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체화 환자에서 경도의 스트레스 요인(신체형 장애 환자들을 중심으로)

        황을지,정영조,이정흠 인제대학교 1999 仁濟醫學 Vol.20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minor stressors on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Daily Stress Inventory(DSI) and Major Life Event Stress Inventory(MLES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ere all administered to both patient group and control group. Results and Discussion: The patient group shows significantly higher event and impact scores among total DSI scores to compare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act/event ratio score. DSI scores is not correlated with MLESI in the patient group. But each of BDI and STAI scor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inor stressors score respectively in the patien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re more susceptible to minor stressors than the normal controls. Conclusion: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in the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minor stressors.

      • KCI등재

        한국판 식사태도검사-26(The Eating Attitude Test-26 : KEAT-26) 의 타당화

        이민규,고영택,이혜경,황을지,이영호,Rhee, Min-Kyu,Go, Young-Taek,Lee, Hye-Kyung,Whang, Eul-Ji,Lee, Young-H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1 정신신체의학 Vol.9 No.2

        본 연구는 KEAT-26의 변별 타당도를 알아보고 이 척도의 진단적(분류적)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참여자는 여성 식사장애 환자 108명, 체형관리센터에서 체형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 179명, 체대운동여학생 120명, 일반여자대학생 227명 그리고 일반여자 183명(총 817명)이었다. 변량분석과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곡선 분석을 통해서 이 척도의 타당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KEAT-26 총점수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 검증에서 식사장애 환자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보다 KEAT-26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각 집단에 따른 KEAT-26의 4 개 하위 요인점수의 차이 검증에서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집단의 주 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사후검증에서 요인 IV의 변별력이 떨어졌다. ROC 곡선 분석을 통하여 이 척도의 분류적인 효용성과 최대의 가질 때의 절단접수를 알아본 결과 식사장애 환자와 정상인 집단을 분류할 때 평균 약 80%이상의 효용성이 있으나 식사장애 고위험 집단을 변별할 때는 평균 약 69%의 효용성을 보였다. 특히, 최고의 효용성을 보일 때의 절단점수를 효면, 식사장애환자와 체형관리자를 분류할 때 절단점이 25점, 식사장애환자와 일반 여자를 분류할 때 분류점수는 19 점, 삭사장애환자 대 체대운동여학생의 분류 점수는 23점, 식사장애환자 대 일반여대생의 절단점은 21점이었다. 이민규 등(1998)이 제안한 T점수 65에 해당하는 KEAT-26의 총점 22점을 절단점수로 했을 때 이 척도의 민감도 54%, 특이도 84%, 효율성은 평균 80% 이었다. 본 연구 결과 KEAT-26온 한국 사람이 겪고 있는 식사문제에 관련된 연구에 필요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이 척도가 임상적인 이용 뿐 만 아니라 역학조사 동의 목적으로 식사문제가 있는 사람을 선별하는데도 유용한 도구임을 지지해 준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KEAT-26) and to provid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efficiency according to cutting score, which may be useful to determine the optimal cutoff point on various purposes. The KEAT-26 was administered to 108 femal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179 female participants in body slimming center, 120 female athletic college students, 227 female college students, and 183 healthy normal women. Validity was tested by ANOVA and ROC curv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otal score of the KEAT-26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groups and that the score of the KEAT-26 of eating disorder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in post hoc test. In comparison of the 4 subfactor score of the KEAT-26 between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in effect within groups were found in all subfactors except factor IV. ROC curve analysis showed 80% of efficiency to discriminate eating disorders group from normal control group using cutoff score on maximum discriminant efficiency and 69% of efficiency to discriminate eating disorders group from high risk groups for eating disorders. Each cutoff score on maximum in efficiency was as follows ; 25 between eating disorders group and participants in body slimming center, 19 between eating disorders group and healthy normal woman, 23 between eating disorders group and athletic college students, 21 between eating disorders group and college students. Using 22(T score 65) of the KEAT-26 as the cutoff score, sensitivity was 54%, specificity was 84%, and overall efficiency was 8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EAT-26 has a good discriminant validity in Korean population and also suggest that the KEAT-26 may be useful assessment tool to screen the disordered eating problems on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purpo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