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용량 및 대용량 탄화로에서 제조된 소나무 수피탄의 특성

        문성필(Sung-Phil Mun),황의도(Ui-Do Hwang),박상범(Sang-Bum Park),권수덕(Su-Duk Kwon)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소용량 실험실용 탄화로 및 3종류의 대형 탄화로 (간이 탄화로 (400 - 500℃), 개량 탄화로 (600 - 700℃) 및 전용탄화로 (800 - 1,000℃))를 이용하여 소나무 수피의 탄화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수피탄의 물성과 세공구조를 분석하였다.<br/> 소나무 수피를 실험실용 소용량 탄화로를 이용하여 질소 존재하에서 500℃에서 900℃까지의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탄화시키면, 탄화수율은 탄화 온도의 증가와 함께 급속하게 낮아졌으며, 700 - 900℃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수피의 탄화수율은 동일 탄화온도에서 소나무 목부의 탄화수율보다 16 - 18% 더 높았다. 제조된 수피탄의 BET 비표면적은 탄화수율 약 35 - 40%에서 약 400 - 500㎡/g을 나타내었다. 600℃ 30분의 탄화조건에서 제조된 소나무 목부탄은 미세공이 많이 발달해 있었으나, 동일조건에서 제조된 수피탄이 경우 미세공은 물론 중세공도 많이 존재하였다.<br/> 대형 탄화로에서 제조된 수피탄의 탄화 수율 및 요오드가 및 BET 비표면적은 소용량 탄화로의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나무 수피가 높은 비표면적과 수율을 가지는 양질의 숯을 생산 할 수 있는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br/> Pine bark was carbonized by using a small-scale experimental kiln and three different types of large-scale kilns (simple (400 - 500℃), improved (600 - 700℃) and special kiln (800 - 1,000℃)).<br/> The physical properties and pore structures of the bark charcoals prepared were analyzed. <br/> When the bark was carbonized at various temperatures ranging from 500 to 900℃ in the presence of nitrogen, carbonization yield decreased rapidly with increasing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it remained constant from 700 to 900℃. The carbonization yield of the bark was 16 - 18 % higher than that of pine wood.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s and iodine values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carbonization yield.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s of the bark charcoals reached about 400 - 500 ㎡/g for carbonization yield of 32 - 40%. The pine wood charcoal prepared at 600℃ for 30 min resulted in a more microporous structure, whereas the bark charcoal prepared at the same condition was more mesoporous. <br/> The carbonization yields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odine values and BET specific surface areas of bark charcoals prepared by using the large-scale kiln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small-scale kil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ine bark could be used as starting material to produce good quality charcoal having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a high carbonization yield. <br/>

      • 소나무 수피로부터 수증기 활성화에 의한 활성탄 제조

        문성필(Sung-Phil Mun),황의도(Ui-Do Hwang)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소나무 수피로 부터 수증기 활성화 의하여 활성탄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활성탄은 세공 구조 및 표면적에 대한 검토를 행하였다. 활성화를 위하여 3종류의 서로 다른 형태의 로(정치식 수직, 수평로 및 회전식 수평로)가 본 실험에 사용되었다. 정치식 수직 및 수평로를 이용하여 수피를 탄화시키고 이를 수증기 활성화시키면, 1,000 ㎡/g이상의 높은 비표면적을 얻기는 어려웠다. 분말상태의 시료를 사용하면 비표면적이 약간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정치식 로의 경우 높은 비표면적의 결과를 얻기는 어려웠다. 로타리식 수평로에서 수피를 수증기 활성화시키면, 시판 1급 활성탄과 유사한 1,000 ㎡/g 이상의 비표면적을 나타내는 활성탄을 제조할 수 있었다. 로타리식 수평로에서 제조된 활성탄은 미세공에서 중세공까지 다양한 공극 분포를 나타내었다.<br/> Activated carbons were prepared from pine bark by steam activation, and pore structures and specific surface areas were then investigated. Three different types of kilns were used for the activation. When the stationary-vertical- or stationary-horizontal-type kiln was used for the steam activation to prepare an activated carbon from the bark, it was not possible to produce activated carbon having high specific surface areas exceeding 1,000 ㎡/g. Using bark powder improved the specific surface area, but it was still not high enough. When the rotary-horizontal-type kiln was used for the activation, the activated carbons prepared had high specific surface areas of more than 1,000 ㎡/g, which was similar to a commercial first-grade activated carbon. The activated carbon prepared by the rotary kiln had a wide distribution of pore size ranging from microporous to mesoporous. <br/> <br/>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單板의 두께가 곧은결 및 무늬결 무늬목단판의 원적외선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남호(Nam Ho Lee),최준호(Jun Ho Choi),황의도(Ui Do Hwang) 한국가구학회 2000 한국가구학회지 Vol.11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in and veneer thickness on drying rate, required energy consumption, and drying defects such as checking, end waving, and burning during a far-infrared radiation drying process of decorative veneers of hard maple and beech.<br/> Most of the veneers could be dried from green to in-use moisture content within 30 to 360 seconds. The drying rat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veneer thickness, but there was littie difference between edge-and flat-sliced veneers.<br/> The formation of checking during drying test was none or very slight. The percentages of the veneers defected by checks were higher in the flat-sliced veneers than in the edge-sliced veneers.<br/> The maximum end wavinesses in the flat-sliced veneers were almost 1.6 to 3 times larger than that in the edge-sliced veneers.<br/> All veneers were free from burned marks during drying test.<br/> Keywords: decorative veneers, far-infrared radiation drying, checks, end waviness, burned mark<br/>

      • SCOPUSKCI등재

        圓周狀슬라이스의 오-븐건조법에 의한 함수율의 圓盤내 방사방향분포 추이 평가 (Ⅱ) : 주요 국산 침엽수재를 중심으로 For some of domestic softwoods

        이남호,Li, Chengyuan,최준호,황의도,진영문 한국목재공학회 2004 목재공학 Vol.32 No.2

        본 연구는 주요 국산 침엽수재 원반에서 채취한 두께 3 ㎜의 圓周狀슬라이스를 오-븐에서 급속 건조하면서 각 원반내 함수율의 방사방향 분포추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소나무의 경우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변재부는 매우 급속한 건조속도로 함수율이 감소한 반면, 심재부는 건조속도가 느려 오히려 생재함수율이 높은 변재부가 심재부보다 먼저 섬유포화점에 도달하였으나, 이러한 분포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지는 않았다. 낙엽송의 경우 변재부의 생재함수율이 심재부보다 약 3배 가량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이러한 수분경사 패턴은 평균함수율 약 20%일때 까지 지속되었다. 은행나무의 경우 변재영역 내에서는 매우 고른 생재함수율 분포를 보였으며, 건조가 진행되면서도 어느 정도의 진폭은 존재하였지만 비교적 균일한 함수율 분포를 보였다. 삼나무의 경우 심재부는 생재함수율이 매우 낮아 건조 초기부터 수축이 개시되지만 높은 함수율을 나타내고 있는 변재부에 의해 수축이 억제되므로써 심재영역 또는 이행재 영역에 인장응력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편백나무 변재의 생재함수율은 심재보다 훨씬 낮아 침엽수재의 일반적인 함수율 분포와는 정반대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함수율 분포패턴은 평균함수율 약 21%까지도 지속되었다. 측백나무의 경우 변재부의 생재함수율이 심재부보다 약 2배 정도 더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건조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분포는 빠른 속도로 약화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radial distribution of moisture contents (MCs) within a log cross section (LC) during ovendrying of 3 mm-thick circumferential slices cut from several domestic softwoods LCs. For Korean red pine, drying rate of sapwood slices during oven-drying represented much higher values than that of heartwood slices, and so sapwood with higher green MC early reached below fiber saturation point (FSP) rather than heartwood did. However, this distribution of moistures did not last for long duration. For Japanese larch, green MC of sapwood was approximately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heartwood. This similar distribution in MC was lasted until about 20% average MC. The MC was around uniform throughout the sapwood of Ginkgo when green and during oven-drying, although it was somewhat fluctuated. For Japanese cedar, the heartwood with so low moistures around FSP would begin to shrink from the beginning stage of drying, but the sapwood above hygroscopic MC prevents the heartwood from shrinking, and consequently, the heartwood or the transition wood goes into tension stress. The results for Japanese cypress showed that the green MCs of the sapwoods were much lower than those for heartwoods, and then this trend was continued until about 20% in average MC. For Chinese thuja, the green MCs of sapwoods were about 2 times as high as those of heartwood, hut this along the radial gradient in MC rapidly hecame gentle during oven-dr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