하면서 앞으로 지속하여 참여하겠다고 하였다.

      •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지원에 관한 연구

        동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ir independent living, analyze the difference of independent living services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the effect of general background on independent living services and support for these is to analyze how it is desirable to do so.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alf of the respondents understand independent in their recognition of independent, and independent means economic independence, finding rights, and deciding on the choice of life. 31.9%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living self-reliance and because of their difficulties in independent are living in economic problems. Positive changes that can be caused by self-reliance are recovered to independent.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the difference in independent services is related to peer counseling service and activity assisting service, technical training service and activity assisting service depending on whether he/she is a recipient or not, information providing/referral and technical training service according to disability grade, and technical training service according to their age. And,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dependent living services, information providing/referral service are the unmarried, the rural and the higher age, the peer counseling service is unmarried, the rural, technical training service is the rural, and the activity assisting service is the unmarr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 and suggest a further research ideas.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일반적 배경 에 따른 자립생활서비스의 차이와 일반적 배경이 자립생활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 으며 이들에 대한 지원은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들의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자립생활을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 절반정도이고, 자립의 의 미는 경제적 자립, 권리 찾기와 삶의 선택결정 등에 두고 있다. 이들은 자립생활을 하는 지 적장애인은 31.9%이고 자립생활에 어려움을 갖는 이유는 경제적인 문제에 두고 있으며 자립 생활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는 자신감회복에 두고 있다. 자립생활서비스의 차이를 살펴보면 결혼 상태에 따라 동료상담과 활동보조서비스, 수급유무에 따라 기술훈련과 활동보조서비스, 장애등급에 따라 정보제공/의뢰와 기술훈련서비스, 연령에 따라 기술훈련서 비스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자립생활서비스에 대한 영향요인에 있어서 정보제공/의뢰 서비스에는 미혼이고 농촌의 경우와 연령이 많을수록, 동료상담서비스에서는 미혼이고 농촌 의 경우, 기술훈련서비스에서는 농촌의 경우, 활동보조서비스에서는 미혼의 경우에 활용하는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사회복지서비스의 연계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

        동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07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9 No.2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클라이언트가 복잡다양한 욕구를 표현할 경우에 기관 내의 자원으로 충족시키지 못할 때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지역사회 내의 다른 기관의 자원을 활용하는 연계와 같은 기술을 적용한다. 이러한 연계에 대하여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인식에 따라 활용정도는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의 사회복지관련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를 위하여 제공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연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이고, 연구내용은 사회복지사의 역할유형, 역할유형에 따른 연계의 내용, 연계의 장애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역할유형은 상담가, 옹호자, 사례관리자의 순으로 나타났고, 연계의 내용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연계의 장애요인에서도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논의해 보았고, 연계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구에 대한 제한점을 중심으로 앞으로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While social workers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to meet needs of clients, in community welfare practices, social workers sometimes face difficulties to use inside resources of a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 the process of providing proper services when clients express complicated needs. In this case, social workers try to link resources outside their own institutions to match needs of clients, although the approaches varies according to roles and cognitions of social work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gnition of social workers about the linkage of social welfare services working in Chungbuk province. The target population for this study is a group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agencies in Chungbuk.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main aspects and obstacles in linking outside and inside resources for providing services based on various roles of social worker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cale of differences in aspects and obstacles about using linkage according to role types of social workers that are mainly counsellors, advocates and case managers. Related implication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for community welfare practices.

      • 사례관리업무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동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social workers for case management works. For this research subject is a social worker 181 people responsible for the case management works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located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subjec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upper group, middle group and lower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that social worker perform case management. The middle group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of data and in accordance with the upper and lower groups it was to analyzed the average difference of cognition in the work environment, institutional support level, the role performed for the case management works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main result, social workers does not take advantage of multidimensional assessment tool in stage of the assessment and are aware of difficult in the need re-assessment in stage of the evaluation phase of the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nd overall showed that upper group perceived to be higher than the lower group in the case manager' capabilities of community resources finding, network building of community resources and service delivery system, but in the client selection the lower group perceived to be higher than the upper group. I was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presented proposal idea for raising awareness and suggested coming subsequent research projects. 이 연구의 목적은 사례관리업무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대상자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사회복지관련 기관과 시설에서 사례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181명이다. 연구방법은 대상자를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수행 정도에 따라 상중하의 3집단으로 나누었다. 이 중에서 ‘중간집단’을 제외하고 ‘높은집단’과 ‘낮은 집단’간에 사례관리업무의 수행범위, 기관지원정도, 사례관리담당자의 역할 그리고 사례관리 수행 인식에 대하여 평균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를 보면, 사회복지사들은 사례관리 수행의 사정단계에서 다차원적인 사정도구를 활용하지 못하고 평가단계에서 욕구재사정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자원확보에 대한 관리자의 역량, 지역자원의 네트워크구축, 서비스전달체계에 있어서 ‘높은집단’이 ‘낮은집단’보다 인식의 수준이 높지만, 대상자선정에 있어서는 ‘낮은집단’이 ‘높은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하였고, 인식의 제고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의 후속적인 연구과제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동석,황혜원 한국아동권리학회 2004 아동과 권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의 발달과 교육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보육사업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주위 사람들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함이다. 조사대상은 청주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253명이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인 연령, 결혼여부, 경력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지각한 교사들의 정신건강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의 변량 중 약 21%를 설명하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중재하였으나, 사회적 지지는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보육교사의 근무조건의 개선과 아울러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스트레스관리와 사회적 지지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3 teachers who are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Cheongju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ge, marriage state, and work experience for the teacher's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Second, it was found that teachers who perceived the higher job stress tended to have the lower level of mental health, and teachers'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about 21% of the variance in the scores for the mental health. Finally, job stres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However, social support didn't ac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from this study are the improvement of teacher's working conditions, and providing programs related to diminishing job stress and increasing social support for the mental health of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적응과 지역사회서비스에 관한 연구

        동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적응을 위하여 어떠한 지역사회서비스가 필요한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 1,39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가정에서 장애자녀의 유무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이주여성 자녀의 장애율은 7.3%로 나타났는데 이는 등록 장애인만이 아닌 발달상의 어려움까지 포함된 것이다. 둘째, 이주여성 장애가족들은 대체적으로 농촌에서 생활하고 있고, 연령이 20대 이하로 낮으며, 학력 또한 중졸 이하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셋째, 이주여성 장애가족은 국적취득에 있어서 절차, 서류작성, 비용 등의 어려움으로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어 수준도 말하기, 읽기, 쓰기 모든 영역에 있어 수준이 상당히 낮았다. 넷째, 이주여성 장애가족의 경제활동은 주로 농사와 노동이 주류를 이루고, 월평균소득은 100만원 이하로써 기초생활보장대상자가 많았다. 다섯째, 이주여성 장애가족의 가족상태는 배우자, 자녀, 부모 등의 3세대 이상으로 구성된 가구를 형성하고, 가구원수도 대체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주여성 장애가족을 위해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지를 논의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