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의 국내 농식품 소비 파급 영향

        황윤재(Hwang Yun-jae),이동소(Lee Dong-s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2011년 3월에 발생한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에 대한 국내외 대응현황을 살펴보고,일본 방사능 관련 정보의 전파 양상을 언론매체 보도 동향과 온라인상의 일본 방사능 관련 여론 형성 추이를 통해 파악하며, 통계자료와 소비자설문조사를 통해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가 소비자의 농식품 소비와 관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의 여파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사능 유출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일본 후생노동성은 식품관련 규제 방안을 마련하고 최근까지 수산물 등 주요 품목에 대한 방사성 물질 포함 여부를 조사하는 등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응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를 중심으로 사고발생 직후부터 일본산 수입식품 검사 강화와 수입금지 조치 등의 일련의 조치를 실시하였다.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 이후 최근까지 방사능 유출사고와 관련하여 발생사례 및 경과, 정부 대응 현황 및 비판, 안전성 홍보, 소비변화 및 위기조장 등의 내용을 담은 다양한 보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 관련 보도는 일반적인 농식품 안전 관련 사고에 대한 보도와 달리 상대적으로 장기적인 양상을 띠고 있으며, 방사능에 관한 부정적인 내용을 전하면서 소비자의 방사능과 이에 따른 식품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쉽게 해소되지 못하도록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온라인을 통한 방사능 관련 정보 제공은 언론 제공 기사, 블로그·카페 등의 게시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매체별·수단별로 차이가 있지만 2011년 3월 이전에는 방사능 관련한 온라인상의 정보의 빈도수가 많지 않은 반면, 2011년 3월 사고 발생 이후 약 2~3개월 동안 방사능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련 정보 빈도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후 방사능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다소 감소하면서 정보 빈도수가 감소하였으나, 2013년 9월 전후로 다시 정보 빈도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농림축산식품에 대한 가계소비지출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본 결과 2010년 이후 수산물 및 수산가공품 지출 규모와 비중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갈치, 명태 등 생선류와 조개류 등 어패류를 포함하는 신선수산물 지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의 방사능에 대한 불안감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출사고 이후 일본산 농식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서도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 이후 소비자의 농식품 소비수준이 변화하였으며, 특히 수산물 소비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사고 이후 3년여가 지났지만 방사능 유출사고가 농식품 소비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와 관련하여 농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정부 대응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수준은 높지 않았다. 소비자들은 방사능 유출사고와 관련하여 정부가 식품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입 농식품 검역과 안전성 검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일본 방사능 유출사고의 경우 다른 식품위해사건·사고에 비해 상대적으로 장기적인 양상을 띠고 있어, 경우에 따라서 관련 사안이 다시 확대·재생산될 가능성이 있다. 즉 방사능 관련 새로운 상황 전개 또는 보도 여하에 따라 잠재되어 있는 소비자의 방사능에 대한 불안감이 자극되는 경우 경제적·정책적 파급영향이 클 수 있다. 따라서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주요 식품 관련 부처는 향후에도 방사능 관련한 소비자 여론 동향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으며, 식품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안심 확보를 위해 상대적으로 장기적인 대응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done to ① look into countermeasures at home and abroad since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accident of March 2011, ② examine how the information regarding Japan’s radioactivity has spread by analyzing the trend of media reports and on-line public opinions, and ③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the nuclear disaster on agricultural food products consumption and people’s awareness through statistics and a consumer survey. In the aftermath of Japan’s earthquake and tsunami in March 2011, there were radiation leak accidents from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Japan’s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has been striving to secure food safety since then by establishing new regulations regarding foods and investigating radioactive materials in major food items such as marine products. A series of countermeasures have been taken by the Korean government too, l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cluding reinforced inspection or a ban on imported foods from Japan. Various reports have been made up until now since the disaster covering radiation leak accidents and progress, status of or criticism for the government’s response, safety promotion, and rising sense of crisis. Such reports have tended to take on a relatively long-term aspect compared to other coverage about general agricultural food safety accidents. The negativity espoused in the media makes it harder for consumers to ease their concerns over radioactivity and food safety.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radioactivity online takes various forms such as media news coverage, postings on blogs and cyber cafes, and video clips. There had not been much on-line information about radioactivity before March 2011, though it differed by media and means. On the other hand, relevant inform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s consumers became more concerned about radioactivity for 2 to 3 months after the accident. It decreased over time as consumers got less interested in radioactivity before rising again around September 2013.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of Statistics Korea for the household expenditure on agricultural food and livestock products, the overall spending on marine and processed marine products fell after 2011 in terms of both size and ratio. People spent less money especially on fresh marine products such as fish and shellfish (cutlassfish, pollack, clam, etc.). The consumer survey shows that they are highly anxious about radioactivity and have extremely negative perception toward the safety of Japanese agricultural food products. According to the survey, consumers’ level of agricultural food consumption has changed after the radiation leak, impacting the demand for marine products the most. It is still affecting the agricultural food consumption even after 3 years. There is also low consumer confidence in the government’s efforts to secure agricultural food safety against the nuclear disaster. Consumers recognize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tensify quarantine and safety inspection for imported agricultural food products to promote food safety. With this radiation leak accident having relatively longer influence than other food safety incidents or accide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issue might be rising again or reignited when circumstances require. In fact, new developments or media coverage related to radioactivity can have huge ripple effects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stimulating consumers’ potential anxiety over radiation. Therefore, relevant ministries in charge of the food industry, including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hould closely monitor the trend of public opinion about radioactivity and come up with long-term countermeasures to secure consumer confidence.

      • KCI등재

        식품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황윤재 ( Yun-jae Hwang ),한재환 ( Jae-hwan Han ) 한국농업정책학회 2011 농업경영정책연구 Vol.38 No.3

        Mutual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s essential to effective food safety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mers` awareness for the rol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food safety management. This study conducted a random survey of 300 adults around capital area to accomplish an objective of the study. Also, econometrics model of binary logit was introduced to analyze consumers`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who are female and relatively young think that there exists mutual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lso, the important factors are residence and education level. Consumers who are not highly educated and live in seoul area believe of the existence of mutual cooperation relationship. And consumers with high confidence for food safety management of government and high belief on importance of the roles of central and fundamental local governments also show belief on the existence of mutual cooperation relationship.

      • KCI등재
      • KCI등재

        GM농산물 개발 및 재배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황윤재 ( Yun Jae Hwang ),한재환 ( Jae Hwan Han ),이계임 ( Kyei Im Lee ) 한국축산경영학회 2015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sumers’ perception on developing and cultivating GM agricultural products domestically. Double probit model is used to find the factors which affect consumers’ perception simultaneousl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nsumers with higher confidence level on food safety and with higher knowledge on GMO tend to assent to the necessity of developing GM agricultural products domestically. Also, consumers who are familiar with GMO-related domestic situation have higher probability of supporting the domestic development of GM agricultural products. Secondly, consumers with higher concern on GM technology have higher probability of having negative opinion on the domestic development. Also, older people and low income people usually are more negative for the necessity. Thirdly, consumers with higher confidence level on GMO-related government policy and with more knowledge on GMO tend to assent the domestic cultivation of GM agricultural products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s for consumers’ perception on GMO domestic development. Finally, consumers who are worried about unpredictable future risks of GMO tend to oppose the domestic cultivation.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since consumers’ knowledge level on GMO acts as key factor on consumers’ perception on developing and cultivating GMO domestical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s with objective and accurate information as a part of government’s risk communication strategy on GM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